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입증
승인
체크
점검
증명
확정
대조
뉴스
"
확인
"(으)로 총 17,622건 검색되었습니다.
치매, 파킨슨병 등 퇴행성 뇌질환의 새로운 치료기전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7.08.01
연구진은 비정상 단백질이 모인 ‘애그리좀’의 형성에 CTIF 단백질이 영향을 미침을
확인
했다. CTIF가 없는 경우엔 비정상 단백질이 쌓이지 않았다. 김 교수는 “CTIF 단백질을 통한 비정상 단백질의 응집체 형성 조절을 규명한 최초의 연구”라며 “치매, 파킨슨병과 같은 퇴행성 신경질환 치료제 ... ...
곰팡이 이기는 식물의 비결
과학동아
l
2017.07.30
실험 결과, 잎 표면에 카마락신이 많아지고 알터나리아에 대한 내성이 강해지는 것을
확인
했다. 연구팀은 이 유전자가 잘 발현되는 품종을 찾아, 현재 생산하고 있는 좋은 품종과 교배해 곰팡이 저항력이 강한 품종을 생산할 계획이다. 이 연구 결과는 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6월 2 ... ...
2m 길이 DNA가 4㎛ 세포핵에 쏙 들어가는 비밀은
동아사이언스
l
2017.07.30
정도는 DNA를 전사하는 역할의 ‘RNA 역전사효소’의 크기에 따라 달라진다는 점을
확인
했다. 오쉬 교수는 “DNA의 고차구조를 이해하는 것은 생물학 분야의 난제 중 하나였다”며 “변형되기도, 중합하기도하는 DNA의 구조는 유전자 기능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부분”이라고 ... ...
[퀴즈] 예방접종 백신이 자폐증과 알레르기를 유발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7.30
인식을 가지고 있나요? 잘못된 정보로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다면 아래의 퀴즈에서
확인
해 보세요. 백신의 효과를 의심하는 분들께 도움이 될 것입니다. [백신 관련기사] 1. 백신을 못 믿는 사람들 2. ‘백신 공포증’의 습격 3. ‘백신에 대한 불신’ 뒤집는 한 장의 그래프 ※ 편집자 주 ... ...
활동 많은 여름, 우리 아이 건강 지키는 7가지 방법
2017.07.30
야외활동을 마치고 집에 돌아가서는 피부와 옷에 진드기가 붙어 있지는 않은지
확인
하고 샤워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GIB 제공 넷째, 물놀이를 할 때는 구명조끼를 입거나 튜브를 사용하도록 합니다. 수영을 아무리 잘한다 해도 실수는 있을 수 있습니다. 특히 수영장이 아닌 바다나 계곡 등에서의 ... ...
수박에 갈고리 패턴이 보이면 무조건 먹지 말아야 하나?
과학동아
l
2017.07.28
농업연구관은 “줄무늬가 고르고 진한지, 두드렸을 때 소리가 둔탁하지 않은지를
확인
하는 것이 최선”이라며 “반으로 갈랐을 때 색이 어둡거나 태좌의 모양이 눈에 띄면 먹지 않는 것이 좋다”고 말했습니다 ... ...
남겨진 DNA로 범인 행동 분석까지…진화하는 과학수사
과학동아
l
2017.07.28
아자스튜디오 이서연 작가 제공 “현재 나이 27.7세로 추정됩니다. 담배를 한 번도 피워본 적 없는 ‘네버 스모커(완전 비흡연자)’입니다.” 16일 서울 연세대 신촌캠퍼스 연구실에서 ... 있다”라고 말했다. 유전자를 이용한 첨단 과학수사 기법은 과학동아 8월호에서
확인
할 수 있다. ... ...
단 한번의 치료로 알레르기 근절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7.28
실험쥐에게 비피더스균 50억 마리를 매일 먹이자 설사 등 알레르기 증상이 35% 완화됨을
확인
했다. 비피더스균에서 분리한 단백질을 직접 주사했을 경우엔 40% 완화됐다. 단 한 번의 치료로 평생 동안 알레르기 걱정을 없앨 수 있는 치료법도 나왔다. 레이 스텝토 호주 퀸즐랜드대 교수팀은 특정 ... ...
머리에 투구 달린 신종 공룡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7.07.27
현재의 화식조가 이 지역 고유종인지 사람들의 거래를 통해 분포하게 된 것인지 명확히
확인
되지 않은 상황이었다. 중국에서 화식조와 닮은 공룡군이 연속으로 나오면서 이를 분석할 길이 열릴 수 있다는 것이다 ... ...
실시간으로 당뇨 진단하는 콘택트렌즈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7.27
포스텍 제공 혈당을 진단하려면 주사바늘로 채혈을 한 뒤 혈액 속 당 농도를
확인
해야 한다. 당뇨병 환자들은 수시로 주사 바늘을 찔러 채혈을 해야 했다. 매번 주사 바늘로 찌르는 고통에서 해방되기 위해 과학자들은 다른 방법을 이용한 혈당 진단 기술을 고민해왔다. 구글 역시 혈당이 변하면 ... ...
이전
1365
1366
1367
1368
1369
1370
1371
1372
13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