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요점
중심
알맹이
정수
중앙
중추
중점
d라이브러리
"
핵심
"(으)로 총 3,110건 검색되었습니다.
세상을 밝히는 등불처럼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성과가 비추는 빛의 크기를 키우기 위해 노력을 다하고 있다. 최근에는 5세대 통신의
핵심
요소 기술이 될 ‘단말간 직접 통신’이라는 새로운 연구를 시작했다. 이러한 연구들을 통해 제자들 그리고 부호 및 암호 연구실의 후배들이 자신만의 새로운 등불을 키워나가길 바란다 ... ...
통신 오류 잡는 수학 ‘마술사’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리더십 등이 필요하다.수학을 좋아하고 연구에 관심이 많은 학생이라면 도전해 보자.
핵심
기술인 만큼 진출할 수 있는 분야도 다양할 뿐만 아니라 학문적인 성취감이 큰 분야다.[스마트폰 앱을 이용해 노종선 교수의 부호 및 암호 연구실 연구원의 이야기를 들어보자. ... ...
딱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6호
10배나 늘었지 뭐야. STEAM은 단순히 다섯 과목을 한 번에 가르치는 교육이 아니야. STEAM의
핵심
은 바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지. 문제를 푸는 연습을 꾸준히 한다면 그런 능력을 쉽게 기를 수 있을 거야. 직접 자르고, 붙이며 만드는 교구가 있다면 훨씬 재밌겠지? 안녕? 난 딱스 1호 ... ...
화학생물공학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아니라 차세대 디스플레이, 초 고밀도 집적 회로 반도체와 같은 최첨단 전자 제품의
핵심
부품을 만든다. 각종 나노구조물 생산, 복잡한 화학플랜트 안전장치 제어, 친환경적 공정 개발에도 쓰인다.화학생물공학은 단백질이나 DNA처럼 생체물질을 화학적 분자로 접근하는 연구에도 활용된다. ... ...
20mm 문턱도 넘나드는 로봇청소기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먼지를 모으면 진공흡입으로 먼지를 말끔히 제거한다”고 말했다.로봇청소기의 두 번째
핵심
기술은 ‘길 찾기’ 능력이다. 청소를 한 곳과 하지 않은 곳을 구별할 수 있어야 청소를 깨끗이 할 수 있고 이동 장소를 기억해야 충전이 필요할 때 원래의 자리로 돌아갈 수 있다. 이를 위해 ... ...
Part3. 비판과 한계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우주’가 나타날 확률이 훨씬(1010100배) 높다는 주장)이 완전히 해결된 것은 아니다. 또
핵심
인 인플라톤장은 측정을 통해 증명되지 않은 가설적인 장이다.영원한 인플레이션이 만든 다중우주의 흔적을 검출하려는 시도도 있다. 매튜 클레번 미국 뉴욕대 물리학과 교수는 2011년 한 논문에서 ... ...
아이디어가 번쩍! 수학적인 특허소
수학동아
l
2012년 05호
소개하죠. 이름 하며 ‘동그라미 뚫으려다 네모난 구멍 생겼네?’입니다. 이 기술의
핵심
은 정폭도형 중 하나인 뢸로 삼각형입니다. 후훗, 정말 놀라운 반전이죠?삼각형으로 사각형을 만드는 반전, 뢸로 삼각형!평면 도형 중에는 어느 방향에서 그 폭을 재도 같은 길이의 폭을 갖는 도형이 있다. 이런 ... ...
반도체 행성 3D 대공사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웨이퍼에서 잘라 별도로 만든 칩셋에 집적시킨 것이 반도체다.트랜지스터의
핵심
기능은 ‘스위칭’이다. 말 그대로 전류를 흐르게 했다가 끊는 것을 반복하는 것이다. 전류가 흐를 땐 1, 끊을 땐 0이라는 디지털 신호를 갖는다. 무수한 0과 1의 조합에 맞춰 트랜지스터가 전류를 흐르게 했다 끊었다가 ... ...
Part2. 말도 안되는 배들 4S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과학적 상상을 하는 것만으로도 즐거운 일이다.[대형 컨테이너 선박은 친환경기술의
핵심
개념이다. 한번에 많은 양의 화물을 운반해 에너지 이용량을 줄일 수 있다.]가장 빠른 배는 얼마나 빠를까. 자동차에 경주용 자동차가 있듯이 선박에도 경주용 선박이 있다. 초기 경주용 보트의 일반적인 ... ...
차세대 연료전지 나노 기술로 상용화 앞당긴다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리튬이온 전지 등 다양한 분야의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산화 환원 반응을 이용한다는
핵심
은 같지만 쓰이는 재료나 기술 등이 조금씩 차이가 난다. 그러다 보니 연구실 회의를 하면 각 분야의 다양한 지식을 얻을 수 있다. 이는 문제 해결에 큰 도움을 준다. 성 교수는 연구실의 연구 분야를 ... ...
이전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