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분
일부
일환
국부
환경
뉴스
"
부위
"(으)로 총 2,830건 검색되었습니다.
정말 바이러스를 뜯어고쳐 코로나19 바이러스를 만들 수 있을까
2020.09.17
있다). 그리고 제한효소는 현재까지 수백 종이 알려져 있다. 연구자가 관심있는 유전체
부위
의 몇백 염기 이내에 틀림없이 어떤 제한효소가 인식하는 자리가 하나쯤은 있다는 뜻이다. 지금과 같이 13%의 서열을 바꿔여 하는 상황에서는 어차피 유전체를 작은 조각으로 합성해서 짜맞추어야 ... ...
[팩트체크] 우한연구소 코로나바이러스 조작설 논문...전문가들 "증거 불충분"
동아사이언스
l
2020.09.16
등에 감염되는 코로나바이러스 43종의 게놈 계통을 분석한 뒤 스파이크 단백질 주요
부위
염기서열을 비교했다. 그 결과 박쥐 코로나바이러스(RaTG13)와 중국 광둥지역에서 발견된 천산갑 코로나바이러스가 자연적으로 섞이면서 사스코로나바이러스-2가 탄생했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 ...
코로나19 바이러스 인체 침투 관문 문턱 확 높일 새 표적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16
실험 결과를 비교했다. 대부분 결합이 80~90% 줄어들었다. c는 스파이크 단백질의 ACE2 결합
부위
(RBD)와의 결합 비교로 비슷한 결과를 보인다. d는 폐포 세포와 흑색종 피부세포와의 비교다. 연구팀은 폐포에서 채취한 세포 두 종과 흑색종 피부세포 한 종, 간암세포 한 종을 준비한 뒤, 헤파란황산염을 ... ...
[코로나19 연구속보] 코로나19 후유증 의외로 오래 간다
2020.09.15
능력이 떨어진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코로나19는 폐를 먼저 공격하지만 신체 다른
부위
도 공격한다. 부분적으로는 여러 위치의 세포가 바이러스의 관문 역할을 하는 ACE2 수용체를 가지고 있어 감염이 전신에 퍼져있는 면역체계에 해를 끼칠 수 있기 때문이다. 코로나19에 걸렸다가 회복된 사람 ... ...
영국서 개발한다는 ‘단일클론항체’ 코로나 치료제란 무엇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20.09.15
이어 두 번째로 많이 연구되고 있다. 보통 한 개의 단일클론항체를 쓰지만 여러
부위
를 인지하도록 여러 단일클론항체를 개발해 섞어서(칵테일) 투약할 수도 있다. 영국의 단일클론항체 관련 연구를 주도하고 있는 마틴 랜드레이 영국 옥스퍼드대 교수는 “우리는 이 치료제가 효과가 있는지는 ... ...
여름철 골칫거리 녹조, 재래 정수시설에서 효율적으로 제거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15
작아진 분말활성탄은 표면에 미세한 구멍이 더 많아져 녹재 유래 물질을 흡착할 수 있는
부위
가 커졌다. 연구팀은 기존 상용 분말활성탄과 이번에 개발한 분말활성탄을 비교 분석한 결과 개발한 분말활성탄이 녹조가 유발하는 냄새 물질과 독성물질을 흡착하는 속도가 물질별로 최소 20%에서 ... ...
[팩트체크] 홍콩연구자 "코로나19 우한연구소에서 나왔다는 증거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14
ACE2 결합이 약한 것으로 평가됐다. 또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와 스파이크 단백질 결합
부위
의 서열이 가장 비슷한 것은 중국 광둥지역에서 발견된 천산갑 코로나바이러스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연구팀은 “이 두 바이러스의 유전자가 자연적으로 섞이면서 사스코로나바이러스-2가 탄생했을 ... ...
인공지능, 의사 도와 의료현장 전면으로
동아사이언스
l
2020.09.14
CXR은 인공지능이 환자의 흉부 엑스레이 사진을 수초 내로 분석해 각 질환의 의심
부위
와 의심 정도를 생삭 등으로 자동 표기한다. 환자의 양쪽 폐에 존재하는 병변을 정확하게 나타내고 있다. 루닛 제공. 일반적인 코로나19 검사법인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RT-PCR) 결과와 비교한 결과에서 루닛 ... ...
뇌세포 은밀하게 공격하는 코로나…결과는 치명적
연합뉴스
l
2020.09.11
관련 증상을 보이는 것은 뇌세포가 바이러스에 직접 공격을 당한 것이 아니라 인체 다른
부위
의 염증이 뇌세포에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라는 반론도 제기된다. 이와사키 박사의 연구는 온라인으로 공개됐지만, 아직 학술지 게재를 위한 전문가 검토는 이뤄지지 않았다. [AP=연합뉴스 자료사진] ... ...
소행성 베누, 표면은 살아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10
때 주로 이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베누는 4.3시간마다 자전하는데 해가 사라지는
부위
에서 주로 작은 돌맹이 만한 돌조각들이 튀어나온다는 것이다. 과학자들은 두 가지 가설을 제안했다. 우선 열에 의한 균열이 돌조각을 만들었을 거란 주장이다. 베누 표면의 바위는 태양을 바라보는 낮에 ... ...
이전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