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부
전문학부
d라이브러리
"
대학원
"(으)로 총 1,736건 검색되었습니다.
약되는 독, 독되는 약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백설공주는 사과장수로 변장한 계모 왕비가 준 빨간 사과를 먹고사과 속에 들어 있는 독 때문에 죽었다가 살아난다. 많은 소설이나 영화에서 독은 사람을 죽게 하는 물질로 알려져 있다. 과연 그럴까.독에 대한 개념은 보통 사람들이 알고 있듯 그렇게 간단하지 않다. 실제로는 상당히 광범위해 생 ... ...
환경모니터링 기술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국내의 여러 대학을 살펴봐도 마찬가지다. 외국의 대학들도, 환경모니터링 기술은
대학원
과정에 진학해야 공부할 수 있다.현재 환경모니터링 기술은 자연과학자와 공학자의 분업을 통해 계속 발전하고 있다. 환경오염물질을 실시간으로, 그리고 원격으로 모니터링하는 여러 기술들이 ... ...
다이아몬드보다 물을 소중히 여기는 환경공학자 박종문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보면 누구보다도 강한 집착력을 보이는 것이 그의 특징이다. 이 점은 그가 지도하고 있는
대학원
생들도 모두 인정하는 부분이다. 박교수는 심지어 꿈속에서 문제를 해결한 적도 있다고 했다. 박사학위 논문을 위한 연구를 할 때는 연날리는 모습을 보고 반응기 속에 식물세포를 담고 있는 플라스크를 ... ...
이혁모 컴퓨터로 첨단합금 설계하는 사이버 연금술사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철저하게 계획하고 이뤄낸 사람이다.실제로 그는 꼼꼼하기로 소문이 나있다. 지도하는
대학원
생들도 인정하는 부분이다. 그의 연구실을 봐도 곧 확인할 수 있다. 초등학교때 상으로 받은 민중서관 영한사전이 30년이란 세월이 무색할 정도로 깔끔하게 자리잡고 있으며, 어느 곳에 흐트러진 종이 ... ...
컴퓨터 그래픽스 액체로봇에서 가상공장까지 척척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적용 범위는 얼마나 넓고 어디까지 가능할까. 컴퓨터 그래픽스를 전공한 포항공대
대학원
장 박찬모 교수는 “컴퓨터 그래픽스 기술의 발전을 제한하는 요소는 딱 하나, 인간 상상력의 한계”라고 말한다. 우리가 머리 속에 떠올릴 수 있는 모든 것을 표현할 수 있다는 말이다. 인간의 상상을 현실로 ... ...
조윤제 암블랙박스 파헤치는 구조생물학자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그런 것들 이 결국에는 하느님의 말씀에 다 담겨 있다고 설교한다. 이 점은 그가
대학원
생들에게도 강조하는 부분이기도 하다. 전문가의 기초적인 소양은 건강한 신체와 건강한 정신에서 비롯된다고 믿기 때문일까.호기심이라는 무지개를 찾아서조교수는 현재 유방암과 난소암에 관련된 BRCA2 ... ...
수시모집 이공계 심층면접 실전대비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현상을 막을 수 있겠는가?■1999년 서울대에서는 실험실에서 알루미늄 가루가 폭발해
대학원
생이 사망하는 사고가 있었다. 어떻게 알루미늄이 폭발할 수 있는가?2 관성력·원심력·전향력일반적으로 어떤 장치가 가속도운동을 한다면 그 안에 있는 물체엔 관성력이 작용한다. 그러나 엄밀히 봤을 때 ... ...
제14회 국제청소년물리학자토너먼트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시계가 진동하는 판 위에 놓인다면 떨어지는 모래의 움직임은 어떨까.과학전공
대학원
생이나 교수라면 이 문제를 보고 즉시 정답을 제시할 수 있을까. 그들도 관련 자료를 찾고, 아이디어를 내며, 실험하고, 수학적으로 따져보아야 할지 모른다. 또한 결과로 얻은 해도 저마다 다를 수 있다.이같은 ... ...
재미 좇아 생명의 신비 밝히는 물리화학자 조민행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평범한 천재이렇게 학생들에게 다가가려고 노력하지만 쉬운 일이 아닌 듯하다. 요즘은
대학원
생들과 수시로 소프트볼도 하지만 학생들은 그를 천재로 생각하며 다가서기를 주저한다. 그렇다고 조교수가 기이한 행동을 하는 것은 아니다. 고등학교 친구인 정규진씨(QN&E)는 “공부를 그렇게 열심히 ... ...
장애아 애덤 킹의 아름다운 시구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관심을 가지는 사람도 있다.정형외과 전문의가 공부에 나서 포항공대 기계공학과
대학원
과정에 있는 임병희씨(30)는 학부과정에서 생물학을 전공했다. 그리고 기계공학을 부전공으로 택했다. 세포의 움직임에 관심을 가지던 중공학적으로 이를 연구하면 재미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서였다. ... ...
이전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