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에너지"(으)로 총 1,788건 검색되었습니다.
- [사이언스N사피엔스] 진시황은 왜 도량형을 통일했을까2019.06.13
- 이메일로 보낼 수 없다. 크립톤 원자로 정의한 1미터는 이메일로 보낼 수 있다. 원소명과 에너지 준위, 파장의 배수만 적어 보내면 된다. 과학기술이 발달한 문명이라면 (양자역학도 알아야 하고 파장도 측정할 수 있어야 하고) 이메일에 적힌 숫자 몇 개만으로 1미터를 훌륭하게 재현할 수 있다.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좋은 일은 우연이고 나쁜 일은 내 탓인가2019.06.08
- 세계는 다양하다. ‘평온함’ 같은 각성 수준이 낮은 긍정적 정서부터 기쁨, 신남 같은 에너지 수준이 높은 긍정적 정서, 사랑과 감사 같은 사회적 정서 등 다양한 것들이 존재한다. 시몬스대 심리학과 그레고리 펠드만 교수에 따르면 부정적 정서 못지 않게 이러한 긍정적 정서를 어떻게 ... ...
- [과학게시판] 건설연,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과 업무협약동아사이언스 l2019.06.05
- 양 기관은 사회간접자본 노후화 관련 장기 시험 데이터와 미세먼지 저감 건설소재, 건물에너지 저감 기술, 도로교통 관련 인증 및 성능평가 기술도 교류하기로 했다 ... ...
- '스마트시티는 미래 도시의 대안인가' 스마트시티MP·공학계 원로 '갑론을박'동아사이언스 l2019.06.05
- 약간의 고밀도로 개발하는 방안을 채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초고층은 에너지 효율 면에서 자립이 어렵고 경관을 해쳐 장기적으로 상황을 봐서 추진할 계획을 밝혔다. 정 교수는 “스마트시티의 성공 여부를 결정하는 요인 가운데 운영 방법도 중요하다”며 “과거 유비쿼터스도시(유시티 ... ...
- 열선 틀면 전자파 많이 나온다…안전기준에는 부합동아사이언스 l2019.05.30
- 미미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다만 열선에 흐르는 전류로 열을 발생시키거나 전자파 에너지를 이용해 음식을 가열하는 제품은 일반 가전이 비해 상대적으로 전자파 발생량이 높았다. 특히 에어프라이어는 음식을 가열하기 위한 열선이 제품 윗면에 있어 제품 상단에서 전자파 발생량이 높게 나타났다.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생명의 기원 밝혀질 수 있을까2019.05.21
- 연구결과가 실렸다. 참고로 세포에서는 TCA 회로를 거치며 분자들이 바뀌는 과정에서 에너지 분자들이 만들어지고 부산물로 이산화탄소가 나온다. 대사물질 가운데 피루베이트와 글라이옥실레이트라는 분자가 이산화탄소로부터 비생물 과정을 통해 만들어질 수 있다는 사실은 알려져 있다. ... ...
- NASA 관계자 "2033년 美 화성 유인탐사 계획 실현가능성 떨어져" 동아사이언스 l2019.05.20
- AI)의 개발, 화성 유인탐사 시 겪게 될 먼지 문제, 화성 자원을 이용한 물, 공기, 연료에너지 생산 기술을 들고 있다. NASA는 미국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PI)에 2033년까지 화성 유인 탐사가 가능할 지 타진했다. STPI는 지난 2월 이와 관련한 타당성을 발표하면서 "현재의 목표가 현실 가능성이 떨어지며 203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포기할 줄 아는 용기2019.05.18
- 쏟게 만드는 반면 정작 나에게 있어 중요하고 내가 잘 할 수 있는 무엇에 투자하는 에너지는 상대적으로 줄어들게 만드는 것은 아닌지 생각해 볼 일이다. ‘만능’에 대한 집착을 조금 덜어내야 선택과 집중이 가능한 게 아닐까? - Di Paula, A., & Campbell, J. D. (2002). Self-esteem and persistence in the face of ... ...
- [사이언스N사피엔스]어느 것도 당연하게 받아들이지 말라2019.05.16
- 동시에 줘도 전혀 아깝지 않다.) 웬일인지 여태 아무런 소식이 없다. 아니, 인류의 에너지 문제를 해결했는데 ‘겨우’ 1경5천조 원밖에 가치가 없을까? 최저임금을 찔끔 올리네 마네 그런 쓸데없는 논쟁 따윈 진작 하지도 않았을 텐데. 이 기사를 보는 누군가는 제도권 과학자들이 자신들만의 아집에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루궤이전, 니덤의 조수 혹은 스승2019.05.09
- 공생체인 미토콘드리아의 내막에서 일어나며, 이 과정을 통해 생명체는 생존에 필수적인 에너지를 만들 재료와, 생존과 성장에 필요한 재료의 대부분을 생산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생화학은 20세기 초반, 이런 대사경로들을 발견하며 새로운 학문 분야로 떠올랐고, 이제 막 영국 땅에 도착한 ... ...
이전1281291301311321331341351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