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데"(으)로 총 12,271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 뉴스] 미션 루시, 소행성을 향한 비행 임박!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8호
- 그래서 이들을 분석하면, 태양계의 역사와 지구에 존재하는 생명의 기원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어요.루시는 2025년 첫 소행성에 도달하고, 이후 7개의 다른 소행성을 비행하면서 2033년까지 이들을 탐사할 계획이지요. 그리고 P형, D형, C형의 트로이 소행성을 모두 처음으로 가까이서 ... ...
- [기획] 황색망사먼지, 이렇게 똑똑하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8호
- 보이기 때문이에요. 계속해서 변하고 복잡한 환경에서 뇌가 없는 생물이 살아남는 데 학습과 기억 능력이 큰 도움을 줄 거예요.이런 황색망사먼지를 연구하며 단순한 생명체의 인지 능력에 관심이 생겼어요. 앞으로는 세포의 정보 처리 과정을 연구할 거예요. 궁극적으로 건강한 세포와 암세포 ...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8호
- 그리고 전자레인지에 넣고 1분 30초 데우면 완성!전자레인지로 떡볶이도 만들 수 있다는 데요. 오늘 간식은 토스트와 떡볶이 어때요? 추천! 어과동 실험 영상 다시 보기섭섭박사님은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이번 추석에 고향을 방문하는 대신 집에 머물기로 결심했어요. 무얼 하며 보낼까 ... ...
- [이달의 과학사] 1849년 9월 26일 ‘파블로프의 개’실험의 파블로프 탄생!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8호
- 개는 원래 먹이를 주면 침을 흘리고, 종소리를 들려주면 침을 흘리지 않습니다. 그런데 파블로프가 먹이를 주기 전에 종소리를 들려주는 것을 반복했더니, 다음부터는 종소리만 들어도 침을 흘리기 시작했어요. 종소리가 들리면 곧 먹이가 나온다는 걸 학습하고 침을 만든 것이죠. 이런 현상을 ... ...
- [통합과학 교과서] 우주여행을 떠나는 꿀록!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8호
- 연구실이 폐쇄돼 연구할 시간이 부족했어요. 참여하는 기업이 많아 일정을 조율하는 데도 시간이 오래 걸렸죠. 예산도 부족했어요.2021년, NASA가 우주복을 개발하기 위해 신청한 예산보다 턱없이 부족한 예산이 배정됐죠. 이 소식을 접한 미국의 민간 우주기업 스페이스X 최고경영자 일론 머스크는 ... ...
- 질문하면 답해 ZOOM!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8호
- 그래서 비행기를 타고 창밖을 바라보면 구름 위를 날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어요. 그런데 이 고도엔 좁은 폭으로 매우 빠르게 부는 공기의 흐름이 있어요. 바로 ‘제트기류’ 입니다. 제트기류는 시속 30km 이상의 속도로 서쪽에서 동쪽으로 흐르는 바람이에요. 항공기가 제트기류를 타고 이동하면 ... ...
- 우동수비대 우동이의 일기 기록 교정 작업! 대학생 언니, 형 출동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8호
- 틈이 있었으나 관람객의 눈을 완벽히 피할 만한 공간은 없었습니다. 휴식처도 한 군데라 모든 뱀이 충분히 쉴 수 있을 정도는 아니었습니다.버마비단뱀에게 맞는 바닥재는 동물사 일부에만 깔려 있고 나머지 부분은 시멘트 바닥이었습니다. 먹이나 급수대는 보이지 않았습니다. 보통은 박물관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나와 다른 사람의 권리 존중하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8호
- 것을 본 적 있을 거예요. 물건을 사용할 때 지켜야 할 조건을 적으면 그 물건을 보호하는 데 도움이 돼요. 디지털 저작물에도 사용 조건을 표시해서 저작권을 보호해요. 그리고 이 조건은 저작자 자신이 직접 정할 수 있어요. 이전에는 저작권을 표시하는 방법이 없어 매번 저작자에게 직접 허락을 ... ...
- [이달의 과학사] 1947년 9월 9일 그레이스 호퍼, 최초로 컴퓨터 버그를 잡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7호
- 바꿔주는 ‘컴파일러’를 처음 만들었고, 프로그래밍 언어인 ‘코볼’을 개발하는 데 참여하기도 했지요. 그레이스 호퍼는 지금도 현대의 컴퓨터를 만든 과학자 중 한 명으로 널리 존경받는답니다. ... ...
- [이재형 천문대장] 과학동아천문대와 함께하는 이달의 우주 날씨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7호
- 알려진 목성과 토성의 위성은 각각 79, 82개로 매우 많아요. 이 중 목성의 위성인 가니메데와 토성의 위성인 타이탄은 수성보다도 크지요. 그렇다면 여기서 이번 별빛미션! 만약 지구가 태양의 행성이 아니라 목성이나 토성의 위성이라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요? 그리고 우리의 생활은 어떻게 ... ...
이전1291301311321331341351361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