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구"(으)로 총 8,834건 검색되었습니다.
- [현장취재] 여기 다- 모였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구축하려 해요. 올더다이스 부회장은 “바다를 포함하면 휴대전화가 터지지 않는 지역이 지구의 90%”라며, “위성전화만이 아니라 휴대전화도 위성 신호를 쓸 수 있게 만들 것”이라고 말했어요. 군집형 소형위성의 부작용을 우려하는 발표자도 있었어요. 영국 임페리얼칼리지런던의 천문학자 ... ...
- [기획] 상온 초전도체, 어디에 쓸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상용화하는 데 성공했어요. 초전도 전선이 설치된 곳은 경기도 용인시의 신갈동부터 흥덕지구까지 약 1km 구간으로, 한국전력은 전기 에너지 손실이 10분의 1로 줄어들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답니다. _ 인터뷰한승용(서울대학교 전기정보공학부 초전도응용연구실 교수) “초전도체는 다양한 ... ...
- [어과동 PICK] 예술이 된 우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알록달록 빛을 뽐내는 은하단이 꼭 오로라 같아요. 유럽우주국(ESA)이 공개한 이 사진엔 지구로부터 40억 광년 떨어진 곳에 있는 은하단 ‘XLSSC 105’의 모습이 담겼어요. 이 은하단엔 수백에서 수천 개의 은하가 모여 있지요.이 사진은 1999년 발사된 XMM-뉴턴 엑스선 우주망원경과 미국 하와이에 있는 ... ...
- [통합과학교과서] 눈이 부셔, 팅커벨!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전기를 느낄 수 있어 흙탕물 속에서 눈을 감고도 사냥할 수 있어요. 이뿐만 아니라 지구상에 다섯 종밖에 없는 알을 낳는 원시적인 포유류, ‘단공류’에 속하기도 하죠. 최근 오리너구리의 비밀 하나가 더 밝혀졌어요. 지난 10월, 미국 노스랜드대학교의 파울라 스패스 애니히 교수팀은 ... ...
- 달에서도 지구처럼 싸자! 우주 화장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달 탐사를 위해 특별히 만든 화장실이 있거든!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달에서도 지구처럼 싸자! 우주 화장실Part1. 어디에 앉아 볼까? 기상천외 달 화장실!Part2. 우주에서는 어떻게 화장실을 쓸까? Part3. 똑똑, 새 화장실 배달왔습니다~!Part4. 똥? 버리든가 먹든가 ... ...
- [우주화장실] 어디에 앉아 볼까? 기상천외 달 화장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공학자시라고요?맞아요. 저는 현재 욕실 회사 ‘듀라빗 AG’의 공학자로 일하고 있어요. 지구용 화장실을 만드는 게 주 업무지만, 달 화장실 개발이 흥미로워 보여서 참가했지요. Q ‘원심분리 화장실’의 장점과 단점은 무엇인가요?쓰기 쉽고 편하다는 것이 큰 장점이고요, 단점은 통에 모인 ... ...
- [우주화장실] 똑똑, 새 화장실 배달왔습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모건 우주 비행사는 “ISS의 두 개밖에 없는 화장실 중 하나가 고장 나기 전까지, 우리가 지구의 화장실을 얼마나 당연하게 여기는지 깨닫지 못했다”며, “제대로 작동하는 화장실을 설치하는 게 매우 중요하다”라고 밝혔어요.새로 설치된 화장실은 이전의 화장실보다 크기는 65% 더 작아지고, ... ...
- [한 장의 과학] 왜곡된 별빛을 찾아라! ‘나홀로 행성’ 포착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망원경으로 우리은하 중심부 원반 부근에서 나홀로 행성을 찾았어요. 이 행성의 질량은 지구의 3분의 1에 불과해요. 현재까지 발견된 나홀로 행성 중 가장 작지요.연구팀은 ‘중력 렌즈 현상’으로 이 행성을 발견했어요. 아주 먼 별에서 나온 빛이 관측자와의 사이에 위치한 천체의 곁을 지나가다 그 ... ...
- [우주화장실] 우주에서는 어떻게 화장실을 쓸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우선 비행사의 몸부터 변화를 겪거든요. 예를 들어, 우주 비행사는 오줌이 덜 마려워요. 지구에서는 오줌이 방광 바닥에 쌓이면 방광 벽 근육이 이완되며 오줌이 마렵다는 신호를 뇌로 전해요. 그런데 중력이 약하면 표면 장력*으로 인해 오줌이 방광 벽에 붙어서 오줌이 마렵다는 신호가 약해지죠 ... ...
- 데이터로 작곡한 교향곡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000광년 떨어진 카시오페이아자리에 있는 초신성 잔해인 ‘카시오페이아자리 A’, 그리고 지구에서부터 7000광년 떨어진 곳에 있는 ‘독수리 성운’을 찍은 거예요.은하 중심을 표현한 음악은 사진의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진행돼요. 별의 위치에 따라 음의 높낮이를, 별빛의 세기에 따라 음의 세기를 ... ...
이전1271281291301311321331341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