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용
기교
기술
능력
재주
솜씨
구실
스페셜
"
기능
"(으)로 총 1,672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구충제로 항암 효과도 얻는다?
2017.11.21
촉진하고 세포사멸을 억제하는
기능
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이 단백질의
기능
을 억제할 경우 암세포의 증식을 막을 수 있을 것이다. 연구자들은 기존 약물 가운데 그런 작용을 하는 약물을 찾았고 구충제인 이버멕틴이 걸렸다. 원래 이버멕틴은 무척추동물(기생충)의 신경세포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수혈 위기, 인공혈액으로 극복하나
2017.10.31
혈액대체제 쓰이고 있어 다소 실망한 채 기사를 읽다가 진짜 적혈구는 없지만 적혈구의
기능
을 하는, 즉 산소를 운반하는 물질이 들어있는 인공혈액에 대한 최근 현황이 소개돼 있어 다시 흥미가 생겼다. 적혈구가 없는 인공혈액은 혈액대체제(blood substitute)라고도 부르는데 뜻밖에도 수십 년 전부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노세보 효과의 뇌과학
2017.10.17
통증을 더 심하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노세보 효과가 두드러졌다. 연구자들은
기능
자기공명영상(fMRI)으로 뇌의 활동을 분석해 비싼 크림을 바른 쪽이 노세보 효과가 큰 이유를 알아봤다. 그 결과 싼 크림을 바른 쪽에 비해 전전두엽의 입쪽전방대상피질(rACC)이라는 부위의 활성도가 낮은 반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017 노벨상 발표를 지켜보며 떠오른 두 명의 로널드
2017.10.10
perl(long의 l)이라고 명명했다. 그리고 per0는 중간에 종결코돈으로 바뀌면서 토막 나
기능
을 잃은 단백질이 만들어진 결과이고 pers와 perl는 중간에 다른 아미노산으로 바뀌면서 단백질의 활성이 바뀐 결과라고 추측했다. 그 뒤 벤저 교수는 생체시계 연구에 흥미를 잃고 행동유전학의 다른 분야로 ... ...
세포의 운명 결정짓는 ‘지문’을 찾아라!
동아사이언스
l
2017.10.09
소개했다. 에드 레인 미국 앨런뇌과학연구소 연구원은 이 기술이 뇌의 구조와 각 부분별
기능
을 규명하는 데 큰 역할을 했으며, 이를 통해 향후 알츠하이머 등 뇌질환 치료 실마리를 찾을 수 있으리란 전망을 내놨다. 또 가빈 켈시 영국 바브라함연구소 연구원은 단일세포분석과 다중세포분석을 ... ...
돼지→인간 장기이식, 가능성 높아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9.24
RetroViruses)’를 없앤 돼지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고 ‘사이언스’ 발표했다. 장기의
기능
이나 크기가 사람과 비슷한 돼지는 이종 장기 이식에 가장 적합한 종으로 꼽힌다. 문제는 돼지가 가진 질병 바이러스였다. 아주 오래 전 돼지를 감염시켰던 PERV 잔해가 돼지 유전체 전역에 산재해 있다. 이 ... ...
내향적 성격인 나, 비사회적인 사람일까?
2017.09.24
또한 사람들과 잘 어울려 지내기 위해 ‘눈치’와 ‘자기 검열’ 같은 고급 인지적
기능
을 발달시켜 시시각각 무의식적으로도 타인의 의중을 살피고 그에 맞춰 행동하기 위해 많은 정신적 에너지를 쓰는 동물이다. 사람들 보기에 멍청하거나 쪽팔린 행동을 했다고 여겨지면 계속해서 그 생각이 ... ...
브라질의 숲에서 펼쳐진 ‘혹성탈출-종의 전쟁’
동아사이언스
l
2017.08.20
독성기로 접어들어 황달 증세가 나타나며 입, 코, 눈, 위장관 등에서 출혈이 발생한다. 간
기능
이 저하돼 간에서 혈액응고 인자가 만들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독성기로 접어든 환자의 절반이 14일 이내 사망한다. 1940년대 이후 자취를 감췄던 황열병은 지난해 12월 다시 등장했다. 브라질 정부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내미생물을 활용해 건강하게 살 방법은?
2017.08.08
하는지 알아내는 게 꽤 어려운 일이기 때문이다. 게놈이나 유전자의 유사성을 바탕으로
기능
을 추정하는 빅데이터 분석법이 여기서는 잘 통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유럽에서 수백 년 전부터 심장질환 치료제로 쓰인 디기탈리스 추출물의 경우 유효성분이 디곡신(digoxin)으로 밝혀졌다. 그런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생쥐의 앞발이 손이 되지 못한 사연
2017.08.01
‘양 손’으로 쥐고 있는 것일까. 모든 동물에서 사지의 뒤쪽 한 쌍은 걷는 게 주된
기능
이므로 어쨌든 발이지만 앞쪽 한 쌍의 경우 말단에서 갈라진 부분을 얼마나 능숙하게 움직일 수 있느냐에 따라 발이나 손 가운데 하나로 불러야 하는 걸까. 아무튼 포유류에서 진원류는 이런 고민 없이 앞쪽 한 ... ...
이전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