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용"(으)로 총 14,017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곤충들의 미슐랭 맛집 동물 시체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5호
- 딱정벌레는 사망 후 14일을 전후로 발견되고요. 이 정보는 살인사건을 해결하는 데 사용됩니다. 시신에 어떤 곤충이 있는지, 가장 나이가 많은 곤충은 무엇인지 보면 시신의 주인공이 언제 죽었는지 역으로 계산해 볼 수 있습니다. 이를 ‘법곤충학’이라고 합니다 ... ...
- [스티브코딩쌤 - 마인크래프트] 플레이어가 움직이면 저절로 꽃이 핀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5호
- 마인크래프트에서 월드를 만들 때 블록을 부수고 지형을 정리하는 힘든 일을 해야 해요. ‘플레이어’가 특정 행동을 할 때마다 이런 일이 자동으 ... 쉽습니다. 변수에 입력하는 값은 바뀔 수 있고 꺼내서 쓸 수도 있어요. 변수는 코딩에서 자주 사용되는 개념이니 잘 이해해 두면 좋아요 ... ...
- [만랩! 디지털 리터러시] 은밀하고 위험한 폭력, 혐오 표현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5호
- 나타내는 이모지인데, 몇 년 전부터 아시아인의 눈 모양을 조롱하려는 목적으로 사용돼 논란이 됐죠. 디지털 세상에서 감정을 표현하는 수단인 깜찍한 이모지나 이모티콘이 혐오 표현의 도구로 활용되다니 정말 황당하지요? 누구인지 알 수 없는 온라인의 익명성을 방패삼아, 사회적으로 소외되고 ... ...
- [특집] 눈 결정은 육각형에서 자란다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5호
- 육각형이 효율적인 구조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어요.평평한 면을 하나의 도형만 사용해서 빈틈없이 채울 수 있는 도형은 정삼각형, 정사각형, 정육각형뿐이에요. 한 점을 중심으로 도형이 모였을 때 각의 합이 360°이기 때문이지요. 정육각형은 그중에서도 가장 넓은 공간을 만들 수 있는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청량한 콜라로 톡 쏘는 실험을!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5호
- 우리가 먹는 음식이나 얼굴에 바르는 화장품, 의류 염색 등 다양한 곳에서 색소가 사용되고 있어요. 대부분은 석유 화합물에서 만들어지는 합성 색소지요. 천연 색소는 만드는 데 비용이 많이 들고, 많은 양을 생산하는 데 어려움이 있거든요.그런데 지난 6월 8일, 카이스트 생명화학공학과 ... ...
- [수학 잘하는 동물 친구들] 두 발로 뛰고, 돌면서 뛰고!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5호
- 캥거루 화석을 발견해 연구했어요. 그 결과, 캥거루는 초원에 살기 전부터 두 다리를 사용해 빠르게 뛰며 환경에 적응했고, 천적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했다는 걸 알게 됐어요. 우리가 지금까지 캥거루를 만나볼 수 있는 건 바로 ‘뜀뛰기’ 덕분이 아닐까요? 비밀2. 꼬리가 다섯 번째 다리 ... ...
- [기획] 여행지까지 단숨에! 초음속 여행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4호
- 피해가 없도록 지상과 해상에서 초음속 비행 구간을 나누고, 친환경 바이오 항공유를 사용해 탄소 배출을 줄이겠다고도 밝혔답니다. ●인터뷰최정열(부산대학교 항공우주공학과 교수),장조원(한국항공대학교 항공운항과 교수) “초음속 비행기 문제, 소음을 줄이는 설계와 가벼운 재료가 ... ...
- [통합과학 교과서] 도깨비의 노래 연습을 도와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4호
- 막아줄 수 있기 때문이에요.마이클 메어 교수는 “항공 우주 분야뿐 아니라 건축 분야에 사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답니다. 에필로그“2021년 올해의 신인상을 발표하겠습니다. 주인공은 바로! 동화마을의 도깨비!”꿀록 탐정이 TV를 켜자 익숙한 얼굴이 나타났어요! 방음벽을 설치했던 그 ... ...
- [스티브코딩쌤 - 마인크래프트] 코딩 친구 '에이전트'로 편하게 게임하자!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4호
- 3번 슬롯에 가져온 뒤 사용할 수 있도록 아래와 같이 코딩하세요. 뼛가루를 세 번 사용하면 밀이 수확할 수 있는 상태로 자랍니다. ➋ Alt+Tab을 눌러 마인크래프트로 돌아간 뒤, 채팅명령어 ‘4’를 실행해 밀을 키우세요. ➌ 채팅명령어 ‘5’를 누르면 에이전트가 앞으로 이동하면서 밀을 ... ...
- [수학 잘하는 동물친구들] 거미줄로 뚝딱뚝딱, 집짓기 비결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4호
- 이름의 이 재료는 식물성 ‘콩 단백질’로 만들었어요. 거미줄처럼 튼튼하지만 사용한 뒤에는 쉽게 분해돼요. 그동안 자연을 파괴하는 주범이었던 플라스틱 문제를 거미줄이 해결해줄 수 있을지 기대가 높아지고 있답니다 ... ...
이전1291301311321331341351361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