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에네르기
힘
활력
원기
기력
파워
energy
뉴스
"
에너지
"(으)로 총 7,577건 검색되었습니다.
차세대 강유전체 메모리, 정보 저장 능력 극대화
동아사이언스
l
2024.06.10
커져 정보 저장 능력이 높아지고 소자에 걸어준 전압이 대부분 메모리 윈도우로 전환돼
에너지
소모량도 줄었다. 기존 하프니아 기반 강유전체 소자의 메모리 윈도우가 약 2볼트(V)인 것과 비교해 연구팀이 개발한 소자는 10V 이상의 메모리 윈도우를 기록했다. 이장식 교수는 "단위당 16개의 정보( ... ...
영하 80도 버티는 섬유형 태양전지 제작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6.10
활용하면 전자소자의 성능과 안정성을 함께 증가시킬 수 있다”라며 “향후
에너지
생산 및 저장 소재뿐만 아니라 센서 소재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이 기대된다”라고 말했다. ... ...
선박용 암모니아 엔진 연소 기술 국내 최초 실증
동아사이언스
l
2024.06.10
검증받았다. 연구팀은 암모니아 연료 분사 시기를 연소 속도에 맞춰 최적화했고 높은
에너지
를 요구하는 착화 조건을 충족시켰다. 고압의 암모니아 연료를 연소실에 직접 분사하고 공기의 혼합도를 높인 희박 연소를 통해 열효율 극대화했다. 출력 성능 향상은 물론 배출물을 동시에 줄여 불완전 ... ...
심장질환자
에너지
음료 섭취 주의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4.06.10
병태 생리학, 상식 기반으로 목소리를 낸 것”이라며 “심장이 건강하지 않을 땐 특히
에너지
드링크 섭취의 위험과 이득을 잘 따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 ...
[푸드테크 뜬다]② "먹거리 수요 50년만에 두배…기존 방식으론 공멸"
동아사이언스
l
2024.06.07
중요하다. 원양 어선으로 참치를 잡고 냉동해서 소비자 식탁에 오르려면 어마어마한
에너지
가 든다. 가까운 거리에서 직접 생산하거나 가공 및 조리를 하지 않고 먹을 수 있다면 가장 좋다. 푸드 원료나 소재는 동물성을 대체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것이 좋다. 우유 대신 식물성 단백질로 만든 ... ...
나라스페이스, IPEF 100대 기후 스타트업 선정…우주 기업으론 유일
동아사이언스
l
2024.06.07
감축할 수 있다"며 "기업 입장에서도 누출 지점을 포착해 가스관 등 설비를 보수하면
에너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이득이 된다"고 말했다. 또 "우주 기술을 이용해 환경 보호와 경제적 부가가치 창출 두 마리 토끼를 다 잡을 수 있다는 것을 인정받았다는 점에서 이번 100대 기업 선정의 의미가 크다 ... ...
'절대영도' 코앞에서 새 양자실험 플랫폼 구현
동아사이언스
l
2024.06.07
물질 상태다. 박지우 포스텍 물리학과 교수는 "여러 입자가 존재할 수 있는 가장 낮은
에너지
수준에 겹쳐 하나로 응축되는 현상"이라고 말했다. 20세기 초 물리학자 보스와 아인슈타인이 이론으로만 예측한 BEC는 1995년 극저온 상태의 중성 원자들을 통해 처음 관찰됐다. 이 발견에 공헌한 물리학자 ... ...
이차전지 수명 3배 늘린다…새로운 리튬 복합소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6.05
일반적인 리튬이차전지는 충전 시 양극에서 음극으로 리튬이온이 이동해 전기
에너지
를 저장한다. 리튬이온전지에선 양극에서 음극으로 이동하는 리튬이온이 흑연의 층상구조 내로 들어가 안정적으로 저장된다. 반면 리튬금속전지에선 리튬이온이 음극인 리튬금속 표면에 리튬으로 바뀌어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동해 유전, 화려한 말잔치보다 진정한 설득이 필요
2024.06.05
있다"는 산업부의 일방적인 주장도 시대착오적이고 낯 뜨거운 억지다. 자원 개발과
에너지
정책은 국가의 명운이 걸려있는 중차대한 일이다. 그런 일에 대한 대통령의 관심은 매우 중요한 것이 사실이다. 그렇다고 대통령이 모든 일에 직접 나서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산업부가 시추 ... ...
거북이 걸음 품은 로봇 등장…이동하는 데
에너지
덜 소모
동아사이언스
l
2024.06.05
이끈 윤동원 교수는 “이번 성과가 산업 현장 및 탐사 분야 등에서 로봇의 보행 효율과
에너지
효율이 중요한 다양한 보행 로봇 분야에 활용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육지거북의 관절 구조를 모사한 로봇 구조를 설명하는 그래픽. DGIST ... ...
이전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