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나
일
한사람
한개
뉴스
"
1
"(으)로 총 34,500건 검색되었습니다.
IAEA사무총장 "국제조사단에 한국 전문가 참여 희망"
동아사이언스
l
2021.04.21
협업은 매우 가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일본 정부는 이달
1
3일 후쿠시마 제
1
원전에서 보관 중인 오염수를 2023년부터 해양에 방류하겠다고 발표했다. 이에 한국, 중국을 비롯한 국제사회가 일본의 결정과 이를 지지한 IAEA에 비난의 목소리를 높이자 그로시 사무총장은
1
4일 한국 등 인근 국가의 ... ...
직계약 화이자 백신 25만회분 추가 도착…총
1
75만회분 반입완료
연합뉴스
l
2021.04.21
6천900만명분을 계약했다. 제약사별 물량은 아스트라제네카
1
천만명분, 화이자
1
천300만명분, 얀센 600만명분, 모더나 2천만명분, 노바백스 2천만명분이다. 정부는 현재 백신 추가 구매를 추진하고 있다. [홍소영 제작] 일러스트 ... ...
[과학촌평] 과기정통부 장관 후보자와 차관은 왜 ‘공수표’를 날리나
동아사이언스
l
2021.04.21
현 정부
1
년여를 앞두고 있는 상황에서 차관이 교체됐고 장관도 교체될 예정이다. 남은
1
년 동안은 과기정통부 수장들의 공수표는 더 이상 듣고 싶지 않다. ... ...
KAIST 물리학과 실험실서 수소가스 누출…학교측 "사고 아냐"(종합)
동아사이언스
l
2021.04.20
것을 확인한 실험실 내 센서가 실험실이 속한 자연과학동 내 절반에
1
차 알람을 울렸다.
1
차 알람은 경고음과 경광등으로 안내하는 알람으로 이를 확인하면 매뉴얼에 따라 대피해야 한다. KAIST에 따르면 KAIST 내 가스를 이용하는 실험실이나 저장고는 내부에 이용 종류에 맞는 가스 센서를 설치해 ... ...
해킹·미성년자 성매매·수소가스 누출까지…악재 잇따르는 KAIST
동아사이언스
l
2021.04.20
대전시 유성구 어은동 KAIST 물리학과 건물에서 수소가스가 누출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1
% 농도 수준에서 센서가 이를 감지하고 건물 안의 학생
1
00여명이
1
5분 만에 대피해 인명피해는 없었지만 학교측 평소 실험실 안전 관리에 소홀함이 없었는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무색∙무취의 수소가스는 ... ...
정부가 고려 중인 '백신 스와프'는 무엇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21.04.20
승인을 받지 못한 상태고 미국이 국민 접종에 쓰고 있는 백신은 화이자와 모더나 코로나
1
9 백신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여유 물량이 있어도 아무런 추가 댓가 없이 이를 스스럼없이 빌려줄지도 의문이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시장이 반찬인 이유
2021.04.20
커지자 프랑스는 20
1
7년부터 ‘마른 모델 퇴출법’을 시행하고 있다. 위키피디아 제공
1
995년 미국의 정신의학자 랜돌프 네스는 ‘20세기의 다윈’으로 불린 저명한 진화생물학자 조지 윌리엄스와 함께 ‘인간은 왜 병에 걸리는가’라는 책을 써 진화의학(처음엔 다윈의학이라고 불렀다)이라는 ... ...
KAIST 물리학과 건물서 수소가스 누출… 학생
1
00여 명 긴급대피
동아사이언스
l
2021.04.20
제공 KAIST 물리학과 건물에서 수소가스가 누출돼 학생
1
00여 명이 대피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KAIST에 따르면 20일 오후 2시 45분께 대전 유성구 KAIST 본원 물리학과 건물에서 수소가스가 누출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대기 중
1
% 농도 수준에서 센서가 이를 감지했고 건물 전체에 경보음을 울렸다. 이에 ... ...
바이든 '취임
1
00일까지 2억회 접종' 달성 눈앞…부족국 아랑곳 않고 부스터샷까지 추진
동아사이언스
l
2021.04.20
모른다”고 밝혔다. 앤서니 파우치 국립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NIAID) 소장은
1
8일 “부스터샷 접종 계획은 여름 말쯤이나 가을 초쯤 알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화성의 첫 비행장 이름은 ‘라이트 형제 필드’
동아사이언스
l
2021.04.20
데이터에 따르면 인저뉴이티는 계획된 최대 고도인 3m까지 상승했다. 인저뉴이티는 총 39.
1
초간 날며 30초 동안 안정적인 제자리 비행(호버링)을 유지했다. 인저뉴이티가 비행에 성공한 것을 공식 확인한 시간은 데이터가 도착한 미국 동부 시간 기준
1
9일 오전 6시 46분(한국시간 오후 7시 46분)이 ... ...
이전
1310
1311
1312
1313
1314
1315
1316
1317
13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