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감응
반향
응답
효과
작용
공감
반동
d라이브러리
"
반응
"(으)로 총 5,190건 검색되었습니다.
[Career] 유전자 진단 기술계의 '구글'을 꿈꾸다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있는 바이러스나 암세포의 유전자를 찾아내야 한다. 이때 사용하는 기술이중합효소연쇄
반응
(PCR)이다. 유전자의 특정 서열을 수십억개씩 복제해서 그 유전자가 바이러스나 암 유전자가 맞는지 확인한다. 이 기술을 고안한 캐리 멀리스 박사는 1993년 노벨화학상을 받았다.하지만 이 기술을 활용하는 ... ...
[새 책] "당신들도 그곳에서 행복하길 바랍니다"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사진 중엔 의학교과서에서 꼽은 남녀의 누드 사진이 포함돼 있었는데, NASA는 대중의
반응
을 걱정해 거부했다(103쪽). 골목에서 아이들의 재잘거림을 녹음한 남자는 앤 드루얀을 내쫓으며 “NASA가 나 같은 우람한 사운드맨에게 쪼끄만 여자를 보내다니 간도 크군!”이라고 소리를 질렀다(207쪽) ... ...
[핫이슈] 지진 대비! 집을 지키는 수학!
수학동아
l
2016년 10호
진동수의 지진파가 지표면을 흔들면 그 건물은 다른 건물보다 지진에 더욱 격렬하게
반응
합니다. 1985년에 규모 8.1 지진이 멕시코시티를 뒤흔들었을 때, 15~20층짜리 건물에 특히 피해가 컸습니다. 1995년 일본 고베 대지진때는 5~6층짜리 건물이 많이 무너졌습니다. 모두 같은 이유였지요.지진을 견디는 ... ...
[소프트웨어] 경기 안산해양중학교 합치고 나누는 SW
수학동아
l
2016년 10호
실습을 한다. 정보 수업을 담당하고 있는 김선아 교사는 “이론보다는 실습이 학생의
반응
이 좋다”며, “이론 수업도 보드게임 같은 언플러그드 활동 위주로 하려고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SW와 과학의 융합안산해양중학교 SW교육의 또 다른 특징은 ‘융합’이다. 정보가 아닌 다른 수업에서도 ... ...
[과학뉴스] 핵탄두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배나 큰 폭탄입니다. 핵물질 안에 소량의 중수소와 삼중수소를 넣어 폭발 시 수소 핵융합
반응
이 일어나 폭발력이 증폭되기 때문입니다.현재 국제사회에서는 북한이 정말로 핵탄두 소형화에 성공했는지에 대해 의견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만약 실패했다 해도 핵탄두 소형화는 사실상 ... ...
PART 2. 힘을 합쳐 난제를 풀어라!
수학동아
l
2016년 10호
공개하며 함께 문제를 풀자고 제안했다. 프로젝트가 시작되고 7시간 동안은 아무런
반응
이 없었다. 그러다 영국 수학자 조세프 소모로시가 짧은 의견을 달면서 연구의 박차가 가해졌다. 얼마 지나지 않아 제이슨 다이어라는 고등학교 교사가 한 가지 제안을 올렸고, 이어 테렌스 타오가 의견을 ... ...
[과학뉴스] 개도 ‘립서비스’ 구분한다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칭찬했을 때는 뇌의 보상중추가 강하게 활성화된 반면, 감정 없는 말투로 했을 때는
반응
이 적었다. 앤딕스 연구원은 “개도 사람처럼 의미와 억양을 통합해서 말뜻의 진짜 의미가 무엇인지 해석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 ...
[Tech & Fun] 모자를 벗지 않는 사람들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니샤의 심장이 점점 빠르게 뛰기 시작했다. 네트워크에 글이 몰린다는 건 그만한
반응
을 일으킬 수 있는 사건이 일어났거나 그에 상응하는 뉴스가 퍼졌다는 뜻이었다. 윤환이 지금 이런 얘기를 하는 것과 때를 맞춰 글이 폭주한다는 게 과연 우연일까? 니샤는 그럴 리가 없다고 생각했다.윤환이 ... ...
[수학동아클리닉] 오목으로 익히는 순서쌍과 좌표
수학동아
l
2016년 09호
그저 학생들이 이해한 정도를 확인하려고 만든 활동이었는데 수업을 마친 뒤 학생들의
반응
이 놀라웠다. 대결하는 중에 ‘좌표축 위의 점은 적지 말아 달라’고 같은 팀 친구에게 이야기하는 학생이 있었다. 이유가 무엇이냐고 물어보니 (a, 0)과 (0, a)가 유독 헷갈린다고 했다. 이 학생은 평소 수업 ... ...
PART 2. 제2의 게놈 효과 과연 어디까지일까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신경생리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분석도 있다. 실제로 장 속에는 신경전달물질에
반응
해 뇌에 신호를 보낼 수 있는 신경세포가 수백만 개 존재한다.장내미생물이 사람의 면역계에 영향을 주는 과정도 최근에 비교적 구체적으로 밝혀졌다. 알레르기나 자가면역질환은 면역세포의 일종인 ... ...
이전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