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코튼
페이지
쪽
무명
목화
장
페이쥐
d라이브러리
"
면
"(으)로 총 3,168건 검색되었습니다.
손가락 굵기에 도전하는 LED TV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썼을 때보다 빛이 부드럽고 자연스럽다. 또 LED에서 나오는 빛은 순도가 높아 화
면
의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의 명암을 선명하게 표현하는 데도 유리하다. LED 광원은 형광램프처럼 수은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환경에 친화적이다. 이처럼 LED는 원래 다른 광원에 비해 우수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LCD ... ...
[입학사정관제] 입학사정관제 1차 전형 통과 비법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통해 지구온난화의 심각성을 뼈저리게 느낀 점을 ‘중앙일보 학생기자’로 활동하
면
서 학교신문과 매일신문에 글을 기고하는 등 환경파괴의 심각성을 널리 전달하는 데 노력하고 있습니다.타인을 배려하는 마음이 강하고 탐구하고 도전하는 정신이 매우 투철한 학생으로 자기계발에 부단한 노력을 ... ...
하늘을 나는 자동차의 꿈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자동차로 직접 이동하는 것과 크게 다르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도로 주행과 안전성 측
면
에서 해결해야 할 문제도 많다. 우리나라처럼 도로가 울퉁불퉁하고 언덕이 많은 곳에서는 기체가 손상되기 쉽다. 하늘을 맘대로 날아다닐 수 있는 것도 아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구삼옥 박사는 “보이진 ... ...
비상! 우주가 위험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6호
버리는 거지. 하지만 돈이 많이 들기 때문에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나도 얼마 뒤
면
곧 우주로 나갈 몸이라 우주쓰레기 때문에 걱정이 많이 돼. 우주가 깨끗해야 안심하고 임무를 수행할 수 있을 텐데 말이야. 우리나라도 우주개발에 본격적으로 뛰어들고 있는 만큼 우주쓰레기 문제를 해결할 ... ...
터미네이터 로봇의 진화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인간이라고 생각하나?” “그렇다!” 뇌와 심장만 살아 있고 나머지가 전부 기계라
면
이를 인간으로 볼 수 있을까. 유 박사는 “현재 팔이나 손이 없는 사람은 인공 팔이나 손을 장착하고 근전도 감지기를 이용해 움직이고 원숭이 뇌파로 로봇팔을 움직이게도 한다”며 “미래 사회에는 사이보그가 ... ...
몸속에 화학물질 쌓이
면
당뇨병 위험 증가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가득 차 있었다.팝스 농도와 당뇨병 발생률체내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POPs) 수치가 낮으
면
(G1) 비만이더라도 당뇨에 거의 걸리지 않는다. 그러나 팝스 수치가 올라갈수록(G2~G5) 당뇨도 급증하는데 이런 경향은 비만일수록 심하다 ... ...
출동! 동물흔적탐험대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5호
꼭꼭 숨어라~, 머리카락 보일라!”야생 동물은 타고난 숨바꼭질의 달인 같아. 야생 동물을 만나러 숲 속, 강가, 들판에 가
면
분명히 어디 ... 거야. 그래야 숲이나 강가에서 야생 동물의 흔적을 찾고 이해할 수 있으니까. 그러다 보
면
분명 야생 동물을 아끼고 사랑하는 마음도 쑥쑥 자랄 거야 ... ...
광합성 하는 동물 있다? 없다?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아니라 여전히 치열하게 전개되는 현재진행형인 셈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
면
?광합성 하는 동물 있다? 없다?C4벼로 ‘제2의 녹색혁명’ 꿈꾼다광합성 고효율 비결은 양자 ... ...
모바일게임 대작 영웅서기3의 인기 비결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수북이 쌓여 있다. 평소에 많은 자료를 보며 여러 가지 이미지를 보고 기억해두
면
작업에 큰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기본적으로 하루 일과 중 항상 하는 일은 해외의 디자인관련 사이트를 방문하는 일이에요. 아이디어를 얻기도 하고 전반적인 디자인 트랜드를 알기 위해서죠.앞으로는 디자인 ... ...
제2 지구 찾는 케플러 우주망원경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현상이다. 이 현상으로 별빛이 밝아질 때, 앞별 주위를 공전하는 외계행성이 있으
면
그 행성 때문에 별빛의 변화가 달라진다. 이렇게 특이한 변화를 관측해 외계행성을 발견하는 것이 중력렌즈 방법이다. 현재까지 이 방법으로 8개의 외계행성이 발견됐는데, 이 중에서 5개는 우리나라 연구진이 ... ...
이전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