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자연"(으)로 총 6,82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인공지능, 인간 못 넘는다수학동아 l2018년 01호
- 기호와 문법이 있는 언어로 만들려고 했어요. ‘어떤 두 자연수를 더하면 그 수도 자연수다’ 같은 수학 명제를 미리 약속한 기호로 바꾸고 기호를 배열하는 규칙을 만들자고 생각한 거예요. 이렇게 체계적인 기호로 바꾸면 불필요한 표현 때문에 헷갈리지 않아도 돼요. 멋진 경치를 보고 어떤 ... ...
- 신과람 교사가 직접 들려주는 고등학교 과학 활동 완전정복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들어 있는 대표적인 과학 활동들이 있습니다. 먼저 가장 쉽게 다가갈 수 있는 활동은 자연 관찰입니다. 천체 관측이나, 지질 및 환경 답사가 여기에 해당합니다. 천체 관측은 학교팁에서 실시하는 행사가 될 수도 있고, 천문대를 찾아가 실시하는 1박2일 캠프 형식일 수도 있습니다. 교내에서 ... ...
- [어린이 과학동아 기자단] ‘2017 UN청소년환경총회’에서 미래의 에코리더를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4호
- 사람과 함께 지낼 수 있기를 바라며 두루미가 활동하는 곳에 먹이를 놓아두었어요. 자연을 지키지 못하면, 결국 인간도 살아남을 수 없다는 것을 몸소 느낄 수 있었어요. 지구와 환경을 위해서 나와 같은 청소년들이 무엇을 할 수 있는지 고민할 수 있는 보람찬 시간이었어요 ... ...
- Part 5. 빛 공해를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반딧불이 생태공원 일대가 국제 밤하늘 보호공원으로 지정됐답니다. 이뿐만 아니라 세계자연기금(WWF)에서는 2007년부터 ‘어스 아워(Earth Hour)’라는 전세계 전등 끄기 캠페인을 하고 있어요. 매년 3월 마지막 주 토요일 밤 8시 30분부터 한 시간 동안 각 가정과 기업들이 모든 조명을 끄는 거예요. ... ...
- [공룡은 왜?] 공룡 백과사전에서 완전히 사라졌다?! 세이스모사우루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1호
- 학자들은 브론토사우루스가 새로운 종이 아니라고 반박했어요. 1903년 발표된 미국 필드 자연사박물관 리즈 박사의 연구를 근거로, 브론토사우루스가 아파토사우루스에 속하는 종이라고 주장했지요. 논란은 계속되었고, 이후 아파토사우루스라는 주장이 힘을 얻으며 ‘브론토사우루스’ 라는 ... ...
- Intro. 바다가 들썩들썩~, 사라진 모래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0호
- 나는 바다를 지키는 경찰, 바다거북이야! 며칠 전 니모에게 바다 곳곳에서 모래가 사라지고 있다는 제보를 받고, 현장으로 출동하는 중이야. 니모가 말한 곳이 여기 어디쯤인데….허억! 배에서부터 뻗어나온 기다란 파이프는 뭐지? 엄청난 양의 모래를 퍼내고 있잖아?! 도대체 모래를 어디로 가져가 ... ...
- Part 2. 모래, 어디에 쓰이는 걸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0호
- 1년에 400억 톤이라니, 정말 많은 모래가 사용되는구나. 그런데 사람들은 이 많은 모래를 어디에 쓰는 거지? 모래는 도시가 되었다!모래에는 여러 광물이 섞여 있어요. 주변 환경에 따라 비율은 조금씩 다르지만, 대부분 석영이 차지하고 있지요. 석영은 단단하고, 다른 물질과 잘 반응하지 않아요. ... ...
- Part 4. 모래, 다양한 생물의 보금자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0호
- 옥죽동 해안사구 등 200여 개의 해안사구가 있답니다. 해안사구는 파도를 막아 주는 자연 방파제예요. 파도가 모래를 덮치면, 모래 입자 사이로 파도가 스며들어 파도 에너지가 약해지거든요. 그 결과, 해안사구 뒤편으로는 파도가 넘어오지 않게 돼요. 또 해안사구는 바람과 염분을 막아 주는 역할도 ... ...
- Part 1. 모래, 세계 곳곳에서 사라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0호
- 콘크리트가 발명되면서 모래 사용량은 급격하게 증가했답니다. 그 결과, 오늘날 모래는 자연물 가운데 사람이 물 다음으로 가장 많이 쓰는 물질이 되었지요. 유엔환경계획에 따르면 전세계에서 1년 동안 약 400억 톤의 모래를 사용한다고 해요. 이는 20년 전보다 3배 이상 증가한 양으로, 중국이 ... ...
- Part 5. 모래, 지켜야 할 소중한 자원!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0호
- 사용되는 자원이에요. 하지만 동시에 해양 생물의 보금자리이자, 성난 파도를 잠재우는 자연 방파제이지요. 따라서 지금처럼 바닷모래를 계속 퍼낸다면 해양 생물뿐만 아니라, 사람도 큰 피해를 입을 거예요. 그래서 과학자들은 모래 채취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있답니다. 대표적인 방법은 ... ...
이전1311321331341351361371381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