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질병
질환
단지
재앙
우환
병환
항아리
d라이브러리
"
병
"(으)로 총 2,358건 검색되었습니다.
냄새는 뇌가 맡는다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환자 26명의 후각망울 크기를 측정한 결과 정상인보다 평균 23%나 작았다. 이는 정신분열
병
환자가 후각능력에 이상이 있다는 생물학적 근거를 보여주는 것이다.몇몇 냄새는 심리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졌다. 예를 들어 레몬 향은 자신의 건강에 대한 인식을 증가시킨다. 라벤더 향은 ... ...
미국의 새 우주 무기 계획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미국 정부는 수십억 달러(수조 원)를 들여 우주무기를 개발하는데 박차를 가하고 있다. 우주무기는 우주에서 지구 어느 곳이라도 공격할 수 있다. 부시 대통령은 곧 우주무기에 대한 새로운 ... 액체성분이 혈관벽을 투과하여 주위조직의 구석구석까지 침투된 상태 심장
병
이나 신장
병
이 ... ...
수학과 과학 가상실험실 - 익스플로어러닝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접촉하는 대도시에서 훨씬 빠르게 많은 사람에게 전염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전염
병
이 퍼질 때는 사람과의 접촉이 적은 소도시가 좋다는 것을 알 수 있다.수와 계산으로 구성되는 수학도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많은 분야다. 하지만 가로 3칸, 세로 3칸으로 총 9칸의 공간을 만드는 모눈종이를 ... ...
의사가 안내하는 몸속 미시세계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슈반세포의 핵이다. 08. 벚꽃 사이로 보이는 하늘 서연림성균관대 의대 삼성서울
병
원
병
리과흐드러지게 핀 봄의 여왕 벚꽃. 꽃잎과 줄기 사이로 파란 하늘이 살짝살짝 보인다. 줄기에 해당하는 부분은 사실 뇌에 있는 별아교세포의 돌기. 이 세포가 갖고 있는 세포골격단백질에 대한 항체를 만들어 ... ...
PART 01. 되살아난 인간 사냥꾼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바싹 익혀서 먹어야 한다는 신화는 바로 여기서 탄생했다. 맛있는 삼겹살을 먹고 뇌에
병
이 생기는 걸 원하는 사람은 없을 테니까.하지만 돼지에 대한 검역이 강화되고, 돼지에게 대변 대신 사료를 먹이면서부터 갈고리촌충은 점차 사라졌다, 우리나라에서는 1989년을 마지막으로 돼지에서 이 ... ...
가상현실로 정신
병
치료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수 있어 좋았다는 의견이 압도적으로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정서 표현 훈련정신분열
병
환자에게 가장 힘든 것은 자신의 감정을 다스리는 일. 여러 가지 상황에서 감정을 표현하고 누그러뜨리는 법을 배운다. 먼저 비교적 편안한 가족과 함께 있을 때 정서 표현 방법을 익힌다. 그 다음 친구와 ... ...
2030년으로 떠나는 시간여행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01590 재활 의료복지 시스템 보급 201491 원격 산림자원 조사기술 실용화 201392 고혈압과 당뇨
병
발생원인 규명 201693 신소재 인공위성 카메라광학부기술 보급 201594 암 발생과 전이의 유전적 과정 규명 201795 가상현실 학습 시스템 실용화 201196 생물자원 장단기 보존기술 실용화 201397 대형토목공사용 ... ...
PART 02. 알레르기 잡아먹는 기생충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공생’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생물이 수컷과 암컷으로 성이 나눠진 것도 기생충과
병
균에 대응하기 위해서라는 생물학 이론도 있다. 미래에는 기생충이 애완동물 만큼 인간의 사랑을 받을지도 모른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기생충은 살아있다 PART 01. 되살아난 인간 사냥꾼 PART 02. ... ...
4 TV, 기억을 잃어버리다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드라마와 영화의 가장 큰 오류. 이들 드라마만 보면 기억상실증이 자주 일어나는 정신
병
처럼 보인다. 그러나 기억상실증은 실제로 매우 드문 정신질환이다. 기억상실증의 남발이야말로 상당히 비과학적인 설정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나는 기억한다, 고로 존재한다 1 기억도 부익부 ... ...
복제양 '돌리' 만든 윌머트박사, 황우석교수에 공동연구 제안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5월 영국을 방문해 좀 더 구체적으로 논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황 교수와 루게릭
병
공동 연구를 논의하기 위해 자비로 방한한 윌머트 박사는 황 교수의 실험실들을 둘러보고 “매우 수준 높은 연구가 이뤄지고 있었다”며 “공휴일(식목일) 오전 9시에 서른 명이 넘는 연구원이 실험실에 나와 ... ...
이전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