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탄력
탄성
회복력
검댕
유연성
그을음
부드러움
뉴스
"
유연
"(으)로 총 1,326건 검색되었습니다.
한 맺힌 스키종목, 올해는 메달 획득 가능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4.02.05
관람할 경우 선수들의 무릎운동에 집중해서 보면 실력을 알 수 있다”며 “하체근력과
유연
한 관절이 고루 필요하므로 체구가 비교적 작은 아시아인들도 얼마든지 도전할 수 있는 종목”이라고 말했다. 스키 프리스타일 여자 모굴은 서정화(24)와 서지원(20)가, 남자부는 최재우(20)가 기대주로 ... ...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2월 수상자 포스텍 이종람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14.02.05
이종람 교수를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2월 수상자로 선정했다. 이 교수는 휘어지고
유연
한 금속기판의 표면 평탄화 기술을 개발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웨어러블 컴퓨터에 적용될 수 있는 금속기판은 얇게 펴는 과정에서 표면이 거칠어져 전류가 누설되는 한계가 있었다. 이 교수는 유리 위에 ... ...
꿈의 소재 ‘그래핀’ 상용화 눈 앞으로
동아사이언스
l
2014.02.02
다른 물질과 결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맞춤형 그래핀 소재를 만드는 길이 열렸다”며 “
유연
하고 전기가 잘 통할 뿐만 아니라 대면적으로 만들 수 있기 때문에 그래핀을 상용화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소재 분야 권위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 1월호 ... ...
부드럽고 말랑말랑한 저전력 트랜지스터
동아사이언스
l
2014.01.27
자체가
유연
성이 없어 입는 컴퓨터에 적용하기는 부적합했다. 이 때문에 부드럽고
유연
한 탄소 기반의 ‘유기반도체’를 이용한 ‘유기트랜지스터’가 대체재로써 부각됐지만 효율성이 매우 낮았다. 유기트랜지스터는 전극 위에 전류가 통하지 않는 무기물인 ‘절연층’, 그 위에 ... ...
마구 구겨도 끄떡없는 배터리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1.20
돌돌 말린 상태에서도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 교수는 “
유연
하면서도 안전한 전지를 대량 생산할 수 있는 기술적 토대를 마련한 만큼 플렉서블 전지의 상업화를 앞당기고 다양한 플렉서블 장치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재료 분야 권위지 ... ...
‘꿈의 신소재’ 상용화 코 앞으로 다가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1.20
KIST) 전북분원 복합소재기술연구소 탄소융합소재연구센터 박사팀과 나석인 전북대
유연
인쇄전자공학과 교수, 김병각 한국화학연구원 박사 공동연구팀은 그래핀과 유사한 물질인 ‘탄소나노시트’를 개발해 나노 분야의 권위지 ‘나노스케일’ 21일자 표지를 장식했다. 그동안 그래핀을 ... ...
생물처럼 말랑말랑한 ‘소프트 로봇’ 나온다
과학동아
l
2013.12.29
미국 터프츠대 배리 트림머 박사는 “일상에선 덜 정확한 게 좋을 수도 있다”며 “
유연
한 로봇은 정확성은 떨어져도 우리 주변의 많은 물건을 다룰 수 있다”고 말했다. 근데 말랑말랑한 로봇, 동영상을 보니 살짝 징그럽기도 한데,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지 ... ...
루돌프 사슴 ‘눈’은 매우 깊은 파란 눈~♬
과학동아
l
2013.12.15
“순록은 반사판을 조절하는 능력을 통해 빛의 양이 급격히 줄어드는 겨울에도
유연
하게 대처하며 생존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영국왕립학회보 B’ 10월 30일자에 실렸다 ... ...
나무 껍질에 그린 말 그림
동아사이언스
l
2013.12.02
증거로 자주 제시되었다. 남러시아 스텝 루트의 민족들은 자작나무의 물리적 성질과
유연
성을 살린 수피세공을 주로 만든다. 따라서 이러한 자작나무 껍질이 관모 외에 천마도를 그린 말다래나 도너츠 모양의 화판(모두 천마총 출토) 등의 중요한 용구로 이용되었다는 것은 북방기마민족과 ... ...
전력 없어도 구부리면 빛나는 필름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3.11.20
있다. 연구팀은 미케노 발광이 일어나는 여러 재료 중 하나인 황화아연(ZnS)을
유연
한 고무에 섞었다. 이 고무에 구부리거나 압력을 가하면 밝은 빛이 생기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두 가지 이상의 재료를 조합하면 다양한 미케노 발광색을 얻을 수 있다고 ... ...
이전
127
128
129
130
131
132
1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