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마지막
종결
결말
최후
대단원
끝판
첨단
d라이브러리
"
끝
"(으)로 총 5,647건 검색되었습니다.
[Culture] 원본 증명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내리지 않고 사는 편이 훨씬 더 온전한 삶에 가까우니까요. 그러나 노파심은 짧게
끝
내고 결론만 말씀드리자면, 선생님께서 원하시면 저희는 언제든 준비가 되어 있습니다. 편지를 보내기 전에 바로 달려갈까 하는 생각도 해 봤지만, 그렇게까지 무례할 필요는 없지 않겠느냐고 제 동료가 ... ...
Part 6. 무한은 칸토어가 만든 낙원
수학동아
l
2017년 10호
무한의 세계를 완벽하게 이해할 수 있을지는 알 수 없다. 그러나 인류의 호기심과 도전은
끝
이 없다. 힐베르트가 말한 것처럼 아무도 우리를 칸토어가 만들어낸 낙원에서 쫓아낼 수 없을 것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웰컴 투 무한호텔Part 1. 웰컴 투 무한의 세계Part 2. 빈 방 없는 ... ...
[헷갈린 과학] 꼬리로 구분해요! 불도그 VS 퍼그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0호
황소를 잡는 투견이었어요. ‘불 베이팅(bull bating)’이란 경기에 참여해서 소를 물고
끝
까지 버티는 역할을 했지요. 그러나 19세기에 불 베이팅이 불법으로 정해지면서 집에서 기르는 반려견이 되었답니다.주름이 많고 아래턱이 위턱보다 나와 있어서 사나워 보이지만, 불도그는 매우 침착하고 ... ...
[과학뉴스] ‘카시니’의 마지막 비행 음악으로 탄생하다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나무판에 토성 고리도 새겼다. 음악을 듣는 동안 카시니의 마지막 비행 궤적을 손가락
끝
으로 따라갈 수 있다. 이 조각은 9월 15일 캐나다 국립시각장애인연구소(CNIB)가 주최한 기금 모금 행사에 전시됐다 ... ...
[Interview] ‘빅 히스토리’ 창시자 데이비드 크리스천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인류가 하는 이상한 일들을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다. 그는 “우리는 이야기의 아주
끝
에 등장하지만, 지구를 바꿀 정도의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으므로 이제 이 행성을 잘 관리하는 법을 배워야만 한다”며 “다양한 전문 지식들 사이의 연결을 보지 못하면 행성을 관리하는 방법 같은 큰 ... ...
Part 1. 웰컴 투 무한의 세계
수학동아
l
2017년 10호
논의했다. 대부분은 무한이 ‘
끝
도 없이 커지는 상태’라는 데 동의했다. 이렇게
끝
도 없이 커지는 상태로만 보는 무한을 ‘가무한’이라고 부른다. ‘n이 무한대로 가면’, ‘총합이 무한히 커지면’과 같은 표현에도 가무한의 개념이 들어있다. 하지만 가무한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문제가 ... ...
Intro. 수학으로 펼친 상상, 우주는 어떻게 생겼을까?
수학동아
l
2017년 09호
빼꼼. 저 멀리 담 너머에 보이는 우주를 몰래 바라봅니다. 하늘을 수놓은 아름다운 별들의 모습에 눈이 초롱초롱해집니다. 호기심이 생긴 한 아이는 갑자기 우주가 어떻게 생겼을지 궁금해졌습니다. 재잘재잘. 옆에 있던 아이와 말도 안 되는 이야기를 주고받아보지만 답이 쉽게 나오지 않네요. 누 ... ...
Part 2. 위상수학에서 찾은 우주의 모양
수학동아
l
2017년 09호
해결하지 못했다. 하지만 페렐만은 불가능한 것처럼 보였던 이 문제를 포기하지 않고
끝
까지 파고들었다. 그 결과 페렐만은 특이점을 잘라냈다가 다시 봉합하는 수술을 하면 된다는 기발한 아이디어로 문제를 해결했다. 위상수학에서는 모양을 바꾸지 않고 잘랐다가 다시 붙여도 상관이 없다. 결국 ... ...
[공룡은 왜?] 뿔만 봐도 다 알아! 코스모케라톱스의 화려한 뿔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9호
두 개로 나뉘어 있어요. 하지만 프릴의
끝
이 좀 더 동그랗고 작아요. 두 공룡 모두 프릴
끝
에 아래로 난 뿔이 없어서 코스모케라톱스와 쉽게 구별된답니다.# 뾰족하고 위협적인 육식공룡의 뿔과 달리 초식공룡의 뿔과 프릴은 참 화려하지요? 과학자들은 이러한 생김새가 초식 뿔공룡만의 독특한 ... ...
Part 1. Back to the Moon, 다시 불붙는 달 탐사 경쟁
과학동아
l
2017년 09호
사진)’를 시작으로 총 4 대의 탐사선을 달에 보낼 계획이다. 1976년 8월 9일 루나-24 발사를
끝
으로 거의 40년 만에 달 탐사를 재개하는 것이다. 루나 글로브의 미션은 달에서 가장 어두운 부분 중 하나인 보구슬라프스키(Boguslawsky) 분화구에 착륙해 착륙 기능을 테스트하는 것이다. 루나 글로브에는 ... ...
이전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