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초등수학
수학
초딩
d라이브러리
"
초등
"(으)로 총 1,683건 검색되었습니다.
'내 생애 최고의 순간'을 위하여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직업이 뭔지, 진로라는 게 만만치 않다.코리아나화장품연구소 김성래 연구2팀장은
초등
학교 시절 야구선수로 활동하며 프로선수를 꿈꿨지만 “‘나라님도 해결 못 한다’는 빈곤을 떨칠 유일한 대안은 과학기술”이라는 부모님의 권유에 과학자로 진로를 바꿨다.‘쇼’로 인기몰이 중인 KTF에서 ... ...
건강을 위협하는 척추 S라인 탈출하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척추가 휘는‘척추측만증’은 우리의 건강을 위협하는 위험한 S라인이란다. 이 병은
초등
학생 10명 중 1명 이상이 앓고 있대.‘어린이과학동아’친구들의 허리는 어때? 새 학년이 되어 오랫동안 앉아서 수업을 들었더니 허리가 구부정해진 것 같다고? 명예기자 유진이가 의사 선생님을 찾아가 ... ...
“우르르~, 쾅쾅!”화성의 눈사태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6호
땅인데 여기에는 눈사태 때문에 커다란 먼지 구름까지 생겼어요. 이 먼지구름은 크기가
초등
학교 운동장 네 개만 하고 높이가 아파트 60층이 넘을 정도여서 이번 눈사태가 꽤 큰 규모로 일어났다는 사실을 알 수 있어요.미국항공우주국은 이번 사진이 화성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지 질 현상을 ... ...
“알록달록~ 컬러 누에로 대상 탔어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열린 제7회 전국과학탐구발표대회에서 충북 청원군 미원
초등
학교 금관분교 과학반이
초등
부 대상을 차지했거든요.전국과학탐구발표대회는 전국 초중고등학교에 설치된 청소년과학탐구반(YSC) 학생들이 참여하는 대회로, 1년 동안 탐구한 주제를 발표하고 평가를 받는 자리예요. 이번에는 전국 16개 ... ...
부르델 조각 속 주인공의 진실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있지만 전체적인 균형감에다 예술성이 돋보인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 작품은 한때
초등
학생의 공책에 찍는 스탬프에도 등장할 정도로 인기가 높았다.조각상의 주인공인 헤라클레스를 찬찬히 뜯어보면 팔, 다리, 가슴, 배의 근육이 불균형을 이룬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다. 고려대 문국진 명예교수 ... ...
나무로 만든 꿈의 롤러코스터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일이 기계적으로 불가능하다”고 잘라 말한다. 그만큼 안전에 자신이 있다는 뜻이다.
초등
학교 5학년 아들이 T-익스프레스를 타고 즐거워 할 때 가장 보람있었다는 그는 이제 새로운 목표가 생겼다. 가족단위로 즐길 수 있는 새로운 디자인의 코스터를 직접 만드는 꿈이다.기쁨을 선물하는 건축 ... ...
소설 쓰는 양자컴퓨터공학자 안도열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불태우고 있다. 작가인 아버지의 영향 커그의 ‘다빈치’기질은 어릴 때부터 싹텄다.
초등
학교 때 그는 미국의 아폴로 탐사선이 달에 착륙하는 장면을 보고 막연히 과학자가 되고 싶다고 생각했다. 중학교 때는 서울시에서 주최하는 그림 그리기 대회에 나가 상을 타기도 했다.그의 소질을 눈여겨 ... ...
진짜기자 명예기자를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지난 2월 17일은 남극 세종기지가 세워진 지 20년이 되는 날이었어요. 다른 선진국들에 비해 늦게 남극 연구에 뛰어 들었지만 그 동안 세종기지를 거쳐 간 대원들의 헌신적인 노력을 통해 우리나라의 극지 연구는 선진국을 점차 따라잡고 있답니다. 사람이 살기 어려운 극한의 환경에서도 열정적으로 ... ...
색소폰과 클라리넷 부는 공학자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서울대 전기·컴퓨터공학부 교수가 색소폰 예찬론을 펼쳤다. 성 교수는 10여 년 전부터
초등
학교 동기 동창인 친구의 권유로 색소폰을 배우기 시작했고 지금은 색소폰의 매력에 푹 빠져 알토를 비롯해 소프라노, 테너 색소폰을 8개나 소장하고 있다.그의 전공은 소리를 공학적으로 연구하는 ... ...
다시 우뚝 선 우리 공룡 천년부경룡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4호
1억 4000만 년 전 백악기의 한반도에 살았던 공룡이 부산에서 다시 우뚝 일어섰다는 소식을 듣고 급히 부산으로 달려왔습니다. 도대체 어떻게 공룡이 다시 일어설 수 있었던 걸까요?명예기자 친구들과 함께 만나 본 다시 일어선 우리 공룡‘천년부경룡’을 소개합니다~.천년부경룡의 이야기안녕? 난 ... ...
이전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