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생명"(으)로 총 5,70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생리의학상] 생체시계 유전자들의 하모니 ‘분자시계’ 규명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이런 점이 생체시계 발견을 이끈 원동력이었을 것이다. 임정훈울산과학기술원(UNIST) 생명과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RNA 번역에 의한 유전자 발현, 분자시계 및 루게릭 병의 조절 원리를 연구하고 있다. clim@unist.ac ... ...
- [Origin] 이기적 유전자는 왜 중요한가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유전자’라는 은유가 무얼 뜻하는지 짚었다. 유전자, 개체, 집단, 종, 군집, 생태계 등 생명의 여러 수준 가운데 자연 선택에 의해 그 복제 성공도가 최대화되는, 따라서 도킨스가 ‘이기적’이라고 은유한 실체가 유전자라는 뜻이었다. 그런데 왜 선택의 단위가 유전자인지, 혹시 유전자 대신 ... ...
- [Career] 국내 뇌과학 연구의 미래를 엿보다 고려대 ‘뉴런(NEW LEARN)’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위해 환경생태공학부, 컴퓨터학과, 바이오의공학과, 심리학과, 바이오시스템의과학부, 생명과학부 등 다양한 전공의 회원들이 팀에 모였다. 뇌파 측정기와 드론을 연결하고, 이 과정을 프로그래밍했다. 지난해 3월부터 시작한 프로젝트는 겨울방학까지 10개월 넘게 이어졌다. 비록 실험에 완벽하게 ... ...
- [Issue] 잘 나가는 크리스퍼 ‘처녀생식’ 논란과학동아 l2017년 11호
- 54개로 대폭 늘렸다. 때문에 논문이 공개되자 학계의 관심이 쏠렸다. 그런데 8월 28일 생명과학 분야 논문 초고 온라인 등록 사이트인 ‘바이오아카이브(bioRxiv.org)’에 이들의 연구 결과에 의문을 제기하는 논문이 올라왔다. 게놈 연구로 유명한 조지 처치 미국 하버드대 의대 교수, 디터 에글리 ... ...
- Part 2. [화학상] 현미경의 ‘혁명’을 이끌다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전, 그는 기자에게 LMB에서 함께 일했던 한국인 동료 이야기를 했다. 이현숙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와 이수재 충북대 약대 교수 등이다. 인터뷰를 마친 뒤에는 이병길 박사에게 “함께 사진을 찍자”며 “사진이 언론에 나가면 이 박사도 한국에서 유명해질 것”이라며 농담을 건네기도 했다 ... ...
- [과학뉴스] 전통 한지로 ‘종이 전극’ 개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웨어러블 기기에 적합한 슈퍼 커패시터(대용량 축전기)가 개발됐다. 조진한 고려대 화공생명공학과 교수와 이승우 미국 조지아텍 교수는 공동으로 전통 한지를 이용해 유연하게 휘어지면서도 출력이 높은 슈퍼 커패시터를 개발하는 데 성공해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9월 14일자에 게재했다 ... ...
- [과학뉴스] 파킨슨병 원인, 30년 만에 뒤집혔다과학동아 l2017년 11호
- 파킨슨병 환자에게서 나타나는 다양한 증상을 설명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김대수 KAIST 생명과학과 교수팀은 기저핵의 운동신경이 흥분할 경우 파킨슨병이 발병한다는 내용을 밝혀 신경과학분야 국제학술지 ‘뉴런’ 8월 30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쥐의 기저핵 신경을 빛으로 자극해 파킨슨병 ... ...
- Part 2. 슈퍼맨의 히트비전 고출력 광섬유 레이저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때 한국도 기술 개발에 속도를 내야 한다. 영화를 초월한 기술이 국가 안보와 국민의 생명을 지키는 그날을 기대해 본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저스티스리그 슈퍼 히어로의 무기Part 1. 배트맨의 검은 배트슈트, 최소 두께 가진 최강 그래핀으로Part 2. 슈퍼맨의 히트비전 고출력 ... ...
- Part 6. 사이보그의 캐논포 바이오닉 팔로 해결과학동아 l2017년 11호
- 기계적 요소가 결합된 생명체를 뜻한다. 넓은 의미로는 손상된 뼈나 관절을 인공 뼈나 인공 관절로 대체한 사람, 치아 임플란트 시술을 받은 사람도 사이보그의 범주에 포함시키기도 한다. 하지만 보통은 능동적으로 작동하는 기계장치를 체내에 이식한 경우를 사이보그라고 부른다. 흔히 ... ...
- Part 4. [이그노벨상] 고양이는 고체일까, 액체일까?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어떻게 흔들리는지, 넘치지 않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연구한 결과를 지난해 6월 생명과학 분야 국제학술지(Achievements in the Life Sciences)에 발표했다(doi:10.1016/j.als.2016.05.009). 한 씨는 과학동아와의 e메일 인터뷰에서 “2015년 민족사관고등학교에 다닐 때 국가대표로 국제물리토너먼 ...
이전1271281291301311321331341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