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사
공부
탐구
학습
학업
탐사
면학
뉴스
"
연구
"(으)로 총 39,683건 검색되었습니다.
암 환자 맞춤형 항암제, 생성AI가 설계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7.03
향상시킬 수 있어, 항암제 개발 기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1일 게재됐다. - doi.org/10.1038/s41467-025-60763- ... ...
한국인 난청 유전자 지도 구축…진단율 20% 향상 효과
동아사이언스
l
2025.07.03
기반 맞춤형 치료제를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상연 교수는 “이번
연구
를 통해 많은 미진단 난청 환자들의 원인을 새롭게 확인할 수 있었고 유전자 치료가 가능한 환자군을 발견했다”며 “전장유전체분석을 적극 활용해 난청의 미진단 원인들을 해결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
비 많이 와도 끄떡없는 도로 포장용 매트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7.03
건설연
연구
팀이 ‘비포장도로 포장용 초속경 콘크리트 복합매트 시공기술’을 시연하고 있다. 건설연 제공 우기에도 끄떡없는 도로 포장기 ... 위한 초속경 콘크리트 복합매트 개발 및 현지사업화(2023~2024)' 과제를 통해 이뤄졌다.
연구
팀이 개발한 기술은 '콘텍이엔지'에 기술 이전됐다. ... ...
수학과 생명과학 융합해 세포 데이터 분석 30배 빨라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7.03
방대해 수만 개 이상이 세포를 다룬 대용량 데이터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설명했다.
연구
팀은 '불일치 계수(IC)' 개념을 도입해 복잡한 연산 없이도 클러스터링 결과가 일관성 있게 도출되는지 평가할 수 있는 scICE를 개발했다. 불일치 계수는 같은 데이터를 활용한 클러스터링 결과들이 서로 얼마나 ... ...
청정수소 품은 암모니아 분해 효율, 신개념 촉매로 3배 높여
동아사이언스
l
2025.07.03
형태의 촉매 양산과 실제 시스템 적용을 통해 상용화를 가속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스몰'에 4월 표지논문으로 게재됐다. - doi.org/10.1002/smll.20240733 ... ...
UNIST, 자외선 손상입은 DNA 복구 방식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5.07.03
색소건피증과 피부암의 예방과 치료 전략 마련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인 ‘뉴클레익 에시드 리서치(Nucleic Acid Research)’에 6월 18일 온라인 게재됐다. -DOI: 10.1093/nar/gkaf463 ... ...
중심별 방사선 폭발 유도해 죽음 자초하는 외계행성
동아사이언스
l
2025.07.03
외계행성 HIP 67522 b(오른쪽 아래)가 중심별 HIP 67522(왼쪽 가운데) 표면의 방사선 폭발로 대기가 날아가 질량을 잃는 모습을 표현한 그림. ... 2에서 방출되는 방사선의 종류를 파악하고 이번 사례와 유사한 별-행성 시스템을 더 찾아
연구
할 계획이다. - doi.org/10.1038/s41586-025-09236 ... ...
정수화 LG전자 부사장 "뿌리기술 인재 부족…공동
연구
할 대학
연구
실도 없어"
동아사이언스
l
2025.07.02
분야에서는 인프라가 굉장히 중요하지만 투자비가 많이 든다"며 정부를 향해 "국책
연구
소에서 과감한 인프라를 투자하고 기업과 학교가 공유해 사용하도록 하는 환경이 구축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그는 발표에서 나노기술의 애로사항으로 불량 검출 및 원인 규명, 품질 균일성 확보 등을 들며 ... ...
수포자 사라질까…뇌 특정 영역 전기자극했더니 "수학 학습 효과 향상"
동아사이언스
l
2025.07.02
내용의
연구
결과를 2일 국제학술지 '플로스 바이올로지(PLOS Biology)'에 공개했다.
연구
팀은 72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5일 동안 뇌에 약한 전기 자극(tRNS)을 주고 뇌의 연결 상태와 신경전달물질인 '가바(GABA)'의 변화를 관찰했다. 실험 결과 뇌의 배외측 전전두피질과 후두정 피질, 해마 등을 연결하는 ... ...
'먹는 레이저'로 식품·약물 모니터링
동아사이언스
l
2025.07.02
건강을 해치지 않으면서 신선도 등을 모니터링하는 데 쓸 수 있다”며 “생체의학
연구
나 환경 모니터링에도 활용 가능한 레이저”라고 말했다. doi.org/10.1002/adom.20250049 ... ...
이전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