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특기
장기간
긴
오래
오랜기간
기드림
specialty
d라이브러리
"
장기
"(으)로 총 1,680건 검색되었습니다.
1 하이테크기술 완전제패를 노린다
과학동아
l
199106
생체모방기술 두뇌모방기술(뉴로컴퓨터) 감각기 모방기술(바이오센서) 초정밀 인공
장기
에 대한 연구도 활발하다.1982년에 설립된 일본의 신세대 컴퓨터기술연구소(ICOT)는 10년 계획으로 기존의 컴퓨터와는 그 근본원리가 완전히 다른 신세대 컴퓨터 개발작업을 착수했다. 이를테면 제5세대 컴퓨터에 ... ...
100번 죽이고 101번 고쳐 살고
과학동아
l
199106
흡족할 만한 수준이 아니었다. 하지만 페니실리나제를 생성하는 포도상구균을 죽이는 '
장기
'를 갖고 있었다. 게다가 그람음성균에 대한 항균력이 페니실린보다 월등하다는 점이 연구자들의 관심을 불러 일으켰다.기본물질인 세팔로스포린 C로부터 몇단계의 화학반응을 거치면 7-ACA(7-aminocephalosporanic ... ...
21세기 우주수송수단은 어떤 모습?
과학동아
l
199105
나가 미국의 자존심을 유지해야 하기 때문이다.백악관에서는 작년 가을 자문기관인 우주
장기
계획 자문위원회가 보고서를 내고 새로운 우주수송수단의 필요성을 역설한 바 있다.차 단계로 올 상반기내에 '챌린저의 대역'으로 성능을 한단계 향상시킨 엔데버(Endeavor)를 제작완료하고 내년 초에 발사할 ... ...
4. 1백년 후엔 해안선이 20㎞ 후퇴할지도
과학동아
l
199105
위해 오는 2001년까지 국가종합해양관측망을 구축하기로 하고 이를 위한 기술개발연구를
장기
국책과제로 선정, 지난해 7월부터 작업에 들어갔다.이 연구과제는 △한반도 주변해역의 관측에 필요한 각종 해양관측기기를 개발하고 △해양관측기술과 자료분석기술을 높이고 △관측소가 없는 지역에는 ... ...
과학기술의 힘으로 물 되살린다.
과학동아
l
199105
전분 셀룰로오스 단백질과 같은 천연고분자는 미생물에 의해 분해될 수 있기 때문에
장기
적으로 환경문제를 일으키지 않는다. 그러나 제품의 용도상 안정적이어야 하는 합성고분자는 대부분 생태계에서 분해되지 않으므로 환경오염을 유발한다.최근 사용량이 급증하고 있는 일회용 용기나 포장지 ... ...
환경모니터링으로 주목받는 중금속의 표본실 새 깃털
과학동아
l
199105
조개류 등을 많이 이용해 왔으나 이들은 모두 단기적이고 지역적인 모니터링에 불과했다.
장기
적이고 범지구적인 차원에서 지표생물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몇가지 조건이 요구된다. 우선 세계 각국에 널리분포해 모두가 이용 가능해야 하며, 화학물질을 다량 축적 농축하는 능력이 있어야 하고, 그 ... ...
거인 IBM과 일곱난쟁이
과학동아
l
199105
빼앗기지 않은 것은 IBM회사의 제품이 특별히 뛰어나서 그런 것은 아니였다. IBM이 주된
장기
로 내세우는 것은 탁월한 마케팅전략과 고객들에 대한 친절한 사후서비스였다. 그리고 때로는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치사한 짓도 서슴지 않는 점 때문이었다.전자계산기 개발초기 어떤 회사가 ... ...
80년대 통폐합소동 되풀이 말아야 정부출연연구소, 존폐위기에 섰는가?
과학동아
l
199105
이는 원천기술로부터의 단절 등 경제적 측면에서 결정될 일이 아니라 우리가 지향하는
장기
적 사회목표에 더 크게 좌우될 성격의 일이다. 따라서 본격적 투자가 시작될 때까지 국내에서 출연연구소들의 입지는 확고하다고 생각된다.뚜렷한 대안도 없이 기존 연구체제를 뿌리째 뒤흔들었던 80년대초 ... ...
3. 재평가돼야 할 가로림만 입지조건
과학동아
l
199105
해양에너지를 이용한 발전은 현재 가장 많이 이용되는 조력발전을 비롯 파력발전 해양온도차발전 해류발전 등이 연구되고 있다.21세기 인류의 가 ... 생활환경을 위해 필수적으로 개발되어야 할 자원이다. 그러나 이의 이용을 위해서는
장기
적 계획하에 꾸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
1만가지의 냄새를 어떻게 식별하나?
과학동아
l
199105
적절히 활용해 수천가지의 색을 식별해내는 것이다. 물론 색을 인식하는 최종적인
장기
는 뇌이지만.그러나 냄새를 구별하는 수용체는 그 종류가 훨씬 많다는 것이 악셀 교수의 주장이다.냄새가 나는 분자는 우리 콧속에 있는 수백만개의 털숲을 헤엄치다가 어떤 냄새수용체를 만나면 마치 열쇠가 ... ...
이전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