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으)로 총 24,378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인간보다 인간 같은 인공지능의 시대 올까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인간보다 인간 같은 인공지능의 시대 올까Part1. GPT-4의 4가지 가능성[Bridge] 챗GPT와의 인터뷰 Part2. 인간의 지능, 인간이 만든 지능을 품다 Part3. 인공지능과 함께 살다 [Infographic] 인간과 인공지능의 ... ...
- [특집] 인공지능과 함께 살다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이 과정에서 인간에게 피해가 발생할지도 모른다. 김도경 단국대 법학연구소 교수는 2021년 발표한 그의 논문 ‘인공지능 시대에 저작권 보호와 공정한 이용의 재고찰’에서 “인공지능 기술의 운용원리에 따라 오늘날 경제적 우위는 저작권 소유자가 아니라 다른 사람의 데이터를 사용하는 대규모 ... ...
- [과학사 극장] 갈릴레이는 정말 피사의 사탑에서 실험했을까?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받았을 가능성은 있다. 종교재판소에서는 피고가 진실을 말하지 않는다고 의심되면 1단계로 고문을 당할 수 있다고 말로 경고하고, 2단계에서는 고문실로 데려가 고문 도구를 보여주며 위협했다. ‘엄격한 조사’라는 표현을 봤을 때 갈릴레이에게는 2단계 정도의 위협까지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 ...
- [SF영화로운 덕후생활] AI 전투용병 ‘정이’ 현실 가능한 기술은?과학동아 l2023년 02호
- AI연구원은 AI의 비디오 이해 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비디오 튜링테스트(VTT)’를 2022년 11월 공개했습니다. 이 튜링테스트는 AI에게 영상을 보여주고 AI의 반응을 감정 인식, 지식 기반 추론, 배경 정보 기억, 대화 맥락 이해, 행동 의도 추론 등 5가지 기준으로 평가합니다. 가령 버스 안에서 고백을 ... ...
- [DGIST@융복합 파트너] 실리코팜. 불치병 정복을 목표하다과학동아 l2023년 02호
- 큰 힘이 됐다. 실리코팜이 입주해 있는 DGIST 산학협력관은 외부에 비해 월세가 7분의 1 수준으로 저렴했을 뿐 아니라 이들이 개발한 AI 알고리즘을 검증하는 DGIST 핵심단백질자원센터와도 가까워, 편하게 실험을 할 수 있다. 솔루션을 개발하는 최적의 공간인 것이다. 이들이 실리코팜과 학위과정을 ... ...
- [특집] 900만명 먹을거리 어떻게 해결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위해 공기 여과 장치 및 소독 시스템이 달려 있죠. 최근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에 따르면 1인당 연간 육류 소비량은 약 40kg으로 네옴시티에서는 중국 돼지빌딩 기준 7동의 빌딩만 있으면 900만 명의 인구에게 필요한 육류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한편, 이런 형태의 동물 사육을 두고 동물 복지에 대한 ... ...
- [만화 뉴스] 퀘타, 론나, 퀙토, 론토…, 새로운 단위 표현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국제도량형국은 작년 11월 18일 ‘퀘타’, ‘론나’, ‘론토’, ‘퀙토’ 접두어 4개를 추가했어요. 과학기술이 발전하면서 기존 접두어로는 수를 표현하기 번 ... 030은 10을 30번 곱한 수로, 1 뒤로 0이 30개 달려 있다. 예를 들어 1000은 103으로 1 ...
- [과학사] 1610년 1월 7일 갈릴레오 갈릴레이, 목성 위성 발견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1610년 1월 7일 편지에 남겼어요. 목성의 위성들이 처음으로 발견된 순간이었죠. 이후 1월 13일, 목성에서 위성을 하나 더 확인하며 총 4개의 위성을 발견합니다. 지금은 ‘갈릴레오 위성’이라고도 불리는 이오, 유로파, 가니메데, 칼리스토예요. 지금까지 알려진 목성의 위성은 총 79개인데, ...
- [기획] 굽고 튀기면 맛있다고? 요리의 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기획] 굽고 튀기면 맛있다고? 요리의 과학Part1. [기획] 78만 년 전의 발견 구워라! 그러면 맛있어 지리니Part2. [기획] 바삭바삭 튀겨라! 튀김의 과학Part3. [기획] 알고 보면 우리는 모두 요리사? 분자요리 연구소 서정원 ... ...
- [헷갈린 과학] 두 눈이 오른쪽? 왼쪽? 가자미VS넙치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누워 납작한 모양이지만, 가자미와는 반대로 눈이 왼쪽으로 쏠렸습니다. 몸길이가 1m까지 자라는 등 일반적으로 가자미보다 크기가 훨씬 커서 게나 작은 물고기 등을 잡아먹기도 해요. 입도 가자미에 비해 크고 이빨도 날카롭죠.넙치와 가자미는 태어날 때부터 눈이 쏠려 있지 않아요. 둘 다 새끼 ... ...
이전1261271281291301311321331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