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발"(으)로 총 11,877건 검색되었습니다.
- [똥손 탈출! 박 기자의 수학 체험실] 허니콤 종이로 감사의 마음을 전해요!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1호
- +놀이북 23쪽과 함께 보세요! “아니, 당신은 손만 대면 무엇이든 망가뜨린다는 전설의 똥손 기자?” 그런데 박 기자, 어쩐지 자신만만합니다. 손에 든 상자를 슬쩍 보니, 허니콤 종이가 가득 담겨있어요. 5월 감사의 달을 맞이해 입체카드에 고마운 마음을 담아보겠다는데…. 과연 박 기자는 성공 ... ...
- [수학뉴스] 어려운 의견 모으기, 수학으로 빠르고 효율적으로!수학동아 l2021년 01호
- 교수가 이끈 공동연구팀이 다수가 만족할 만한 결정을 내릴 수 있는 알고리듬을 개발했습니다.연구팀은 먼저 사람들의 관계를 고려하면서 비슷한 의견을 가진 그룹끼리 분류했습니다. 그리고 각 그룹의 의견 차이를 거리로 나타낸 뒤 그 거리를 최소화하는 함수식을 만들었습니다. 그렇게 나온 ... ...
- [과학뉴스] 브레이크댄스 추는 문어 로봇은 처음이지?과학동아 l2021년 01호
- 로봇은 한 발을 디디는 데 12시간이 걸려 속도가 느리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번에 개발한 소프트 로봇은 자기장으로 움직임을 조정하는 방식을 도입해 1초에 한 걸음씩 움직인다. 가벼운 물체를 옮겨 원하는 자리에 내려놓을 수도 있다. 물체가 점성 때문에 로봇에 달라붙어 떨어지지 않으면, ... ...
- 단백질 구조 50년 수수께끼 풀었다, 구글 인공지능 알파폴드2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예측해 단백질의 기능에 대한 단서를 얻을 수 있고, 질병과 관련된 단백질의 경우 신약개발 연구에도 활용할 수 있다. 여러 단백질 사이의 상호작용을 예측해 단백질의 기능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도 있다. 필자를 비롯한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알파폴드2의 방법을 확장해, 머지않아 강하게 ... ...
- [신 기후체제] 당신은 늙어 죽지 못할 수도 있다...지구 온도 1.5℃를 지켜라 파리협정과학동아 l2021년 01호
- 등과 녹색협력을 강화하고, 녹색기후기금(GCF), 글로벌녹색성장연구소(GGGI) 등을 통해 개발도상국의 기후변화 대응을 지원하는 포용적 국제협력을 추진할 예정이다.올해 5월 말에는 국내에서 제2차 녹색성장 및 글로벌목표 2030을 위한 연대 정상회의(P4G· Partnerning for Green Growth and the Global Goal ...
- [인포그래픽] 탄소 저감 기술 무엇이 있나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이에 전 인류는 지구의 탄소 농도를 줄이기 위한 기술 개발에 열중하고 있다. 지금까지 개발된 탄소 저감, 흡수 그리고 기후적응 기술이 총집합된 탄소중립 도시를 소개한다 ... ...
- [신 기후체제] 기후위기 극복 나선 ‘쿨한’ 기업들과학동아 l2021년 01호
- 물 사용 절감 등 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한 항목 8가지를 평가해 등급을 매기고 있다. 연구개발(R&D)을 담당하는 연구소가 LEED에서 인증을 받은 것은 이례적인 일로 평가 받는다. 지난해 12월 기준으로 국내에서 LEED 인증을 받은 건물은 170여 개로, 이 가운데 연구소는 한국타이어, 코오롱 등의 연구소 ... ...
- [과동프렌즈] 99%를 100%로...과학계 논쟁 해결하는 과학자가 꿈과학동아 l2021년 01호
- 보이는 친구 이야기를 하며 “아직 명쾌한 탈모 예방법이나 치료법이 없는데, 치료제를 개발하면 친구뿐 아니라 전 세계 사람들에게 도움이 될 것 같다”고 말했다. 김 군은 “어렸을 적에는 가야금과 바이올린을 배웠고, 현재는 학교에서 종종 드럼을 치는 등 평소 예술 분야에도 관심이 많다”며 ... ...
- [신비아파트] 오싹오싹 귀신, 수학으로 퇴치!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1호
- 가능하다고 생각하시나요?정보를 전달하는 역할만 대체하리라 생각해요. 물론 기술 개발로 인간의 감정을 흉내낼지도 모르지만, 그 상황에서 목소리 떨림과 호흡을 표현하지는 못하리라 생각해요. 어수동 : 성우가 AI보다 더 잘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부분은 무엇인가요?구하리의 정의로움을 더 잘 ... ...
- [헥!헥!핵물리학자] 미래 과학자여, 뒤를 부탁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4호
- 고려하면, FCC가 내는 힘은 훨씬 크겠죠? FCC를 건설하려면 비용도 마련해야 하고 기술도 개발해야 해 앞으로 적어도 20년은 걸린답니다. 딱 여러분이 연구자가 될쯤이겠군요! 알던 입자도 먹고, 뜯고, 맛보자! 표준모형 안에도 연구할 주제가 남아 있어요. 첫인상만으로는 새로운 친구를 판단할 수 ... ...
이전1271281291301311321331341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