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로봇"(으)로 총 2,376건 검색되었습니다.
- 막연한 꿈은 그만. 구체화하라과학동아 l2012년 04호
- 만일 어떤 로봇을 만들기로 결정하고 사업을 시작했는데, 이미 다른 회사에서 비슷한 로봇이 출시됐다면 그동안의 노력은 헛수고가 된다. 따라서 뉴스를 꼬박꼬박 챙겨 보고 책도 읽어야 한다. 사람도 많이 만나야 정보력이 생긴다. “사람을 보는 안목도 있어야 해. 일을 혼자 다 할 수는 없으니까 ... ...
-
- 기계항공공학과학동아 l2012년 04호
- 예를 들어 차세대자동차 분야는 지능형 차량, 저소음 차량, 안정성 구조 등을 연구하고 로봇 공학은 운동 제어, 시각 청각 정보 처리 등을, 항공기 추진 분야는 로켓 엔진에 대한 연구를 한다.대학원 졸업 후에는 기업이나 정부출연연구소 등으로 진출할 수 있다.7 취업을 선택하면요?기계항공공학은 ... ...
-
- DNA오리가미로 나노로봇 만든다과학동아 l2012년 04호
- 속에 있던 항체가 암세포 표면의 항원과 결합해 성장을 억제한다.연구자들은 “나노로봇을 이용하면 다양한 측면에서 세포의 행동을 조절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DNA오리가미는 그 자체로도 흥미로운 대상이지만 새로운 생체조절물질로 쓰일 수 있다는 말이다. 생명체가 생명정보를 담는 ... ...
-
- 공간을 지배하는 자, 자기장과학동아 l2012년 04호
- 바꿔야 하는데, 이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정류자다.전동기는 생활 곳곳에 이용된다. 로봇청소기도 전기 에너지를 운동 에너지로 전환시키는 전동기에 의해 다양한 운동이 가능하다. 생활에 실제로 사용되는 전동기는 구조도 복잡하고 자기장과 전류의 세기 또한 크고 다양한 조건에서 사용되지만, ... ...
-
- Part2. 인공 뇌 만들기과학동아 l2012년 03호
- 있고, 뛰어난 인공지능도 개발할 수 있다”고 말했다.미국의 SF작가 아이작 아시모프의 ‘로봇’ 시리즈를 보면 ‘양전자 뇌’가 등장한다. 설정에 따르면 양전자 뇌는 백금과 이리듐, 양전자(전자의 반물질)로 만든 인공 뇌다. 아시모프는 작품 속에서 양전자 뇌를 만드는 원리를 자세히 설명하지 ... ...
-
- 암세포만 골라 죽이는 DNA 로봇과학동아 l2012년 03호
- 때문에 뉴클레아제에 의해 파괴된다는 단점이 있다. 아이도 배철렛 박사는 “DNA로봇에 폴리에틸렌글리콜 같은 물질을 코팅하면 이 점을 보완할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2월 16일자 ‘사이언스’에 실렸다 ... ...
-
- Part3. 뇌보다 똑똑한 인공 뇌과학동아 l2012년 03호
- 앞으로 사람의 뇌를 스캔해 기계에 업로드하는 세상이 온다고 예측했다. 뇌 속에 나노로봇을 넣어 뉴런의 상태와 활동을 낱낱이 기록한 뒤 슈퍼컴퓨터에 전송해 시뮬레이션한다는 생각이다. 인공 뇌가 완성된다면 한 사람의 뇌 정보를 인공 뇌에 고스란히 전송할 수도 있을 것이다. 소프트웨어 ... ...
-
- 미션따라 변신하는 팔방미인 로봇과학동아 l2012년 03호
- 삶을 윤택하게 만들고 불편한 것을 편리하게 만드는 것은 세상에 널렸다. 그 중에 로봇은 궁극적으로 개인의 친구로 가장 친숙한 도구가 될 것이다. 로보랩에서 그 미래를 조금이나마 엿볼 수 있다 ... ...
-
- Part1. 자연 쿠션의 비결3과학동아 l2012년 03호
- 밀어내기 때문이다(초소수성). 지난해 7월 중국 하얼빈공대 연구팀은 1.5kg짜리 소금쟁이 로봇을 개발했다. 소금쟁이의 발 끝을 본떠 물을 밀어내도록 설계한 것이다.[물에 빠지지 않고 수면으로 빠르게 뛰어가는 바실리스크 도마뱀. 자기 몸무게의 3배나 되는 힘으로 물을 내리쳐 공기쿠션을 만들어 ... ...
-
- 2012 FLL KOREA 현장 속으로과학동아 l2012년 03호
- 직접 메일을 보내 부탁한 것이다. 조영도(경기 안산시 상록중 3학년) 학생은 “로봇 설계와 식품에 대한 공부, 두 프로젝트를 함께 준비하는데 꼬박 한 달을 썼지만 그만큼 식품과 식품미생물에 관해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었다”고 소감을 말했다. 김태호(인천 서운동 계수중 1학년) 학생도 “학교에서 ... ...
이전1271281291301311321331341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