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스페이스
공백
여지
간격
빈틈
자리
d라이브러리
"
공간
"(으)로 총 5,533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과학을 완성한 수학
수학동아
l
2018년 04호
밀스 이론은 필즈상 수상자인 사이먼 도날드슨이 새로운 미분다양체구조를 갖는 4차원
공간
을 발견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지요. 이렇게 수학과 물리학은 상호 교류하면서 발전하고 있어요. Q. 앞으로 물리학과 수학의 융합 또는 협업이 더욱 중요해질까요?많은 학자들은 끈 이론이 통일장 ... ...
[과학뉴스] UNIST AI 컬링, ‘디지털 컬링 대회’ 우승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했다. 커널 회귀기법은 현재까지 최정상 AI인 ‘알파고 제로’에 사용됐는데, 연속
공간
을 효과적으로 탐색해 최소한의 정보로 최적의 전략을 찾아내는 기술이다.연구팀은 스톤 위치와 투구 거리 등의 정보를 담은 투구 데이터 16만 건을 컬링 AI에 입력했다. 이후 AI가 스스로 생성한 약 450만 투구 ... ...
[Origin] 세상에서 가장 작은 기계, 분자기계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1959년 미국 캘리포니아 공대에서 열린 미국물리학회 연차 총회에서 ‘바닥에는 풍부한
공간
이 존재한다(There’s Plenty of Room at the Bottom)’라는 주제로 강연을 했습니다. 아직까지도 많은 물리학자들에게 거론되는 이 유명한 강연에서 그는 이런 질문을 던졌죠. “인간은 얼마나 작은 기계를 만들 수 ... ...
Part 2. 한국 과학자들이 기억하는 호킹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그의 휠체어가 들어갈 수 없었다. 다행히 현대자동차의 2000년 신형 모델이 내부
공간
이 크게 제작됐다는 얘기를 듣고 협찬을 받았다. 비록 호킹이 많이 타지는 못했지만 말이다. 제주대병원 응급실에 있는 구급차를 더 유용하게 썼다. 빡빡한 일정에 따라 서울과 제주를 오가면서도 그는 에너지를 ... ...
만화 찢고 꺼낸 수학 만.찢.수
수학동아
l
2018년 04호
웹툰 작가 대부분은 ‘스케치업’ 같은 3차원 모형을 만드는 프로그램을 씁니다. 웹툰의
공간
적 배경을 3차원으로 설계해놓고, 필요할 때마다 캡쳐해 배경에 붙여 넣는 거죠. 호랑은 스케치업의 확장 프로그램을 만들어 마우스 클릭 한 번에 작가가 만든 모형을 VR용 배경으로 추출하게 했습니다. ... ...
[엉뚱발랄 생각실험실] 마음은 정말 가슴에 있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4호
마음과 몸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는 논리였답니다. # 사람들은 모든 것이 특정한 시간과
공간
에 있다고 생각해요. 그래서 마음이 어디에 있는지 알아내기 위해 오랫동안 연구해 왔지요. 비교적 최근까지도 철학자들은 마음의 위치에 대해서 논의 했어요. 2000년, 미국 브라운대학교 철학과 김재권 ... ...
Part 1. 예보, 못 믿겠다?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다르다. 이 때문에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은 일정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는 밀폐
공간
에서 미세먼지 칭량로봇이 여과지를 μg(마이크로그램) 단위의 정밀한 저울에 달아 측정한다. 가장 정확한 방법이지만 미세먼지를 하루 종일 포집해야 해 매시간 예보가 불가능하다. 연구원은 β선 자동 측정 ... ...
인권을 지키려는 인류의 노력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커졌기 때문이다. 침묵하는 다수의 다양한 의견이 무시될 가능성과 더불어 사이버
공간
의 발달로 무차별적 폭로나 감성을 자극해 시민을 선동하는 것은 문제가 될 수 있다 ... ...
Part 1. 호킹의 말로 되돌아 본 그의 삶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존재, 인공지능(AI) 등 일반인이 관심을 가질 주제에 대해서도 의견을 내곤 했다. 그는 시
공간
의 양자 상태에 따른 시간여행 가능성에 대해 설명하면서 “(시간여행이) 물리학자들이 비웃음이나 조롱을 걱정하지 않고 자유롭게 토론할 수 있는 질문이어야 한다. 설령 불가능하다고 밝혀 지더라도 왜 ... ...
Part 7. 사십춘기도 아프다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원인이 되기도 한다. 고독은 뇌에 각인되기도 한다. 연구진은 여럿이 모여 사는
공간
에 머물다가 다시 혼자가 됐을 때 독신 쥐가 대가족 쥐에 비해 더 쉽게 외로움을 느낀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문제일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뇌·인지과학전공 교수는 “한번 외로움을 느낀 사람은 다음번에 ... ...
이전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