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서울
수로
중앙
도읍
뱃길
배길
항로
d라이브러리
"
수도
"(으)로 총 1,487건 검색되었습니다.
차디 찬 바이칼호수에서 발견된 열수배출구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온도는 해양의 평균온도에 비해 4백℃나 높다. 게다가 열수배출구 주변에 쌓인 동물의
수도
바이칼호가 해양보다 훨씬 적다. 연구자들은 이 두가지 사실을 묶어 한가지 추론을 이끌어냈다. 바이칼호의 열수배출구는 이제 유년기라는 ... ...
피라미·지렁이·이끼가 사라지고 있다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과학자들은 이런 현상을 이용, 환경오염의 지표로 쓰는 방법을 연구개발 중에 있다.
수도
권을 비롯한 전국의 환경오염이 큰 문제가 되고 있고 환경오염의 방지와 환경 정화에 대한 노력이 점차 강화되고 있다. 우리는 BOD COD 등을 통해 환경오염의 실상을 어렴풋이 파악하고 있는데 이 수치들을 제대로 ... ...
푸른 장미의 등장은 시간문제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원칙을 완전히 무시하는 식물들이 줄을 이어 탄생할
수도
과연 푸른 장미가 탄생할 것인가. 최근 유전공학 기법을 활용해 장미 꽃잎을 푸르게 하는 실험이 착수돼 사람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13세기 초 아랍의 농학자 이븐 알아왐은 그의 식물도감에 푸른 장미를 포함시켰으나 그동안 전설로만 ... ...
환경원년 돌아보는 공해추방운동연합 최열 공동의장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대한 관심이 자칫 '일회적인 폭발 뒤의 무관심과 타성'으로 흐르지 않을까 걱정한다."상
수도
원의 오염을 아무리 지적해도 건설회사의 배만 채우는 팔당 골재채취는 계속될 전망입니다. 또 다른 나라에선 공해산업이라고 추방당하는 석유화학계열 기업들이 산업낙후지 개발이란 명목 아래 속속 ... ...
잉카문명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감자와 말린 야마고기를 함께 넣어서 만든 스프였다.접착제없이 건물을 세워잉카제국은
수도
인 쿠스코를 포함하는 모든 도시의 건설에 일정한 원칙을 했다. 절대 도시를 마구잡이식으로 건설하지 않고 계획성있게 세워 나갔다. 모든 도시는 중앙광장을 둘러싸고 궁전, 태양의 신전, 수녀원(태양의 ... ...
베를린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인한 온갖 갈등을 겪었던 도시다. 이제 역사의 오류를 청산하고 염원하던 통일독일의
수도
로 새로운 출발을 시작하고 있는 베를린. 그곳 시민들은 히틀러에 의해 한때 망상되었던 세계의
수도
(Hauptstadt der Welt)가 아니라 명실상부한 세계의 도시(Weltstadt)로 발전하게 되리라는 희망과 기대에 부풀어 ... ...
은행 잎 속에 담긴 「비방」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곤란하다. 부틸산 등 불필요한 화학성분을 제거하지 않으면 오히려 인체에 해를 줄
수도
있기 때문이다.은행잎을 둘러싼 동방과 슈바베의 한판은 앞으로도 두고두고 얘기거리가 될 만하다. 지난 69년 이래 슈바베사는 프랑스의 입센사와 합작, 은행잎 약의 유럽시장을 석권하고 있었다. 물론 그 ... ...
제작술보다 한발 앞선 보존술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사업으로 확대되었다. 기술혁신의 기회가 온 것이다.그 초주대장경은 거란의 침입으로
수도
인 송도가 함락되면서 국가존망의 위기에 처했을 때 제작됐다. 남은 길은 불력(佛力)에 호소하는 수 밖에 없다고 믿어 국력을 기울여 조판하기를 발원(發願)하고 서약한 결과였다. 국왕에 대한 충성심과 ... ...
생태계의 사고(史庫), 자연사박물관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소장돼 있고 표본수는 박물관 전체로 매년 20만여점이 늘고 있다. 이러한 자연사박물관은
수도
인 부다페스트 외에도 전국의 6개 주요도시에서 각각 설치, 운영되고 있다.■ 국립과학박물관(도쿄)이 박물관은 국립과학박물관, 부속 자연교육원 그리고 실험식물원으로 이루어지는데 과학박물관에는 ... ...
파리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상당히 크다.하수구시설이나 지하철도 파리의 또 다른 자랑거리다. 실제로 지하하
수도
의 일부가 관광코스의 하나로 지정되고 있다. 파리 전역을 연결하고 있어 가장 편리한 교통수단으로 꼽히고 있는 파리지하철이 첫 선을 보인 것은 1900년 7월 19일. 빈센(Vincennes)과 마이요(Maillot) 사이의 노선이 ... ...
이전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