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서민
평민
일반사회
보통인
d라이브러리
"
일반인
"(으)로 총 1,487건 검색되었습니다.
환경오염의 객관적 측정과 수시공개 절실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등 환경과 관련된 데이터에
일반인
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일부에서는 이들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측정, 공개 할 것을 주장하고 있다.이러한 요구가 증폭된 것은 최근 소위 '수돗물 파동'을 겪으면서 부터이다. 건설부는 작년 10월부터 12월사이에 전국 정수장 10여군데를 대상으로 수질오염 실태를 ... ...
체질에 맞는 음식을…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양이 적은 체질을 말하는 것으로 이는 약물을 투여하는 데 응용하였다. 요즈음 한의사나
일반인
들이 "당신은 냉(冷")한 체질이다." 또는 "열이 많은 체질이다."하는 등의 표현을 많이 사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말들은 바로 이 장개빈으로부터 비롯되었다고 볼 수 있다.서양에서도 체질론은 널리 ... ...
국내 최초의 직업병전문연구소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직업병을 치료하는 기관이라기 보다는 연구하는(research) 성격을 갖기 때문에 곧바로
일반인
들에게 성과가 돌아가지는 못하겠지만 기초 연구를 쌓아나간다는 자세로 일하려 한다”는 것이 연구원들의 공통적인 의견. 종합연구기관으로 대학의 개별적인 연구결과를 연결시켜주는 것도 이 연구소의 ... ...
변리사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언어로 된 사상을 다른 언어로 구체화시키듯이, 변리사는 발명자의 기술적 사상을
일반인
이 알아볼 수 있도록 일상의 언어로 구체화시킨다.아무리 봐도 변리사란 직업이 화려하게 각광받는 직업은 아니란 생각이 자꾸 든다. 번역자로서 남의 기술사상을 구체화시킬 뿐 창조의 세계를 직접 맛보는 ... ...
국내에 암약하는 바이러스 프로그램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가격도 비싸질 것이어서 프로그래머와 사용자 양쪽 모두 피해를 입게 될 것이다.또한
일반인
들이 어떤 새로운 기술이나 아이디어를 채택하려고 할때는 아주 사소한 점이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 만약 컴퓨터에 대한 지식이 없는 사람이 컴퓨터 바이러스에 대한 기사를 본다면 위험을 ... ...
식민통치와 한국의 과학발전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한면을 모두 과학란으로 배정했다. 당시 과학에 관한 읽을 만한 책자들이 없었기 때문에
일반인
들이 과학정보나 지식을 얻을 수 있는 길을 제공하는데 일간지들은 큰 역할을 했던 것이다. 놓쳐버린 기술혁신의 물결인류사를 되돌아 볼 때 과학기술의 발전에는 몇개의 커다란 물결이 있었다. ... ...
잘못 알고 있는 과학지식 많다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석탄 등이 탈때 생기는 물질을 뜻한다. 따라서 물질로서의 불이라는 개념을 갖고 있는
일반인
들은 에너지의 한 상태, 즉 분자의 운동상태로 정의되는 불의 개념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갖는다.언어로부터 과학의 대체적 개념들이 형성되는 또 다른 출처는 과학에서 자주 사용하는 모델 유사 유추 ... ...
소련·루마니아·불가리아 과학기행 특색있는 제도와 내용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종합대학이 있을 따름이었다. 학생들도 대부분 상류층 자녀들이었다. 그러나 지금은
일반인
들에게 공개돼 있으며 종합대학의 수도 46개교에 이른다.불가리아끝으로 불가리아의 방문기를 적어 본다. 불가리아의 국토면적은 남한과 비슷한 약 10만km²이고, 인구는 9백만 정도이다(여기에는 터어키계 ... ...
「정보화사회」 흥보책자 발간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정보란 무엇인가'를 발간했다.'정보통씨의 직장일기'는 LAN전자사서함 랩톱컴퓨터 등
일반인
에게 생사한 정보통신기기나 서비스에 관련된 용어들을 '정보통'씨라는 인물의 직장생활을 통해 코믹하게 그려낸 책이다.정보문화센터는 올해안에 주부와 아이를 각각 주인공으로 하는 홍보책자를 2종 더 ... ...
말썽많던 KAIST 연구부·학사부로 갈라진다.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가진 사람은 없다. KIST출신자들은 누구를 만나도 자랑스럽게 'KIST출신'임을 내세웠고
일반인
들에게 KIST연구원은 '최고의 명예'로 비쳤던 것이 사실.KIST의 연대별 사업목표를 살펴보면 우리나라 산업발전 양상과 엇비슷하다. 초기 출범 당시에는 '에너지수급에 관한 타당성 조사'라든가 '포항제철 설립 ... ...
이전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