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분
할당
배당
분배
배급
빈도
뉴스
"
분포
"(으)로 총 1,442건 검색되었습니다.
‘저주받은 하체’ 이 유전자 때문이었다
2015.03.25
의대 존 라울 분자유전학 교수팀은 ‘플렉신D1’이란 유전자가 허리와 엉덩이의 지방
분포
를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밝혀내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 23일자에 게재했다. 연구팀은 플렉신D1이 어떻게 비만체질을 결정하는지를 처음으로 규명했다. 연구용 물고기인 제브라피시를 통해 ... ...
난치병 ‘간질’ 치료 원리 찾았다
2015.03.24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정호 교수는 “선천적으로 몸 전체에 돌연변이가
분포
한다는 기존 학설을 뒤집고 뇌에만 돌연변이가 발생해 난치성 뇌질환을 유발한다는 사실을 증명한 최초의 연구”라고 말했다. 이 연구 성과는 의과학 분야 학술지 ‘네이처 메디슨(Nature Medicine)’ 24일자 ... ...
DNA로 분석한 ‘유나이티드 킹덤(UK)’
2015.03.22
구분한 영국 인구 구성. 붉은색 네모가 색슨족의 후예로 잉글랜드의 대부분 지역에
분포
한다. 데본 지역(왼쪽 아래 하늘색 동그라미) 사람들은 콘월(분홍 십자모양), 잉글랜드와 인접해 있지만 유전적으로 다른 패턴을 나타냈다. - 네이처 제공 반면 몇몇 지역의 경우 인접한 지역과 주민들의 ... ...
식품첨가물 유화제 알고보니…
2015.03.09
생쥐들은 맹물을 먹은 생쥐에 비해 대장을 덮고 있는 점막층이 얇아졌고 장내미생물의
분포
도 달라졌다. 그 결과 약간의 염증증상이 생겼고 몸무게가 10% 정도 더 나갔다. 그리고 포도당불내성 같은 초기 당뇨 증상이 나타났다. 식품과 화장품에 널리 쓰이는 유화제 P80의 분자구조. 왼쪽은 극성을 ... ...
백설공주의 유전자를 찾을 수 있을까
2015.02.11
흰 피부를 만드는 것도 이 유전자 중 하나일 겁니다. 그런데 재미있게도 이 유전자들의
분포
는 대륙마다 다릅니다. 검은 피부는 적도를 따라 나타나지만, 서태평양에서 사는 폴리네시아인과 적도권 아프리카인들의 피부색은 채도와 명도가 다릅니다. 둘 다 흰 피부를 만드는 유전자지만, 북서 ... ...
일상으로 들어 온 무인자동차
2015.02.08
연구진은 이제 특정 생태계가 얼마나 빠르게 말라가고 있는지 측정하려면 항공으로 식물
분포
사진을 찍고 거기서 흰개미집에 의한 효과를 제거해야 한다고 설명한다. 연구진은 자신들의 연구 방법이 세계 다른 지역에 사는 흰개미종에도 적용 가능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늑대복원, 정말 필요할까
2015.02.02
공존에는 대가가 따른다 각국의 보호 정책으로 유럽의 대형 포식자 개체수가 늘고
분포
범위가 늘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지난해 발표됐다. 위 왼쪽부터 시계방향으로 큰곰, 스라소니, 울버린, 회색늑대. 짙은 파란색은 상주 영역이고 옅은 파란색은 간헐적으로 발견되는 지역이다. - 사이언스 ... ...
이제는 적외선까지 3D로 감지
2015.02.02
60여 개국에 수출할 계획이다. 프랭크 윌슨 세라믹스 전무이사는 “적외선 에너지의
분포
지도를 이용하면 적외선을 활용한 공정 시스템을 설계하고 실제로 어떻게 작동할 지에 대한 예측과 이해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은하의 자기장초상화
과학동아
l
2015.01.28
플랑크 위성으로 우리 은하의 자기장
분포
를 관측해왔다. 자기장을 조사하면 성간물질의
분포
와 구성을 알 수 있다. 미세한 가스와 먼지로 이뤄진 성간물질은 은하 자기장 방향에 따라 자성을 띄기 때문이다. 사진에서 중앙부는 별이 밀집한 은하계 중심부(은하수)다. 자기장 밀도가 높은 지역은 ... ...
열역학에서 100년 이상 찾던 물리량 드디어 발견
2015.01.27
한다. 상태가 안정적인 ‘평형상태’와 달리 비평형상태에서는 확률
분포
를 결정하는 물리량이 밝혀지지 않았다. 물리학자들은 100년 동안 이 물리량을 찾기 위해 노력해 왔다. 최근 이진우 광운대 수학과 교수(사진)와 하지메 다나카 일본 도쿄대 교수가 이끄는 국제 공동연구팀은 국소적 형태의 ... ...
이전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