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승인
수긍
긍정
승낙
시인
친절
허락
d라이브러리
"
인정
"(으)로 총 3,017건 검색되었습니다.
무한을 향한 도전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많은 사람들이 갈망했음에도 불구하고 감히 다가갈 수 없는 세계였다. 그러나 무한을
인정
하면서 수학은 놀랍도록 발전했다. 무한에 대한 인류의 호기심은 끝없이 작아지는 것을 무한히 많이 더하는 것을 가능하게 했고, 미적분학과 집합론을 거쳐 이제 무한을 유한처럼 손쉽게 다룰 수 있게 됐다 ... ...
GMO는 인류 식량 문제 해결할까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거론할 때 가장 중요한 사건으로 지목되는 ‘녹색혁명’이다. 볼로그 박사는 이 공로를
인정
받아 과학자로는 드물게 1970년 노벨평화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당시 노벨위원회는 “볼로그 박사는 10억 명의 생명을 구했다”고 평가했다.오래전부터 연구되던 GMO가 10년 사이에 급격히 주목받고 있는 것도 ... ...
수학자? 과학자?②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00년 가까이 싸웠다. 결국 지금은 뉴턴과 라이프니츠가 각각 따로 미적분법을 발견했다고
인정
받고 있다.과학파스칼은 물리학에도 관심을 갖고 훌륭한 업적을 남겼다. 가장 잘 알려진 업적이 압력에 관한 원리다.파스칼은 1646년 토리첼리의 대기압 실험에 대해 들은 뒤 수은을 이용해 같은 실험을 해 ... ...
최초의 수학자와 과학자는 누구?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남아 있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은 탈레스를 최초의 수학자이자 과학자로
인정
하고 있다.기록에 따르면 수학자로서의 탈레스는 몇 가지의 기하학 정리를 증명했다. 이렇게 어떤 발견을 해 냈다고 이름이 기록에 남은 수학자는 역사적으로 탈레스가 처음이다. 또한 그림자의 길이를 ... ...
수학자? 과학자?①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있었다. 하지만 후세의 그리스 철학자들은 탈레스가 기하학을 논리적으로 확립한 공로를
인정
하고 있다.르네 데카르트(1596~1650) 수학데카르트는 기하학과 대수학을 결합시켰고, 오늘날 쓰는 수학 기호를 여럿 만들었으며, 직각으로 만나는 두 축을 이용한 좌표체계를 만들었다.우리가 오늘날 ... ...
끝이 없는 신비의 수, 무리수
수학동아
l
2010년 03호
피타고라스가 오래 전 이미 ‘무리수’의 존재를 알았지만 19세기가 돼서야 무리수를
인정
한 것처럼 말이다. √는 라틴어로 뿌리(radix)를 뜻하는 단어의 머리글자 r이 변형된 것으로 1525년 크리스토프 루돌프가 처음 사용했다.대표적인 무리수 π와 e원주율 π: 원의 크기에 관계없이 원 둘레를 ... ...
숫자로 풀어 보는 바둑의 원리
수학동아
l
2010년 03호
바둑은 처음으로 정식종목이 됐다. 금메달이 3개나 걸려 바둑이 또 하나의 스포츠로
인정
받은 셈이다. 이 글에서는 바둑을 전혀 모르는 사람도 바둑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원리를 설명하고자 한다. 바둑돌을 전기를 띤 알갱이로 비유하는 방식으로 말이다. 평소 생각을 정리한 것이지만 필자의 바둑 ... ...
끝없는 도전의 산물 NASA 우주복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1958년 ‘머큐리’ 프로젝트가 시작되면서 다시 채용됐다. 가볍고 개량하기 쉽다는 점을
인정
받은 것이다.산소는 우주복의 허리에 달린 호스를 통해 들어가 순환하며 체온을 식혀 준 뒤 헬멧 오른쪽에 달린 배출구로 나간다. 배출구는 우주선의 생명유지 장치에 연결돼 남은 산소를 걸러내 다시 ... ...
구글어스로 재난 복구 돕고 신종 생물 찾는다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한다.이런 노력의 결과일까. 고고학에서는 구글지도를 새로운 연구수단으로 이미
인정
하고 있는 분위기다. 요즘 고고학 연구는 실제 탐사현장이 아닌 연구실의 컴퓨터 앞에서 이뤄지는 경우가 많다. 미국 앨라배마대의 새라 파캑 교수도 구글의 사진지도를 활용해 100개가 넘는 이집트의 고고학 ... ...
새 계획은 왜 항상 작심삼일일까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인지할 수 있기 때문에 조절이 가능하다. 더 큰 문제는 본인이 느끼지 못하는, 또는
인정
하지 않는 감정이다.대표적인 예로 은연중에 부모에게 부정적인 감정을 갖고 있는 자식을 생각할 수 있다. 자식에게 부모는 막강한 존재다. 경제적으로 많은 도움을 받을 뿐만 아니라 정신적으로도 많이 ... ...
이전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