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효과
결과
영향력
여파
작용
효능
효험
d라이브러리
"
영향
"(으)로 총 7,582건 검색되었습니다.
[10대의약] 수능 보다가 배 아프면 어떡하지 과민성대장증후군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제시되고 있습니다. 최근 남자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 따르면 짧은 수면시간도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doi: 10.15434/kssh.2019.32.1.1과민성대장증후군은 크게 네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설사가 주된 증상인 설사 우세형(IBS-D), 변비가 주된 증상인 변비 우세형(IBS-C), 설사와 변비가 ... ...
지능×유전 지능도 노력하면 좋아지나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교수로 재직 중이다. 뇌영상 기법을 이용해 유전자와 환경이 뇌에 미치는
영향
을 연구하고 있다. 영국 옥스퍼드대 교재인 ‘더 바이폴라 브레인(The Bipolar Brain)’ 집필에도 참여했다.kjieun@ewha.ac.kr *용어정리단일염기다형성(SNP)유전체에서 평균 300개의 염기에 하나꼴로 일어나는 변이. 인간의 DNA는 9 ... ...
후쿠시마 오염수 팩트체크 Q&A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일본은 왜 오염수를 방류할 계획을 세웠을까요. 방류된 오염수는 언제, 어떻게 우리에게
영향
을 미칠까요. 후쿠시마 오염수에 대한 ‘팩트’를 알아봤습니다. ▼ 더 많은 기사를 보려면INTRO. 후쿠시마 오염수 팩트체크 Q&AQ1. 원전은 멈췄는데 오염수는 왜 자꾸 늘어나는가?Q2. 오염수를 왜 바다에 ... ...
[프로듀스X101] 수학 정리로 알아보는 투표 조작 의혹 쟁점3
수학동아
l
2019년 10호
수 있습니다. 최종 득표수가 얼마나 부풀렸는지에 따라서 3차까지의 득표수 합계보다 큰
영향
을 줄 수 있는 거죠. 1~3차 투표에 조작이 없었다는 전제로 이 연구원이 3차까지의 득표수를 반영해 계산한 결과 최종 득표수가 공개된 수의 절반이 조금 안 되는 605만 표 이하라면 11위는 현재의 이은상 ... ...
[에디터노트] 과학에서 머리카락이란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얻은 DNA 정보로 얼굴을 예측하는 기술도 개발되고 있다. 가령 머리카락 색깔은 유전자의
영향
을 받는데, 정확도가 75% 수준이다.머리카락은 심지어 블랙홀 물리학과도 연결된다. 그리고 지난해 작고한 영국의 이론물리학자 스티븐 호킹 박사에게는 최근 ‘패배’를 안겨줬다.1960년대 미국의 ... ...
[과학뉴스] 사람 때문일까? 돌고래도 항생제 내성 피해 본다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병원체의 항생제 내성과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며 “해양 생물도 인간의 항생제 사용에
영향
을 받는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수생 포유류’ 9월 11일자에 실렸다. doi: 10.1578/AM.45.5.2019.53 ... ...
지능×뉴런 지능은 어디에 있을까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변하는지 확인한다. 이를 통해 학계에서는 두정엽과 전두엽이 특히 지능에 미치는
영향
이 크다는 ‘두정엽-전두엽 통합 이론’이 통용됐다.그런데 2017년 필자는 그간 지능과의 연관성이 잘 알려지지 않았던 측두엽과 소뇌 역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밝혀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 ...
[전지적 수학시점] 리그오브 레전드, 맨허튼 거리로 사거리 측정하기
수학동아
l
2019년 10호
멀리 있는 적에게 돌진하며 부딪히는 적을 밀어냅니다. 만약 내 챔피언 중 가장 승부에
영향
이 큰 챔피언을 보호하려면 챔피언들의 공격 사거리를 알아야 합니다. 전략적 팀 전투의 게임판은 특이하게 정육각형으로 이뤄져 있습니다. 현재 유저들은 각 캐릭터의 사거리를 ‘칸 수’로 측정하고 ... ...
지구사랑탐사대 7기 발대식! 2500명이 생태계 지키러 간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0호
동안 녹음한 뒤 앱에 올려달라”며, “이를 통해 도시 소음이 생물의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을 알아낼 계획”이라고 설명했지요. 선충 탐사를 이끌 서울대학교 유전과발생연구실의 김준 연구원도 눈길을 끌었어요. 투명한 몸이 뱀처럼 꼬불거리는 선충을 보여주었지요. 김 연구원은 “곰팡이가 필 ... ...
[과학뉴스] 엉뚱하다고? B급이라고? 2019 황금거위상 vs. 이그노벨상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2012년 미국 정부의 기초과학 예산 삭감에 반발하는 의미로 허황돼 보이지만 인류에게 큰
영향
을 끼친 연구에 수여하는 ‘황금거위상’을 만들었다. 올해 9월 9일 ‘제8회 황금거위상’은 5명의 수상자에게 돌아갔다.잭 레빈 미국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대(UC샌프란시스코) 의대 교수와 고(故) ... ...
이전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