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집
연도
년도
year
d라이브러리
"
년
"(으)로 총 2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신경과학]듣지 못해도 말할 수 있는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혀의 위치를 바꾸지만 귀에 들리는 발음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연구팀은 20
년
전 청력을 잃어 소리를 듣지 못하는 사람 5명을 실험 참가자로 모집했다. 그리고 참가자들에게 이 장치를 설치한 뒤 “쌔쓰(sass)”나 “쏘(saw)”처럼 시작하는 자음이 같고 입을 크게 벌려 발음해야 하는 단어를 ... ...
과일 맛 결정하는 ‘황금비’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있는 셈이다. 단감을 연시로 만드는 에틸렌과일을 더 달콤하게 만들 방법은 없을까. 2006
년
미국 조지아대 케시 테일러 교수는 과일의 당분을 높일 수 있는 독특한 방법을 고안했다. 나무껍질을 한 줄 벗긴 뒤 허리띠와 같은 플라스틱 띠로 나무를 묶어 당분의 이동통로인 체관을 압박하는 것. ... ...
엑스파일 나는 믿고 싶다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볼 수도 있어 윤리적 문제가 남아 있다. 강석훈 전문의 >서울대 의대를 졸업한 뒤 2006
년
부터 가정의학과 전문의로 활동하고 있다. 어린 시절부터 꿈이었던 영화와 드라마 시나리오를 쓰는 작가이기도 하다. 지난해 방송된 SBS 의학드라마 ‘외과의사 봉달희’의 보조작가로 활동하며 유명세를 타기 ... ...
조선해양공학 인재 키우는 인큐베이터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제작 노하우를 많이 쌓았지만 현실에 안주하지 않는다. 동아리를 만든 지 5
년
만인 1998
년
에는 비행기와 배가 결합한 형태의 위그선을 제작해 주변 사람들을 놀라게 했다. 위그선은 물 위에서 뜬 채로 빠른 속도로 움직이는 최첨단 선박이다. 모모는 다른 동아리들이 선체가 두 개로 이뤄진 쌍동선을 ... ...
필요에 따라 썼다 지우는 워터마크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해야 할까. 음악을 잘 아는 사람에게 물어보는 방법 외에는 뾰족한 수가 없다. 그러나 1~2
년
뒤에는 컴퓨터에 노래의 일부를 들려주거나 선율을 따라 흥얼거리는 것만으로도 곡명을 알아낼 수 있다.미지의 음악과 영상 알아내는 프로그램 KAIST 멀티미디어 신호처리 연구실 유창동 교수팀은 음악과 ... ...
국제학회에선 국가대표 선수처럼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마음먹었다. 하지만 머릿속엔 막연한 생각만 있을 뿐 구체적인 계획은 없었다. 그런데 2004
년
여름, 미국 MIT에서 부임한 김용환 교수님과의 만남은 이런 꿈을 구체화시키는, 힘들지만 행복한 시간의 시작이었다.시작은 학부 시절 김 교수님과 국제 저널에 논문을 발표하면서부터였다. 조선해양공학에 ... ...
인문학 소양 뛰어난 과학인재 양성의 명문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차 창의성테스트를 포함한 구술시험을 치르는 과정은 지난해와 같다. 대구과학고는 2010학
년
도부터 영재성을 더 반영하기 위해 전형 방식을 상당 부분 바꿀 계획이다 ... ...
[화학]대기권을 통과하는 소리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이해해 소리의 속력이 각 층에서 어떻게 변할지 논리적으로 추론하는 문제입니다. 2006
년
서울대 특기자전형 화학 면접에서도 공기 중 질소와 산소 비율이 바뀔 경우 소리의 속력이 어떻게 변할지 예측하는 문제가 출제된 바 있습니다. 마지막 문제는 제시문에 주어진 식을 이해해 소리의 세기와 ... ...
50 Years of NASA’s Achievement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998
년
부터 ‘World View Pro’라는 인터넷 칼럼을 발간해 수많은 독자들에게 한국의 기존 언론이 다루지 않는 바깥 세계의 정보를 제공했다. 현재 인터넷과 사회의 상호작용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Like all historical events, the birth of NASA must be placed in the context of i ...
달에 내 이름을 보내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0호
했거든요. ‘LRO’는 미국항공우주국에서 오는 10월에 발사할 달 정찰 궤도선이에요. 2020
년
까지 진행될 유인 달탐사를 위해 달의 착륙지점을 파악하고 여러 가지 자료를 얻는 임무를 띠고 있어요.인터넷(http://lro.jhuapl.edu/NameToMoon/)에서 신청하면‘LRO’에 자신의 이름을 실어 보낼 수 있어요. 기간은 ... ...
이전
1351
1352
1353
1354
1355
1356
1357
1358
13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