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심
주의
한계
범위
감시
국경
통제
d라이브러리
"
경계
"(으)로 총 1,676건 검색되었습니다.
프로톤로켓 마지막 점화 실패
과학동아
l
1996년 12호
한다 그러나 장치끼리의
경계
부분뿐 아니라 소프트웨어끼리를 연결하는 경우의
경계
부분도 인터페이스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이용자가 자신의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필요하게 되는 인터페이스는 메이커로부터 제공되는 매뉴얼 등에 기재돼 있다 거기에는 데이터의 양식이나 명령어 등이 ... ...
마르스96 지구로 돌아오다
과학동아
l
1996년 12호
하나 빛이나 X선과 마찬가지로 전자기파 X선에 비해 에너지가 크고 파장이 짧다 파장의
경계
는 분명하지 않지만 약 01A˚ 이하의 것을 말한다 γ선은 원자핵이 에너지 준위 사이를 전이함으로써 방출 또는 흡수된다 소립자의 생성이나 소멸의 과정에서도 방출·흡수된다 인공적으로는 베타트론이나 ... ...
4. 유전자 맹신론을
경계
한다
과학동아
l
1996년 12호
유전자가 모든 것을 결정한다는 생각, 그렇기 때문에 유전자의 비밀을 샅샅이 알게 되면 인간을 비롯한 생물체의 모든 생명현상을 파악하게 되고 그럼으로써 거의 모든 질병을 예방·치료할 수 있으리라는 유전(자)적 결정론에 대해 고민해 보자.인류는 신석기시대를 연 농업혁명과 근대 초의 산업 ... ...
패스파인더의 화성탐사 상상도
과학동아
l
1996년 11호
상태 변화에만 쓰이는 열암석체에 생기고 있는 금 혹은 틈을 말한다 즉 금이간 면을
경계
로 하여 전이(轉移)가 없는 것이다 절리는 화성암에서 잘 나타난다 마그마나 용암이 냉각되어 고결할 때 수축이 일어나서 생기는 것이다 또 점토질의 퇴적암에서 습기가 빠질 때, 지각이 횡압력을 받을 때 ... ...
일본 SF애니메이션
과학동아
l
1996년 11호
병리현상을 다루고는 있지만, 따뜻한 시선만은 잃지 않고 있다. 그래서 정말로
경계
해야 할 적은 바로 우리 자신이었다는 마지막 반전의 메시지가 더욱 섬뜩하게 다가오는 것이다.재패니메이션들은 핵전쟁과 같은 문명의 위기 후에 살아남은 사람들의 문명 건설을 소재로 다루면서, 어떻게 올바른 ... ...
피라미드는 거대한 수학공식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원의 중심에 위치한다(그림 2). 이곳은 고대의 상(上)이집트와 하(下)이집트의
경계
를 이루는 지점이기도 하다. 대피라미드가 세계의 어떤 '중심' 이었다는 느낌을 불러일으키는 대목이다. 현대 기술이 손 든 정밀성-밑변을 높이로 나눈 값은 π/2대피라미드를 밖에서 보는 것만으로도 사람들은 두 번 ... ...
2. 물고기와 속도
과학동아
l
1996년 09호
가속된다. 이때 물체는 에너지를 잃게 된다. 에너지를 잃는 부분은 물체에 바로 접한
경계
면이다. 유속이 빨라지면 더 많은 에너지를 잃게 돼 유체는 표면을 따라 흐르지 못하고 물체의 표면으로부터 분리된다. 이것을 ‘와류’라고 한다. 와류는 저압 상태의 불안정한 급류를 말하는데, 물체 뒤에 ... ...
3. 사이버닥터가 진단한 인터넷 신드롬
과학동아
l
1996년 09호
좋아한다. 많은 정신의학자들은 이러한 현상을 대중의 인기에 영합해 혼란만 가중시키는
경계
대상으로 보고 있다.앞서 나열한 증상중 몇 가지가 나타난다고 해서 ‘인터넷 중독증’이라고 속단할 필요는 없다. 증상의 정도가 심하고 반복적이며 만성화돼 신체, 심리, 사회 및 직업 활동상의 장애를 ... ...
X파일과 인디펜던스 데이
과학동아
l
1996년 09호
우리의 연약한 무의식을 파고들지 모르는 초과학적인 현상과 그것에 대한 피해망상은
경계
해야 마땅하다. 좀 더 진지하게 영화를 만들고, 더욱 진지하게 영화를 보는 태도가 필요하다 ... ...
핵겨울설 한계 뛰어넘은 새 멸종설
과학동아
l
1996년 08호
하는 점이다. 높은 온도에서 급속하게 녹았다가 냉각되면 유리질 암석이 생긴다. K/T
경계
지층에서 발견되는 코사이트가 그 증거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그렇게 높은 온도라면 모든 생물이 죽어 오늘날에 살아남은 생물이 전혀 없을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이에 대해 김교수는 자기의 연구가 가진 ... ...
이전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