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맑음
밝음
투명도
광휘
명료
명석
순수
뉴스
"
투명
"(으)로 총 1,613건 검색되었습니다.
“디지털이 촉발한 미디어혁명 개인의 창의성이 가장 큰 무기”
동아일보
l
2016.06.18
“이러한 변화에 대응할 방법은 개인의 창의성과 자유, 또 그것이 꽃필 공정하고
투명
한 시장을 만드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호킨스 대표는 “디지털미디어 시대에서 창조경제는 전문가만 할 수 있는 게 아니다”며 “누구나 자신의 아이디어를 표현하고 나눌 수 있는 사회적 환경이 조성돼야 ... ...
[WWDC16 ③] iOS10, 모바일을 벗어나 플랫폼으로 거듭나다
2016.06.16
했던 디지털 터치와 재스터 전송도 붙었다. 메시지 내용을 손으로 긁어야 읽을 수 있는
투명
잉크나 화면 전체에 폭죽이나 색종이를 흩날리는 효과, 상대방 메시지에 직접적으로 ‘좋아요’를 붙이는 기능 등 전반적으로 요즘 메신저들이 갖고 있는 기능들을 다 품었다. 오히려 기능들이 너무 젊어서 ... ...
“암흑물질이 6600만 년 전 공룡을 멸종시켰다”
2016.06.15
눈에 보이지 않고, 중력을 제외한 우리가 알고 있는 힘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 만큼 ‘
투명
물질’이라는 이름이 더 어울릴지도 모른다”고도 덧붙였다. 우주 전체에서 암흑 물질은 우리가 그 정체를 알고 감지할 수 있는 물질보다 5배 이상 더 많다. 하지만 과학계는 아직 암흑물질을 발견하지 ... ...
수명 다한 태양전지, 간단히 씻어서 재활용한다
2016.06.14
형성하는 납과 잘 결합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또 연구진은 세척 공정을 거친
투명
전도성 기판을 재활용해 태양전지를 제작했더니 새 태양전지와 동등한 수준의 성능을 보인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정 교수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환경적인 문제를 해결하고 경제성을 높일 수 ... ...
최대 8배까지 늘어나는
투명
전극 개발
2016.06.13
윤석구 고려대 기계공학부 교수(왼쪽)와 논문 제1저자로 참여한 안성필 연구원. - 고려대 기계공학부 제공 8배까지 쭉 늘려도 끄떡없이 전기가 ... 13일자에 실렸다.
투명
전극은 이름처럼 '
투명
'하기 때문에 빛을 투과시킨다(왼쪽). 이
투명
전극을 이용해 불을 밝힌 모습. - 고려대 기계공학부 ... ...
살아있는 두뇌 속 실시간 관찰 ‘두개골 윈도’ 개발
2016.06.13
직접 자극을 주거나 시술을 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유연한 재질의
투명
플라스틱 ‘PDMS’를 이용해 뇌 속 관찰은 물론이고 뇌혈관이나 뇌세포에 직접 시술을 할 수 있는 ‘소프트 윈도’를 개발했다. 생쥐를 통해 실험한 결과 대뇌 뇌세포 중 특정 세포만 녹색 형광을 띠도록 ... ...
‘치매 뇌 지도’ 2023년까지 완성한다
2016.05.31
원 규모로 성장했다. 특히 각종 뇌질환 치료제가 83%인 약 170조 원을 차지하고 있다. 뇌를
투명
하게 볼 수 있게 하는 장비나 뇌를 초고해상도로 들여다보는 장비는 연 5%씩 성장하며 29조 원 시장을 이루고 있다. 이 시장을 잡기 위해 미국은 2013년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직접 최대 규모의 연구 ... ...
[조성하 전문기자의 休]차창 너머 사자-코끼리… 자연의 법칙이 지배하는 땅
동아일보
l
2016.05.28
국제공항을 이륙한 지 두 시간 만에 안착했다. 캐빈을 나서 트랩 카에 오르는 순간.
투명
한 파란 하늘에 두 눈이 번쩍 뜨였다.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하늘’이라는 찬사, 조금도 틀리지 않다. 이 하늘을 촬영한 사진이 그걸 증명한다. 색감이 그리도 청징할 수가 없다. 조금 과장하면 나미비아에선 ... ...
[화성 최대근접 현상] 화성에 정말 화성인이 있을까?
2016.05.27
H.G. 웰스(왼쪽)가 1898년 발표한 우주전쟁 표지(오른쪽). 그는 ‘타임머신’, ‘
투명
인간’ 등 과학 소설 100여 편을 쓰며 영미과학소설계의 중심으로 떠올랐습니다. - 위키미디어 제공 ● “화성 표면에 누가 사람의 얼굴을 새겨놨어?” 화성에 대한 공포와 함께 사람들의 호기심은 또 다른 ... ...
이곳에선 ‘똥’도 ‘돈’이 된다
2016.05.26
월든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마련됐다. UNIST 경영관 앞 광장에 위치한 실험실은
투명
한 플라스틱 소재를 이용해 육각형 형태의 2층 구조로 지어졌다. 한국자연미술가협회 야투(野投)의 고승현 작가가 설계했다. 1층 ‘윤동주 화장실’에는 물 없이도 대변을 처리할 수 있는 변기와 대변을 ... ...
이전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