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생물"(으)로 총 6,61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한반도, 정말 아열대가 될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거예요. 이런 징후는 벌써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지요. 아열대 지역에서만 살던 바다 생물들이 한반도의 바다에 나타나는가 하면, 따뜻한 남쪽에서 살던 식물들이 점차 북쪽으로 올라오고 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후끈후끈~! 한반도는 아열대로 변신중?!Part 1. 한반도, 정말 ... ...
- [과학뉴스] 1억 2500만 년 전 비듬의 주인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발표했어요.이 비듬의 주인공은 바로 공룡이에요. 연구진은 중국 베이징의 ‘척추동물 고생물학 및 화석학 연구소’가 소장하고 있는 공자새, 미크로랍토르, 베이피아오사우루스, 시노르니토사우루스 등 쥐라기와 백악기에 살았던 네 종류의 공룡과 원시 새 화석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했어요. 그 ... ...
- [팩트체크 4] DMZ, 멸종위기종의 천국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5978종의 생물이 살고 있었답니다. 이 숫자는 한반도 생물종의 약 24%, 우리나라 멸종위기 생물의 41%에 해당해요. DMZ가 우리나라 면적의 1.6%에 불과한 좁은 지역이라는 것을 고려하면 엄청나게 많은 수지요. 이에 우리나라 통일부는 5월 2일, DMZ 지역을 세계생태평화공원으로 만들 준비를 시작하겠다고 ... ...
- [이달의 사물] 호랑가시나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호랑가시나무의 일종인 양호랑가시나무(Ilex aquifolium)로 만들어지기도 했습니다. 생물학적으로는 감탕나무과 감탕나무속 식물로, 뾰족뾰족한 모양의 늘 푸른 잎이 특징입니다. 크리스마스 즈음에 빨간 열매를 맺죠. 호랑가시나무는 종류가 400~600종이나 됩니다. 그 중 한국과 중국에 분포하는 ... ...
- [Career] DGIST 뉴바이올로지전공 - 암세포 하나씩 분석 생물정보학의 메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이를 분석하기 위해 김 교수는 분석 툴도 자체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김 교수는 “생물학 연구와 컴퓨터 데이터 처리 연구를 동시에 진행하는 것이 우리 연구실의 강점”이라며 “단일 세포 연구에 좋은 성과가 나오면 암 환자별 맞춤 치료도 가능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 ...
- [서울대 공대| 재학생 인터뷰] ‘최고의 학과’ 만드는 ‘최고의 학생’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진학했고, 공부를 하면서 순수과학보다는 응용과학이 잘 맞을 것 같다고 생각해 화학생물공학부에 지원했다. 표 씨는 과학고 출신이라도 내신 성적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과학고에서는 조기졸업도 내신 성적으로 커트라인을 정하기 때문에 내신 관리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내신이 ... ...
- [핫이슈] 바이오블리츠 코리아 2018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지난 5월 26일부터 27일까지, 국립수목원 등의 주최로 ‘바이오블리츠 코리아 2018’이 열렸어요. 대전 만인산자연휴양림에서 열린 이번 탐사에 ... 소감을 밝혔어요. 또, 이연우 대원은 “생물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함께 어울려 생물에 대해서 알아보는 점이 좋았다”고 말했지요 ... ...
- Part 2.깃털의 원조는 공룡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색을 복원할 수 있는 기술이 등장했기 때문이다. 2010년 중국 베이징자연사박물관의 고생물학자 췐궈 리 연구원팀은 주사전자현미경(SEM)을 이용해 공룡의 깃털 화석에 보존된 멜라노솜(색소세포를 만드는 세포 소기관)을 관찰하는 데 성공했다. 이들이 관찰한 공룡은 안키오르니스(Anchiornis)로, 약 ... ...
- 영장류자원지원센터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있다. 한 예로 미국 농무부(USDA)가 올해 9월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에서 생물의학 연구에 사용된 원숭이 수는 사상 최고치인 7만6000마리를 기록했다. 한국도 최근 10년 동안 영장류 수입 두수가 7배가량 증가해 지난해에만 2403마리의 영장류를 연구에 사용했다. 이는 영장류를 이용한 ... ...
- 코딩으로 수학 배우고 R&E까지 폴수학학교수학동아 l2018년 12호
- 것이다. 김 군은 수학과 코딩을 함께 배우면서 진로에 대한 구체적인 꿈도 갖게 됐다. 생물학에 관심이 많은 김 군은 “질병에 대한 데이터를 모아서 분석한 뒤 조금 더 효과적인 약을 만드는 연구를 해 보고 싶다”고 말했다 ... ...
이전1271281291301311321331341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