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
소니
f 88
smu
삼성
소니 mp3
소니mp3
뉴스
"
바이오
"(으)로 총 5,028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은 지금] KAIST·현대차, 고속 자율주행 연구 파트너십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2.24
KAIST 제공 ■ KAIST는 현철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팀과 현대차가 '고속 자율주행 기술 연구를 위한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했다고 23일 밝혔다. 계약에는 현대차가 ... 세우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 결과는 생물정보학 분야 권위지인 '브리핑스 인
바이오
인포매틱스'에 실렸다 ... ...
[기후위기와 산림] 염분 많은 간척지에서도 나무가 자란다
2023.02.23
시대에 생명공학기술은 유전자를 제어하는 방법으로 나무의 광합성 효율을 높이고,
바이오
매스를 증진시키며, 재질을 개선하고, 환경적 제약을 극복할 수 있게 해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다양한 기회를 제공한다. 이미 해외에서는 생명공학기술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산림에 적용해 온실가스를 ... ...
뇌종양 연구 선구자 최승홍 서울대 교수 '한림원 생리의학상'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23.02.23
효과를 향상시키는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지난해에는 연구개발 성과를 기반으로
바이오
벤처 기업을 창업하고, 나노입자 활용 난치성 질환 치료제 개발을 진행 중이다. 유 원장은 “최 교수는 차세대 의사과학자”라며 “뇌종양 등 난치성 암의 진단 및 치료의 정확성 향상을 위한 영상기법 ... ...
암·치매 맞춤형 '고리형 펩타이드' 신약 발굴 플랫폼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2.21
비정상적인 단백질에 결합해 다양한 종류의 암을 유발하는 원인으로 알려진 종양
바이오
마커인 ‘HDAC8’의 활성을 저해하는 고리형 펩타이드를 발굴하는 데도 성공했다. 박 교수는 “이 기술이 상용화되면 여러 질병에 대한 신약후보 물질이 가능해진다”며 “향후 맞춤형 표적 항암제와 뇌 신경 ... ...
혈관내피세포 염증반응 제어 유전자 발견…동맥경화 치료 실마리
동아사이언스
l
2023.02.20
동맥경화증 치료제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박종길
바이오
신약중개연구센터 선임연구원 연구팀이 혈관내피세포의 염증반응을 제어하는 ‘PTP4A1’ 유전자를 발견해 원리를 규명한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심혈관 연구’에 게재했다고 20일 밝혔다. 몸 전체 ... ...
유전자 조작 나무가 탄소 더 흡수할까...미국서 첫 실험
동아사이언스
l
2023.02.17
빨리 자란 것으로 확인됐다. 광합성 효율성에 대한 연구 결과는 논문 사전공개 사이트 ‘
바이오
아카이브(bioRxiv)’에 공개했으며 아직 동료 리뷰를 거치지 않은 상태다. 삼림 유전학자들은 리빙카본의 시도에 신중한 의견을 보이고 있다. 뉴욕주립대에서 환경과학 및 임업 프로젝트를 이끄는 ... ...
2주 복용 후 6년간 당뇨 발병 억제한 치료제..."매우 큰 진전"
동아사이언스
l
2023.02.16
동안 병이 발생하지 않은 미국 20대 여성의 사례를 이례적으로 소개했다. 앞서 프로벤션
바이오
는 테플리주맙에 대한 임상시험 결과 당뇨병 발병 시기를 평균 2년 늦출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이번에 네이처에 복용 사례가 소개된 미국의 20대 여성은 가족(여동생)이 1형 당뇨병과 합병증인 당뇨병 ... ...
장과 신장 연결한 인공 모사체, 3D
바이오
프린팅으로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2.16
만드는 연구는 많았지만 서로 연결된 장기를 모사하는 경우는 없었다. 연구팀은 3D
바이오
프린팅 기술로 장-신장 모듈의 유기적 상호작용을 강화해 장성 과수산뇨증의 주요 병태생리학적 특징을 생체 외 이중장기 모사체 내부에 재현하는 데 성공했다. 또 이렇게 개발된 장성 과수산뇨증 복합질환 ... ...
양자점 발광 효율 100% 구현 초균일 반도체 껍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2.16
초균일 껍질로 고효율, 안정성을 갖춘 양자점 발광체는 차세대 디스플레이 및 태양광·
바이오
센서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이 가능할 전망이다. 임재훈 성균관대 에너지화학과 교수 연구팀은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연구성과를 게재했다고 16일 밝혔다. 핵 표면이 껍질로 덮인 ... ...
[과기원은 지금] 이정호 KAIST 교수팀, 뇌세포 유전자 변이 검출법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2.16
이정호 KAIST 의과학대학원 교수. KAIST 제공 ■ 이정호 KAIST 의과학대학원 교수 연구팀은 15일 난치성 뇌 질환인 뇌전증의 원인으로 꼽히는 뇌세포 내 ... 중추신경계 질환의 메커니즘 연구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
바이오
머터리얼즈’ 2월호에 온라인으로 실렸다 ... ...
이전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