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용
기교
기술
능력
재주
솜씨
구실
d라이브러리
"
기능
"(으)로 총 5,763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교란 초음파 쏘는 박쥐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코코란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박쥐의 초음파가 탐지, 소통뿐만 아니라 재밍
기능
도 한다는 것을 알아냈다”며 “다른 박쥐 종이나, 돌고래처럼 수중 음파를 쓰는 다른 동물도 재밍을 하는지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 ...
[hot science] 동물은 왜 수컷이 더 클까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종의 기원’으로 유명한 찰스 다윈은 수컷이 암컷보다 훨씬 더 큰 이유를 수컷끼리의 경쟁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러한 ‘짝짓기 경쟁’ 가설은 20세 ... 아직 모르는 게 많다. 유전적 배경도 베일에 싸여있다. 최근에 크게 발달하고 있는
기능
유전체학이 이 비밀을 풀어 주리라 기대한다 ... ...
[교과연계수업] 내 몸이 탈수 상태라고? 물 마시기 프로젝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1호
머물러 있는 시간은 늘어나고 항문 밖으로 내보내는 배변활동이 어려워 변비가 된다. 뇌
기능
저하 뇌는 85%가 물로 이뤄져 있다. 물이 2%만 부족해도 단기기억력이 떨어지고 기본적인 수학계산이나 집중해서 글을 보는 것이 어려워진다. 여드름 오줌 말고 땀으로도 몸속의 노폐물이 배출된다. ... ...
내 몸은 탈수 중 물 마시기 프로젝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찬물을 한 잔 마시면 보약보다 좋다고 합니다. 혈액 속의 독소를 제거하는 신장이 제
기능
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지요.➋ 자주 마시자갈증이 나는 것은 이미 내 몸에 물이 부족한 뒤에 나타나는 신호입니다. 따라서 갈증을 느끼지 않도록 활동하는 공간에 물을 놓고 자주 자주 ... ...
Part 3. 총성 없는 전쟁, 사이버테러
수학동아
l
2014년 11호
사이버테러는 인터넷을 통해 시스템에 침투해 데이터를 파괴하고 네트워크
기능
을 마비시키는 신종 테러다. 최근에는 단순한 네트워크 공격에 그치지 않고 인명 피해를 일으킬 수 있는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대표적인 예가 2009년 이란의 우라늄 농축시설을 공격해 핵개발용 원심분리기 1000여 개를 ... ...
[체험] 두근두근 생애 첫 코딩, 스크래치를 만나다!
수학동아
l
2014년 11호
팀마다 리더를 뽑고, 주어진 미션을 수행하고 결과를 발표하면서 자연스럽게 스크래치
기능
을 배웠다.“처음 만난 친구들과 팀 미션을 하려니까 어색했어요. 하지만 여러 가지 미션을 수행하면서 서로 궁금한 것은 물어보고 도우면서 자연스럽게 협동심을 발휘할 수 있었어요. 가장 기억에 남는 ... ...
PART 2.Y가 사라진 세상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아기를 낳을 수 없게 된 것이다. 간혹 SRY 유전자가 발현하지 않은 수정란만이 제대로
기능
하는 생식기관을 가진 여성으로 태어났으나 아주 적었다. 임신 가능한 여성이 급격하게 줄어들자 인간 사회는 혼란에 빠졌다. ‘여성 보쌈’이 커다란 사회문제가 되면서 각 가정은 딸을 함부로 밖으로 ... ...
[hot science] 개코보다 코끼리코!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이렇게 많은 유전자를 다 어디에 쓰는 걸까요. 연구팀은 “OR유전자 각각의 구체적인
기능
은 아직 잘 모른다”며 “아프리카코끼리가 처한 환경에서 살아가는 데 매우 중요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언제라도 굶어 죽거나 포식자에게 잡아 먹힐 수 있는 야생동물에게 후각은 꼭 필요한 감각입니다. ... ...
[knowledge] 우주 미아 찾기 대작전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위성이 다시 돌아올 때 그의 나이는 98살이 된다. ISEE-3호의 여정탐사선으로서의
기능
은 끝났지만 ISSE-3호의 모험은 끝나지 않았다. 공개모금에 참여했던 구글은 ‘스페이스 크래프트 포 올’이란 사이트를 만들어 ISEE-3호의 정보를 공개했다. 화려한 3D 그래픽과 반응형 브라우저로 ISEE-3호의 ... ...
[life & tech] “2022년, 인간 단백질 지도 완성한다”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과학자들은 열광했다. 하지만 각 유전자가 무슨 단백질을 만들고 어느 세포에서 어떤
기능
을 하는지는 정확히 알지 못했다. 설계도만으로는 인간을 구성하는 ‘부품’ 즉 단백질에 대한 정보까지 알 순 없었던 것이다.과학자들은 설계도가 가리키는 위치에 부품이 실제로 있는지, 각 부품이 어떻게 ... ...
이전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