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스템"(으)로 총 4,562건 검색되었습니다.
- 허공에 대고 터치터치! 제스처의 수학수학동아 l2015년 12호
- 구별해 느끼게 될지도 모른다.도움 및 자료 폴란드 그단스크 기술대 멀티미디어시스템학과 피오트르 달카의‘Human-computer interface based on visual lip movement and gesture recognition’ 핀란드헬싱키대 이브 호건의 ‘Multi-Touch Rotation Gestures:Performan ...
- 응답하라~! 남극 세종과학기지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진행되고 있었답니다.기자들은 덜덜 떨릴 정도로 추웠던 저온배양실에서 나와 ‘지구시스템연구부’로 향했어요. 연구실로 들어서자 94g짜리 작은 것부터 37kg짜리 커다란 것까지, 다양한 크기의 운석이 진공 캐비닛에 보관돼 있었어요. 대부분 철운석이라 공기 중에 두면 녹슬어 버리거든요. 이곳에 ... ...
- 가상 체험으로 보는 미래수학동아 l2015년 12호
- 자동차를 스크린에 연결된 태블릿PC로 조절해 선택합니다. 태블릿PC로는 자동차의 정보와 시스템을 확인하고, 원하는 색깔을 지정해 나만의 자동차를 만들어 볼 수 있습니다. 앞으로는 이런 방식으로 자동차를 주문할 수 있겠지요?이번에는 세계 여행을 해봅시다. 대형 스크린 앞에 서서 어깨를 ... ...
- PART 3. 생리의학상 자연에서 찾은 기생충 특효약과학동아 l2015년 11호
- 활성화해 세포내 염소 농도를 높인다. 음이온인 염소가 많아지면 과분극이 일어나 신경시스템이 완전히 마비된다. 글루타메이트의존성 염소채널은 인간 같은 척추동물에는 존재하지 않아 부작용도 거의 없다. 이버멕틴은 미국에서 1970년대 후반에 처음 판매를 시작해, 1980년대에는 가축과 ... ...
- 인간과 바이러스 ‘공존’가능할까과학동아 l2015년 11호
- SIV나 HIV에 감염된 개체에서는 목표를 벗어난 엉뚱한 T세포들이 활성화되면서 면역시스템을 붕괴시킨다. 수티 망가베이는 T세포 활성화를 원천봉쇄해 에이즈 발병을 막은 것이다.비슷한 면역억제반응이 아프리카녹색원숭이에서도 나타난다. SIV에 감염된 아프리카녹색원숭이에서는 항염증유전자가 ... ...
- 조울증인지 아닌지, 스마트폰은 알지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번갈아가며 나타나는 정신질환이다. 연구팀은 스마트폰의 가속도 센서와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 음성 속도 분석 소프트웨어, 통화기록을 이용해 환자 12명의 기분 변화를 12주 동안 분석했다. 예를 들면 GPS 데이터로 환자가 일정 기간 동안 얼마나 많은 장소를 이동했는지, 가속도 센서로 얼마나 ... ...
- 폐허 위에서 품은 희망 네팔 지진 현장을 가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일어났다. 연구팀은 이 지진을 일으킨 히말라야 단층지대 바로 위에 설치된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과 인공위성에서 측정한 자료를 토대로 지진이 일어난 70초 동안의 기록을 분석했다. 그 결과 단층이 비교적 부드럽게 미끄러지면서 진동수가 적은 지진파를 만들어 대부분 저층 건물인 카트만두의 ... ...
- PART 2. 화학상 DNA가 끈질긴 생명력을 지닌 이유과학동아 l2015년 11호
- 과학자가 되는 길이라는 것이다.의학적으로 큰 가치를 지닌 연구뉴클레오티드 절단 복구 시스템에 오류가 있는 사람은 자외선에 노출됐을 때 피부암에 걸릴 위험이 높다. 산자르 교수는 현재 우리가 가장 흔하게 쓰고 있는 항암제들이 어떻게 암세포의 DNA를 손상시키는지 밝혀내, 더 나은 방법으로 ... ...
- 내가 칩인가, 칩이 나인가 휴먼 온어 칩(Human on a chip)!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실험은 의약계의 오랜 골칫거리였다. 동물은 인간과 세포의 비율 자체가 다르고 면역 시스템도 달라서 실험 결과가 정확하지 않았다. 전 교수는 “쥐 실험에서는 잘 작동하던 항암제가 사람을 대상으로 한 실험에선 독성을 나타내는 경우도 있었다”며 “이런 경우 실험을 처음부터 다시 한다”고 ... ...
- 인류의 시작부터 함께 한 학문과학동아 l2015년 11호
- 과가 만들어진 지 얼마 안됐지요?정은혜 원래는 토목, 도시, 자원공학과가 지구환경시스템 공학부로 합쳐져 있었어요. 그러다 2008년부터 자원공학과가 에너지자원공학과로 따로 독립해 나온 거죠. 이름만 바뀌었을 뿐이지, 학교 설립 때부터 있었던 역사가 깊은 학과입니다.기술이 발전하면서 ... ...
이전1311321331341351361371381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