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교환"(으)로 총 1,337건 검색되었습니다.
- 화상회의 시대가 열린다과학동아 l1986년 07호
- 통해서 해결해야 할 사항들이 증가 되어가고 있다. 회의는 여러사람이 모여서 정보를 교환 처리해 창조적인 결과를 만들어내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화상회의(TV CONFERENCE) 시스팀은 멀리 떨어져 있는 회의실을 영상 및 음성회선으로 연결하여 회의 참석자가 현재의 위치에서 상대방이 나타나는 ... ...
- 컴퓨터 사회를 해석하는 필수 도구과학동아 l1986년 06호
- 설치되고 국제간의 정보교환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모든 기업들은 대규모정보를 수집 교환하기 위한 기업내의 통신시스템이 이루어져야 한다. 일례로 기업이 SBS(Satellite Business System)위성을 어떻게 이용하는가를 보기로 하자. 본사, 지점, 공장 등과 상호관련되어 있는 컴퓨터의 자료는 물론, 전화의 ... ...
- 컴퓨터 시스템용 한글코드 변환 장치 개발과학동아 l1986년 06호
- 것으로 그동안 한글코드가 달라 이들을 시스템화할 경우 이기종 컴퓨터간에 한글정보의 교환이 어려웠던 단점을 완전히 해소한 것. 한글 코드 표준화에 새로운 접근 방식으로 평가되는 이 변환 장치로 호환성과 경제성이 뛰어난 컴퓨터 네트웍 시스템 운영이 가능하게 되었을 뿐 아니라 한글 ... ...
- 한국의 원전은 안전한가 「통합적이고 완전한 안전대책」모자라다는 지적과학동아 l1986년 06호
- 되지 않고 높은 온도를 유지하게한다. 이 뜨거운 물을 증기발생기로 보내 2차계의 물과 열교환을 해 증기를 발생시킨다. 이 증기가 터빈을 돌려 전기를 생산한다.우리나라 원자로의 주공급자는 미국이다. 원자력3호기를 뺀 1호기에서 8호기까지의 6기는 미국의 '웨스팅 하우스'가, 3호기는 캐나다 ... ...
- 뉴튼, 다윈이후의 영국의 현대 과학자 5인과학동아 l1986년 06호
- 12시, 오후 3시에 그들은 대식당에 모여 차를 마시며 잡담을 한다. 그 속에서 탁월한 의견교환도 이루어진다. 이것이 바로 좋은 아이디어가 생기는 윤활제로 되는 것이다. 이런 실험이 잡담시간으로 지연되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들겠으나 백업(Back up)체제가 잘되어 있어 실험준비는 조수가 다 ... ...
- 국토개발과 기후변화과학동아 l1986년 06호
- 양 그리고 증발량도 다르다. 그러므로 지표의 변화는 대기와 지표사이에 에너지와 물교환이 달라지게 하며 따라서 기존 열평형과 물수지가 새로 이루어져 기후가 변하게 된다. 따라서 농경지의 개발, 댐건설, 하천유로의 변경, 해류의 변경 그리고 태양에너지의 인공조절 등으로 지표를 변화시키는 ... ...
- 기상의 인공조절은 어디까지 가능한가과학동아 l1986년 06호
- 조절하는 방식이다. 세째는 지표면의 물리적 성질을 변화시켜 대기계와 지표면간의 열교환 과정을 변화시키고 따라서 이를 통해 장기적인 날씨의 변화를 꾀하는 방식이다. 오늘날 인공기상조절이라는 말을 쓸 때는 둘째 부류에 속하는 구름씨뿌리기(cloud seeding)에 의한 기상조절을 의미한다 ... ...
- 사무자동화의 최첨단기술과학동아 l1986년 06호
- 및 영상 데이타들도 충분히 취급하게 될것이다. 결국 현재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사설 교환기처럼 LAN도 보편화가 될것이다. LAN기술도 발전하여 다양한 기기를 접속하게되고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어 LAN을 제외하고는 컴퓨터의 이용을 생각할 수 없을만큼 통신의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할 ... ...
- 시스템분석과정 기업위탁생모집과학동아 l1986년 06호
- 6월10일이다. 본과정 참가를 희망하는 기관에서는 마감일 이전에 교육훈련본부(782-7701/5 교환2712, 2713)으로 신청하면 된다. 신청인원이 모집정원을 초과할 때는 신청접수순으로 수강생을 선발한다. 한편 정보통신훈련센터는 최근 업계로부터 호평을 받고 있는 동센터 제 4기 시스템분석과정 개강식을 ... ...
- 수확량, 품질을 획기적으로 높이는 기적의 새농법 눈앞에과학동아 l1986년 06호
- 하는데, 육성기간을 단축시키 위해 온냉조절실(温冷調節室)을 이용, 연간 3~4회나 인자교환재배와 세대촉진을 한 결과 3년만인 81년에 일단 개발에 성공했다. 농촌진흥청 산하 맥류연구소에서 개발해낸 찰보리는 새로운 품종으로 인정받기 쉬해 82~83년에 생산력검정과 품질특성검정을 실시했고, 8 ... ...
이전1271281291301311321331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