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용
이용
사용
활용
어플리케이션
애플리케이션
애프리케이션
뉴스
"
응용
"(으)로 총 3,046건 검색되었습니다.
충격 받으면 멍드는 소재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15
대한 메커니즘을 규명하였다”며 “이를 기반으로 미래형 웨어러블 센서 및 인공 피부로
응용
연구에 매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지난달 10일 국제학술지 ‘매크로몰레큘스’에 게재됐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바이러스의 창 막는 박테리아의 방패
2020.10.13
또 어떤 놀라운 사실이 드러날지 기대된다. 이렇게 밝혀진 새로운 박테리아 방어체계를
응용
한 기술이 나와 다시 한번 노벨상으로 이어질 수 있지 않을까. ※필자소개 강석기.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일했다.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9월부터 ... ...
[대학의 과거와 미래]③새로운 시도에 두려움이 없는 미국 대학의 혁신
2020.10.13
자문단, 국가 평생교육진흥원 이사를 역임했다. 현재 코세라에서 ‘공간 데이터 과학과
응용
(Spatial Data Science and Applications)’라는 MOOC를 운영하고 있다 ... ...
[고쳐 쓰자, 과학용어](1)'게놈'은 '유전체'로, '아밀라아제'는 '아밀레이스'로
2020.10.12
105번 원소를 각자 원하는 이름으로 불러 극심한 혼란을 초래한 이후 지금은 국제순수·
응용
화학연합(IUPAC)의 원소 명명 절차에 따라 정해진 이름으로 부르는 게 국제적인 기준이 됐다”며 “원소를 포함해 과학 용어는 과학자들의 전유물이 아니라 대중과 소통할 수 있는 수단인 만큼 통일된 단어를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크리스퍼 혁명'은 지금도 진행중
2020.10.08
고려하면, 식스니스 교수의 입장에서는 아쉬운 결과다. ●크리스퍼 유전자가위,
응용
시대를 열다 이 연구 이후, 어떻게 하면 이 기술을 사람과 같은 진핵세포에서 구현할지 논의가 활발히 하는 것이었다. 김진수 기초과학연구원(IBS) 유전체교정연구단 선임연구위원, 조지 처치 미국 ... ...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잊혀진 과학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20.10.08
수상에서 제외돼 아쉬움을 남겼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이들은 크리스퍼 유전자가위를
응용
할 길을 튼 과학자들로 추후 크리스퍼 분야에서 추가 노벨상이 나올 경우 후보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보기도 한다. ... ...
생명의 암호 교정하는 도구 만든 여성화학자 2명 올해 노벨화학상(재종합)
2020.10.07
개발되기도 했다. 김학중 고려대 화학과 교수는 "화학적인 메커니즘을 규명한
응용
성에 무게를 둬 노벨위원회가 수상자를 결정한 듯하다"며 "유전자 가위는 지금까지 아무나 이용할 수 없었는데 이 기술을 통해 간단한 편집을 광범위하게 활용할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연구"라고 말했다. ... ...
[노벨상 수상자 과거 인터뷰]‘유전자가위’ 창시자 다우드나 교수 “2∼3년 내 크리스퍼로 감염병 진단할 수 있게 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0.10.07
다우드나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 교수. 여전히 실험실에서 크리스퍼의 기초 원리와
응용
방법을 연구하고 있다. 버클리 캘리포니아대 제공 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상위원회는 7일(현지시간) 2020년 노벨화학상 수상자로 유전자 교정 방법을 개발한 제니퍼 다우드나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 ... ...
생명의 암호 교정하는 도구 만든 여성화학자 2명 올해 노벨화학상(종합)
2020.10.07
개발되기도 했다. 김학중 고려대 화학과 교수는 "화학적인 메커니즘을 규명한
응용
성에 무게를 둬 노벨위원회가 수상자를 결정한 듯하다"며 "유전자 가위는 지금까지 아무나 이용할 수 없었는데 이 기술을 통해 간단한 편집을 광범위하게 활용할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연구"라고 말했다. ... ...
현택환 교수 "한국도 노벨상 머지 않아…자율성 보장하고 꾸준히 지원해야"
2020.10.07
리튬이온배터리를 개발한 연구자들이 노벨상을 수상해 현 교수가 연구하는 재료 또는
응용
화학 분야가 연이어 수상을 기대하기는 어려웠다고 했다. 또 1980년대에 나노 입자 분야에서 보다 선구적인 연구를 한 연구자가 아직 받지 않았다. 현 교수는 “나노 입자 분야에서는 ‘입자가 성질을 ... ...
이전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