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축
비축
갈무리
보관
세이브
보존
재고
d라이브러리
"
저장
"(으)로 총 2,710건 검색되었습니다.
컴퓨터 안의 컴퓨터 구현하는 '가상화기술'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컴퓨터를 부팅할 때 뜨는 이미지나 디지털TV의 메인화면을 압축해 플래시메모리에
저장
하는 연구를 진행 중이다. 플래시메모리를 기기에 꽂기만 하면 기다리는 지루함 없이 바로 메인화면을 띄울 수 있다. 컴퓨터의 운용체계는 수많은 프로그램 언어의 반복(루프)으로 구성되는데, 이 중 시간을 가장 ... ...
달궈진 아스팔트로 난방을!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3호
겨울에 위로 다시 끌어 올려 도로 위에 얼음이 생기는 걸 막는 거죠. 이 때 지하에
저장
된 물을 좀 더 데워 건물의 난방으로 이용하는 방법을 이번에 개발한 거예요.이 기술을 이용하면 건물을 난방하는 데 드는 에너지를 반으로 줄일 수 있다고 해요. 앞으로 이런 기술이 더욱 발전되어 무공해 ... ...
지웠다 쓰는 홀로그래피 나왔다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굴절률이 위치에 따라 달라져 정보가 기록된다. 그 뒤 붉은색레이저를 쏴 고분자 필름에
저장
된 3차원 영상정보를 재생하는 데 성공했다. 한편 영상을 지우려면 균일한 녹색빛을 필름에 조사하기만 하면 된다.이번 연구에 대해 미국 조지아공대 조셉 페리 교수는 “이 기술로 저렴하고 가공하기 쉬운 ... ...
토성 위성 타이탄은 에너지 '노다지'?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유지한다.로렌츠 박사는 “카시니가 타이탄 표면을 빠짐없이 관측한다면 타이탄 전체에
저장
된 탄화수소의 양을 더 정확히 알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카시니는 2월 28일 다시 타이탄에 근접비행한다.경희대 우주과학과 김상준 교수는 “타이탄에 있는 탄화수소를 에너지로 활용할 가능성은 ... ...
'무릎팍' 발전소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교수는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가 감속할 때 생기는 마찰열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해
저장
하는 것과 같은 원리”라며 “발전기를 개량해 무게와 크기를 줄이고 효율을 높이면 휴대용 전자제품이나 소형 의료기기를 충전하는 데 유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 ...
소프트웨어, 데이터백업 사라지는 클라우드 컴퓨팅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사용료는 CPU 개수, 메모리 크기, 디스크 크기에 따라 10~80센트(약 100~800원)로 저렴하다.
저장
공간도 1GB(기가바이트, 1GB=109B)당 한달 사용료가 15센트(약 150원)로 매우 싸다.최근 IBM과 구글은 수천 대의 컴퓨터와 프로그램 개발, 시스템 관리에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을 ... ...
내 몸에 흐르는 디지털 파일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탑재한 휴대전화를 개발했다.휴대전화를 주머니에 넣어 둔 상태에서 휴대전화 안에
저장
해둔 MP3파일을 코드가 없는 헤드폰으로 재생해 감상할 수 있다. 알프스는 2009년까지 이 휴대전화의 제품화 여부를 검토할 예정이다.18: 00 내 몸을 잘 아는 인체통신 주치의‘퇴근길에 병원에 들르세요 ... ...
당뇨병과 간질병이 '사랑'받는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신호를 발생시켜 음식을 먹도록 하거나 당장 음식을 먹을 수 없을 때에는 간에
저장
된 글리코겐을 분해시켜 혈당을 높여 일시적으로 허기를 없앤다. 그러나 당뇨병 환자의 경우 몸이 저혈당 상태에 적절히 대처할 수 없기 때문에 저혈당증이 쉽게 생긴다. 이때 응급 처지 방법은 15g가량의 당을 ... ...
산호초로 기후변화 감지한다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폴립이 바다 속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해 만든다. 바다가 대기 중 이산화탄소의
저장
고 역할을 할 수 있는 까닭도 숨은 공로자인 산호초 덕분이다.현재 한국의 해양연구센터는 산호 추출물로 항암제와 비만 억제제를 개발하고 있다. 또 산호초의 칼슘이 해마다 얼마나 축적됐는지 분석해 산호초가 ... ...
태안의 자연을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3호
해. 모래는 물이 잘 빠지기 때문에 비가 오면 빗물이 사구를 통해 지하로 흘러 들어가
저장
돼. 그 때문에 해안사구의 뒤쪽에는 습지가 만들어지는 경우가 많아. 게다가 이 지하수는 사람이나 동식물이 필요로 하는 물을 제공하는 동시에 바닷물이 육지로 침투하는 것을 막아 줘. 바닷물은 염분이 높아 ... ...
이전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