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마지막"(으)로 총 4,317건 검색되었습니다.
- [소프트웨어] 클래스팅으로 하나 되는 우리 반수학동아 l2016년 08호
- 성공이라는 이야기다. 인터뷰가 막바지에 다다르자 조 대표는 수학동아 독자들에게 마지막 말을 전했다.“수학이 살아가는 데 필요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아요. 하지만 수학을 공부하면서 기르는 수학적 사고력은 삶에 큰 도움이 됩니다. 무언가를 객관적으로 판단할 때 가장 좋은 방법은 ... ...
- [수학동아클리닉] 꼬리에 꼬리를 무는 부등식 도미노수학동아 l2016년 08호
- 문제에 대한 해 카드를 이어 붙인다. 모든 문제 카드와 그에 대한 해 카드를 이어 붙인 뒤 마지막에 ‘Finish’ 카드를 붙인다.5. 완성된 순서를 고려해 도미노 카드를 붙인 전지를 조별로 교환한다.6. 상대방 전지에 붙여진 도미노가 옳은지 검토한다. 만약 문제에 대한 해가 잘못 짝지어졌다면 문제와 ... ...
- Part 2. 생활에서도 스포츠 컨디셔닝하라과학동아 l2016년 08호
- 국가대표로 성장하는 모습을 꼭 보고싶다”고 말했다. INTERVIEW‘ 컨디셔닝’으로 선수의 마지막 1%를 완성합니다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개발원은 국가대표 선수들에게 체력 및 기술 점검, 심리 상담, 재활 등의 과학적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올림픽이 다가오면 선수들을 위해 컨디셔닝 ... ...
- [퍼즐탐정 썰렁홈즈] 인공지능 로봇 ‘ 바두게 다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주인공이 되면 하고 싶은 일들을 상상하자 저절로 입가에 미소가 번지는데….“자, 마지막 문제입니다. 여기 바둑판의 검은돌은 사실 원래 있던 돌들이 몇 개 떨어진 상태입니다. 가운데를 기준으로 대칭일 때 검은돌을 원래대로 놓아 주세요.”“띠리리리-. 이 상황에 맞는 말은 ‘데칼코마니’…, ... ...
- [인터뷰] 서검교 교수수학동아 l2016년 07호
- 인터뷰에 앞서 서검교 교수와 음악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며 들은 말이다. 작곡은 물론이거니와 원래 있던 음악도 연주하는 사람에 따라 곡의 느낌이 달라진다. 이와 마찬가지 ... 분야에서 학계에 보탬이 되는 연구를 하고 싶다는 서 교수. 그가 수학동아 독자들에게 마지막 말을 남겼다 ... ...
- [Knowledge] ‘불청객’ 동물이 남긴 단서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다리를 공격하는 식이다. 뼈의 구조가 복잡하고 연조직이 별로 없는 척추와 등은 대개 마지막까지 남기 때문에 원래 시체가 놓여 있던 자리를 추론할 때 유용한 단서가 된다. 시체가 훼손되는 동안 뼈가 몸통과 분리되는 순서도 이와 크게 다르지 않다. 이렇게 시체가 손상되고 분리되는 순서를 ... ...
- [Knowledge] ‘죽음의 손가락’ 지닌 기이한 원숭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곳에 작은 구멍을 낸다.죽음을 내리는 가운데 손가락의 비밀구멍이 만들어지면, 마지막으로 손가락을 치켜든다. 아이아이의 가운데 손가락은 가늘고 긴데다, 끝에는 날카로운 고리가 달려 있다. 마치 낚시바늘처럼 생겼는데, 쓰임새도 비슷하다. 구멍 속으로 가운데 손가락을 밀어 넣어 애벌레들을 ... ...
- [과학뉴스] 냉방병 원인균의 독특한 유비퀴틴화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보통의 유비퀴틴화 과정은 비정상 단백질에 E1, E2, E3 세 효소가 연쇄적으로 붙고 마지막에 유비퀴틴 단백질이 붙는 순서로 이뤄진다. 그러나 냉방병 원인균에서는 E3 효소 하나만 있어도 유비퀴틴이 목표인 변성 단백질에 붙으면서 유비퀴틴화 과정이 진행됐다.루오 교수는 “사람의 몸에서도 E3 ... ...
- Part 2. 미토콘드리아에 새겨진 인류의 기원과학동아 l2016년 07호
- 결과, 현생 인류의 mtDNA에 네안데르탈인 유전자가 거의 남아있지 않는 걸로 드러났다. 마지막으로 mtDNA가 섞인 시기는 거의 40만 년 전이었다(Cell, volume 90, issue 1, 11 July 1997, 9 19-30). 하지만 2000년대에 들어 네안데르탈인의 세포핵 DNA서열이 밝혀지면서 상황이 바뀌었다. 인류의 핵 DNA ...
- [Knowledge] 페르마, 진짜 여백이 부족했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추론, 갈루아의 군, 콜리바긴-플라흐 방법 등이다. 와일즈 교수와 수학자들은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증명하는 과정에서 수학의 ‘대통일이론’인 랭글런즈 프로그램에 첫 발을 디뎠다. 랭글런즈 프로그램은 서로 다른 영역들을 하나로 통합하는 움직임을 말한다.와일즈 교수가 사용한 수학기법을 ... ...
이전1281291301311321331341351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