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기
긴
d라이브러리
"
오래
"(으)로 총 2,883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2 우주에 떨친 알파우먼 파워
과학동아
l
200805
ISS 최초 여성 선장을 비롯해 우주에서 가장
오래
머문 여성우주인 기록(376일)과 가장
오래
우주유영을 한 여성우주인 기록(40시간)도 갖고 있다. 이 씨는 윗슨이 ‘익스퍼디션’ 16의 선장으로 2007년 10월 소유스 우주선을 타고 ISS에 가기 전까지 가가린 우주센터에서 그와 함께 생활했다. 다른 나라 ... ...
만능종이 전성시대
과학동아
l
200805
2006년 종이어항을 선보였다. 종이가 전혀 물에 젖지 않도록 방수처리를 한 것. 시간이
오래
지나도 방수성에는 전혀 영향이 없다. 습자지처럼 투명한 종이로 어항을 만든다면 유리어항이 곧‘왕좌’를 내줘야 할지도 모른다.무한 재사용 종이인쇄된 종이를 프린터에 넣고 다시 인쇄하면 이전 내용은 ... ...
PART1 영원한 적도 동지도 없다
과학동아
l
200804
이루는 핵심원소이므로 콩과식물은 단백질이 풍부한 열매를 맺는다. 생태학자들은
오래
전부터 뿌리혹박테리아가 질소를 고정하는 작업이 중노동이라는 사실을 알고 있었다. 그럼에도 이들은 왜 뿌리혹 속에 갇혀 묵묵히 주어진 일을 할까.미국 데이비스 캘리포니아대 R. 포드 데니슨 교수팀은 ... ...
part 1 미리 보는 이소연 씨의 ISS 10일
과학동아
l
200804
밥과 된장국, 김치, 홍삼차를 포함한 한국음식 10가지.한국 우주음식은 ISS에서
오래
보관할 수 있으면서도 먹음직스러운 형태와 맛을 유지하도록 개발됐다. 우주밥은 고온살균과 무균포장으로 수분을 65% 함유했다. 김치는 고유의 맛과 씹는 느낌을 주면서도 국물이 흐르지 않도록 캔 안에 흡수패드를 ... ...
세포 반란 잠재울 단백질 구조학
과학동아
l
200804
75kg인 사람은 약 60조 개를 지닌다. 며칠도 안 돼 늙어버리는 것부터 사람의 수명만큼
오래
사는 것도 존재한다. 정답은 바로 세포. 건강한 성인이라면 몸에서 약 2조 개의 세포가 매일 탄생한다. 아이가 어른이 되면서 쑥쑥 성장할 수 있는 까닭은 세포분열이 왕성하게 일어나기 때문인데, 임무를 다한 ... ...
천년이 지나도 변치않는 마야블루의 비밀
과학동아
l
200804
야카만은 나노입자 크기의 불순물이 마야블루의 푸른색을 더욱 빛나게 해줄 뿐 아니라
오래
유지되도록 한다고 주장했다.미국 게티보존연구소 키아리 박사팀은 재료과학 저널인 ‘응용물리학A’에 최근 발표한 논문에서 새로운 연구결과를 내놓았다. 상온에서 인디고는 팔리고스카이트에 스며들지 ... ...
무한도전 과학경진대회!
과학동아
l
200804
그 중 백미는 직접 작품을 만들어 실력을 겨루는 과학경진대회. 누가 고무동력기를
오래
날리는지, 누가 물로켓을 정확히 과녁 안으로 착지시키는지 탁 트인 공간에서 한바탕 과학축제가 벌어진다. 전자회로를 잘 설계해 자기만의 라디오를 만들기도 하고, 과학상자로 번뜩이는 아이디어가 ... ...
PART2 플라스틱 공화국의 재활용 비법
과학동아
l
200803
버려진 페트병으로 다시 페트병을 만드는 ‘병에서 병으로’(bottle to bottle) 정책을
오래
전부터 시작했고, 일본은 기업 주도로 슈퍼마켓마다 플라스틱 수거함을 설치해 재활용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지난해 HP는 헌 플라스틱을 재활용해 2억 개가 넘는 정품 잉크젯 카트리지를 생산했다. 지난 1월 말 ... ...
일본어 몰라도 스털링 엔진 만들 수 있다
과학동아
l
200803
또 나사가 작아 잃어버릴 염려가 있어서인지 종류별로 1개씩 여분도 있었다. 시간이
오래
걸릴 뿐 설명서의 그림만 잘 이해한다면 완성 못할 일은 없을 듯했다. 포장을 뜯은 뒤부터 완성까지 걸린 시간은 약 1시간 정도. 돌고 돌고 돌고잡지에는 스털링 엔진을 구동할 수 있는 다양하고 재미있는 ... ...
호주의 사막 한가운데서 별빛으로 샤워하다
과학동아
l
200803
사진’이라고 한다.점상 사진을 찍기 위해서는 노출 시간에 신경을 써야 한다. 노출을
오래
주면 별이 서쪽으로 움직여 별빛이 점의 형태가 아니라 궤적으로 남는다.따라서 초점거리 50mm 렌즈를 기준으로 천구의 북극(북극성) 근처는 30초, 천구의 적도 근처는 15초 보다 적게 노출을 준다. 적위에 따라 ... ...
이전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