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적용"(으)로 총 4,257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죽음의 손가락’ 지닌 기이한 원숭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가늘고 긴 가운데 손가락과 정교하게 발달한 큰 귀, 그리고 날카로운 앞니다. 신기술이 적용된 최신 도구는 없지만, 자신의 독특한 신체를 먹고 살기 위한 도구로 100%활용한다.아이아이가 애벌레를 사냥하는 모습을 자세히 살펴보자. 먼저 네 개의 발을 이용해 썩은 나무나 대나무를 타고 조용히 ... ...
- [News & Issue] ‘풀풀’ 여름 하수도 냄새… 문제는 정화조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의존할 때보다 비용이 10분의 1로 줄어든다. 현재 서울 광진구와 불광천 등 10여 곳에 적용돼 있다. 향후 확대 보급할 예정이다.하수도 악취 현장조사를 할 때 가장 큰 어려움은 지독한 악취도, 안전사고에 대한 위험도 아니다. 바로 부족한 시간이다. 서울에만 수천만 개의 맨홀이 있는데, 그중 맨홀 ... ...
- Part 3. 미토콘드리아 바꾼 ‘세 부모 아이’ 안전할까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아이도 피할 수 없는 흐름이라는 것이다. 위험성을 꾸준히 경고해 온 다울링 교수도 임상 적용을 반대하지 않는다.“현재는 많은 부모들이 이 기술을 적극적으로 지지하고 있다. 예측되지 않은 그 어떤 부정적인 효과보다, 아이가 치료 방법도 없는 병을 앓을 것이라는 사실이 훨씬 더 고통이 크기 ... ...
- [과학뉴스] 에너지 만들고 돈 버는 ‘똥’ 실험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대변으로 연료를 만들고 돈까지 벌 수 있는 ‘일석이조’의 화장실이 나왔다. 조재원 UNIST 도시환경공학부 교수팀은 대변으로 난방연료와 바이오 디젤을 만드 ... 에너지까지 만들어내는 데 의미가 있다”며 “향후 도시 재생 사업과 연계해 실제로 적용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 ...
- [과학뉴스] 암 RNA 이용한 만능 항암백신 나올까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주목받고 있다. 독일 요하네스구텐베르크의대 우르가 사힌 교수팀은 다양한 암 치료에 적용할 수 있는 ‘만능 백신’ 후보물질을 개발하고 ‘네이처’ 6월 1일자에 발표했다.항암백신은 항원-항체 반응을 이용해 세균이나 바이러스를 파괴하는 백신의 원리를 암 치료에 도입한 것으로, 면역세포가 ... ...
- Part 1. 거대질량 블랙홀 엔진 달고 우주를 밝히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파장도 그만큼 더 많이 늘어난다. 즉, 적색편이 값이 크다(허블의 법칙). 이를 거꾸로 적용하면 천체의 적색편이 값으로부터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슈미트는 3C273의 적색편이 수치를 계산했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별처럼 반짝이는 이 천체가 실은 우리은하 너머 약 20억 광년 떨어져 있는 ... ...
- Part 2. 미토콘드리아에 새겨진 인류의 기원과학동아 l2016년 07호
- 개체 혹은 종별 유전자형을 비교하는 방법이다. 하지만 RFLP를 인간 유전체에 바로 적용할 수는 없었다. 무작위로 자르기엔 지나치게 길었기 때문이다. 새로운 방법을 고민하던 그의 눈길을 끈 것은 미토콘드리아였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체의 염기쌍은 약 1만6500여 개로 길이가 짧다.브라운은 출신 ... ...
- [Knowledge] 화성 탐사? 여성 우주비행사 연구부터과학동아 l2016년 07호
- 18개월, 남성은 24개월(태양활동이 가장 강할 때 기준)로 보고 있다.성별 차이는 선발에 적용 가능이런 차이를 알면 뭐가 달라질까. 한국인 최초 우주인 이소연 씨의 주치의였던 정기영 전 공군 항공우주의료원장(현 글로벌튼튼병원 내과센터 원장)은 “성별 차이를 정확히 알아야 위험에 대비할 수 ... ...
- [Career] ‘빅데이터 재료’ 다듬어 일류 연구 이끈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해양연구자들이 사용할 수 있는 정보로 변환하는 효율을 측정한 결과, 전처리 기술 적용 전·후로 시간당 변환량이 무려 35.7배나 많아졌다.효율증가는 연구주제에도 영향을 미친다. 손 선임연구원은 “예전에는 데이터를 다루는 데 시간이 많이 걸려 논문 한 편에 2~3년치 적조 데이터를 비교하는 ... ...
- Part 2. 수학으로 정체 밝히는 ‘플래닛 나인’수학동아 l2016년 06호
- 플래닛 나인의 지름과 태양으로부터의 거리 같은 데이터를 자체 개발한 수학 모형에 적용했다. 그 결과 플래닛 나인이 거대한 얼음행성일 거라고 추측했다. 수소와 헬륨으로 얇게 덮인 대기는 영하 226℃이며, 내부에 있는 철 핵과 규산염 맨틀로부터 열이 나온다고 밝혔다. 플래닛 나인에 대한 ... ...
이전1271281291301311321331341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