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도착
달성
성취
뉴스
"
도달
"(으)로 총 1,768건 검색되었습니다.
완벽한 차를 마시기 위한 과학적 방법
2018.10.04
60℃~65℃를 제안합니다. 차를 우려낸 뒤 6분이 경과하면 차를 마시기에 완벽한 60℃에
도달
합니다. 작은 크기의 찻잔보다는 머그컵과 같이 큰 컵이 열을 더 오래 보존하기 때문에 유리하죠. 차 숟가락을 찻잔 안에 넣어두면 금속이 라디에이터처럼 작동해서 차를 빨리 식게 만듭니다. 마시기 ... ...
KAIST 양자컴퓨팅 기반 AI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03
“인공지능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지만 결국 컴퓨터 성능의 한계에 부딪혀 한계에
도달
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한 차원 더 높은 양자컴퓨터의 도입으로 이를 해결할 수 있다는 시각이다. 양자컴퓨터는 고성능임에도 부피와 전력사용량이 적지만 인공지능 소프트웨어를 구동하기에 훨씬 더 ... ...
적 위성 요격하고 1시간만에 지구 반대편 폭격하는 '우주전' 현실로
과학동아
l
2018.10.01
교수는 “마하5 이상으로 비행한다면 지구상 어디든 한두 시간 내에
도달
할 수 있다”면서 “이렇게 극초음속으로 비행하려면 기존 항공기와는 다른 새로운 엔진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일반 항공기는 고도 9~10km에서 공기를 고압으로 압출시킨 뒤 연료를 태워 배출하면서 추력을 얻는 ... ...
[2018노벨상]수상자 업적 근접한 한국 과학자 6명
동아사이언스
l
2018.09.30
규명한 이서구 연세대 교수가 관련 수상자의 업적(논문 수 274개, 피인용 수 2만8191회)에
도달
한 것으로 분석됐다. 왼쪽부터 현택환, 김광수, 이서구 교수-한국연구재단 제공 연구재단은 “한국 연구자들이 노벨과학상 수상자에 버금가는 연구성과를 창출하고 국제적인 인정을 받으려면 적극적인 ... ...
자외선 과다노출 걱정 덜어주는 센서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09.27
물질이다. 우리가 일정량의 태양빛을 받아야 하는 이유다. UVA와 UVB는 지표면에
도달
하는 특성때문에 피부손상의 주범으로 꼽혀 왔다. 세 자외선 영역 중 가장 에너지가 큰 UVC는 파장이 100~280㎚며 오존층에서 완전히 흡수되지만 최근 오존층이 파괴되면서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이 커지고 있다. ... ...
컴퓨팅 사고력 ②초등학생도 푸는 비버챌린지에 도전하라!
수학동아
l
2018.09.25
궁금합니다. 비버챌린지 창시자 발렌티나 교수는 비버가 완벽을 추구하고 목표물에
도달
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는 끈질긴 동물이라고 생각했어요. 집을 짓는 데 일생을 바치기 때문이지요. 그래서 비버챌린지는 열심히 일하고 지능적이며 활기찬 비버의 이름을 땄습니다. Q 어떤 문제를 ... ...
'누리호'엔진 검증용 시험발사체, 독자 우주개발 꿈 싣고 시월의 하늘로
동아사이언스
l
2018.09.16
발사하며, 약 2분 40초 뒤 100km 고도를 돌파하고 5분 뒤 최대 고도(약 200km)에
도달
한 뒤 낙하를 시작해 약 10여 분 비행한 뒤 제주도와 일본 오키나와 사이 공해상에 떨어질 예정이다. 성능 검사를 위한 시험발사이므로, 시험 성패보다는 발사 과정 전반을 점검하고 데이터를 수집, 확인하는 데 가장 큰 ... ...
[강석기 과학카페] 한때 언어 유전자로 불렸던 FOXP2 이야기
2018.09.11
는 상징과 수화를 통해 사람과 꽤 원활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다. 반면 이런 수준에
도달
한 침팬지는 없다. -사진 제공 위키피디아 2002년 역시 ‘네이처’에 FOXP2와 관련된 놀라운 연구결과가 실렸다. 포유동물의 FOXP2 단백질 아미노산 서열을 비교한 결과 약 7000만 년 전 공통조상에서 갈라진 ... ...
[짬짜면 과학 교실] 불의 꽃이 피어나는 세 가지 조건
2018.09.01
마른풀에 대고 부싯돌을 마주쳤을 것이라고 흔히들 추정해요. 자연 상태에서 발화점에
도달
할 때까지 열을 가할 수 있는 가장 쉬운 방법은 그것이기 때문이에요. 돋보기로 햇빛을 모아서 종이나 마른풀에 열을 가하여 발화시킬 수도 있어요. 이처럼 어떤 물질이 연소하려면 탈 물질과 그 주변에 ... ...
흉터없이 치료 가능한 ‘내시경 수술로봇’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8.16
연구팀은 새로 개발한 유연 수술로봇을 이용하면 관련 수술 시장도 실용화 단계에
도달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KAIST 연구진은 이 기술을 통해 지난 6월 29일 영국 런던 임페리얼 컬리지에서 열린 ‘수술로봇대회(Surgical Robot Challenge 2018)’에서 수술용 제어프로그램 ‘베스트 어플리케이션 ... ...
이전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