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1
일
싱글
혼자
독신
단위
단원
뉴스
"
하나
"(으)로 총 10,502건 검색되었습니다.
[주말N수학] 우주공간에 데이터센터를…우주컴퓨팅 가능성 타진한다
2023.09.16
머무르고 있지만 인위적으로 지구를 식히기 위한 아이디어가 속속 나오고 있다. 그중
하나
가 지구 대기나 해양에 고반사 분진을 뿌리거나 막을 덮자는 것인데 만약 환경적으로 더 큰 재앙을 일으키는 것으로 판명될 경우 대책이 없다는 점에서 막히고 있다. 대신 지구-태양 라그랑주 지점에 ... ...
목포 홍수·사라지는 백사장…해수면 상승 위협 현실화
어린이과학동아
l
2023.09.16
근처에 주택이나 건물을 지을 때 높이를 높여 짓는 것도 미국에서 많이 쓰이는 방법 중
하나
입니다. 집의 높이를 높여 바닷물이 흘러도 집이 침수되지 않게 하는 방법인데 아예 해안가에 있는 땅을 국가가 사들여 관리하기도 합니다. 미국과 프랑스는 지방정부가 재해 위험이 있는 해안가의 땅과 ... ...
[레디!퓨전] 상용화 정조준 소형 핵융합로, 반백년 기초연구의 산물
동아사이언스
l
2023.09.15
가 있다. 8월 말 방문한 PSFC는 MIT 신입생 맞이에 한창이었다. 신입생들은 PSFC 건물동 중
하나
에 위치한 각종 실험 기기 작업 현장을 호기심 가득한 눈으로 둘러보고 있었다. 이 현장에 SPARC의 이론적 모델이 된 '알카토 C-모드(Alcator C-Mode)'도 있었다. ● SPARC의 탄생 이끈 MIT 플라즈마 센터… 196 ... ...
"한국과 영국은 해안선 길어 해양에너지에 유리...협력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3.09.15
뛰어난 기술력을 갖고 있다는 사실 또한 우리가 한국과 협력하길 바라는 주된 이유 중
하나
”라고 설명했다. 기술개발 목표가 유사한 점도 언급했다. 현재 해상풍력 발전기 1기당 총용량이 24MW(메가와트)의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가진 영국은 2030년까지 14GW(기가와트) 용량을 가진 발전기를 ... ...
[과기원NOW] KAIST, 신개념 그래픽 체험 '스노우 디스프레이'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9.14
이어 잉크젯 기술을 이용해 생체 신호를 감지하는 센서와 이를 증폭·처리하는 센서를
하나
의 기판 위에 인쇄했다. 이를 통해 신호 감지부터 처리까지 거의 동시에 진행할 수 있는 ‘뇌 신호 증폭 센서’를 개발했다. 쥐를 대상으로 개발한 센서의 성능을 실험한 결과, 쥐의 대뇌 피질 부분에 부착된 ... ...
IBS 희귀핵연구단 "동위원소 산소-28은 부재…새로운 희귀동위원소 찾을 것"
동아사이언스
l
2023.09.14
발견하면 기초과학에 새로운 지식을 더할 수 있다. 우주, 진화 등의 비밀을 푸는
하나
의 열쇠가 된다. 희귀 원자핵을 찾는 작업은 쉬운 일이 아니다. 안정적인 핵은 양성자와 중성자가 균형을 이루지만, 희귀 핵은 중성자가 과잉 상태로 불안정해 존재하는 순간이 짧다. 최근에는 일본 연구진이 ... ...
[레디!퓨전] '작고, 강한' 핵융합장치로 전세계에 전력 공급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9.14
"핵융합이 아직 대중적으로 받아들여지기엔 이른 감이 있는 것 같다"며 "핵융합 에너지가
하나
의 대안으로서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대중적 인식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그는 "핵융합이 핵분열을 이용한 원자력에너지와는 완전히 다른 개념이며 기존의 석탄 ·가스에너지와도 다르다는 ... ...
"저녁형 인간, 아침형 인간보다 당뇨병 위험↑"
연합뉴스
l
2023.09.13
인간은 35%였고 나머지는 '저녁형'도 '아침형'도 아닌 '중간형'이거나 어느 두 그룹 중
하나
에 들어가기엔 다소 부족했다. 연구 기간에 이들 중 1천925명이 당뇨병 진단을 받았다. 생활 습관 요인들을 고려하지 않았을 때는 전체적으로 '지녁형' 인간이 '아침형' 인간보다 당뇨병 발병률이 72% 높게 ... ...
강진 발생한 모로코 상공에 나타난 '빛' 미스터리
동아사이언스
l
2023.09.12
“많은 사람들이 계속 관심을 갖는 현상이지만 아직 원인이 밝혀지지 않은 미스터리 중
하나
”라고 지진광을 설명했다. 존 E. 에벨 보스턴대 지구환경과학과 교수가 지진 역사에 대해 기록한 책을 보면 이러한 빛은 수 세기 전 기록에도 남아 있다. 18~20세기 유럽과 아메리카 대륙에서만 지진 관련 ... ...
우주방사선 환경 구현해 위성에 쓰일 반도체 성능 시험
동아사이언스
l
2023.09.12
떼어 낸 뒤 전기를 가해 빠른 속도로 움직이게 하는 장치다. 연구원이 보유한 국내
하나
뿐인 선형 대용량 양성자가속기는 1초당 1.2경이라는 엄청난 수의 양성자를 조사할 수 있다. 특히 입자 방사선의 일종인 양성자 방사선은 위성 궤도 기준으로 우주 방사선의 약 85%를 차지하기 때문에 양성자 ... ...
이전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