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술정보"(으)로 총 4,669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지스함 레이더를 야구에 가져오다, 스탯캐스트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올해 5월부터 메이저리그 야구 중계가 확 달라졌다. 공과 선수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추적해 방송 중계 영상에 그림을 입혀 시청자들에게 제공하고 있다. ‘스탯캐스트(statcast)’라 불리는 이 시스템은 미사일을 추적하는 레이더 기술과 여러 대의 카메라로 축구선수들의 움직임을 쫓는 기술이 결 ... ...
- 아인슈타인도 깜짝 놀란 뇌 연구소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친구들, 안녕~! 다들 내가 누군지 알고 있지? 사람들은 나를 ‘천재 과학자 아인슈타인’이라고 부르더군. 허허! 내 입으로 말하려니 쑥스럽네~. 아무튼 내가 이렇게 미래로 온 데에는 다 이유가 있어. 사실 내가 연구용으로 뇌를 기증했거든. 내 뇌로 무슨 연구를 하고 있는지, 또 ... ...
- 수학이 불러온 생물학 혁명수학동아 l2015년 07호
- 사슬 두 가닥이 나선처럼 꼬여 있는 DNA, 올록볼록한 알맹이가 촘촘하게 박혀 있는 파인애플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수학적으로 가장 효율적이고 가지런한 모양이라는 것이다.생명체가 자손을 번식하기 위해 꼭 필요한 유전물질 DNA(디옥시리보핵산)는 두 가닥의 사슬이 나선형으로 꼬여 있는 모양 ... ...
- PART 2 두 번의 암흑기와 세번째 봄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두 명의 회계사가 그런 것처럼 두 명의 철학자 사이에서 논쟁은 더 이상 필요치 않을 것이다. ‘계산해 보자’고 하면 될 일이다.”중세 암흑기를 벗어나 이성이 꽃을 피운 17세기. 수학자이자 철학자인 고트프리트 라이프니츠는 사상을 전개하는 데 일상에서 쓰는 말보다 수학 같은 추상적인 기호 ... ...
- Part 3. 빛이 있으라! 결정적 순간 5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시각은 오감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감각이다. 또 시각은 렌즈나 거울, 프리즘 같은 도구를 써서 왜곡시킬수 있고 신기루나 무지개처럼 자연적인 왜곡 현상도 존재한다. 이런 이유 때문에 눈으로 본다는 것이 무엇인가, 빛과 시각은 어떤 관계인가 하는 질문이 고대부터 제기돼 왔다.1000년 전 이슬람 ... ...
- PART 1 인공지능 디스토피아는 없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각종 SF 영화와 문학 작품에는 인간보다 {훨씬 똑똑해진 인공지능이 인간을 공격한다는 설정이 등장한다. } // 최근 여러 글로벌 기업이 앞다퉈 놀라운 성과를 내놓으면서 이런 상황이 현실에서도 곧 일어날지 모른다는 예측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그러나 과학자들은 섣불리 막연한 두려움을 가질 ... ...
- Part 1.[발光하는 테크놀로지] 光의시대 光테크를 보여드립니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광섬유 ㆍ스마트폰 여기 혹시 인터넷 안 써보신 분 있으신가요? 이곳은 인터넷을 통한 광통신 기술을 소개하는 전시실입니다. 광통신은 오늘날 모든 정보에 대한 접근성을 좌우하는 매우 중요한 기술이죠. 대한민국은 인터넷 보급률이 95%가 넘지만 아프리카의 경우엔 10%가 채 안된다고 해요. 같은 ... ...
- PART 3 딥러닝, 인공지능을 혁신하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다음 영상부터 보자(아래 QR코드). 이 글을 읽는 당신이 만약 30~40대라면 아마 이 화면에 익숙할 것이다. 골목마다 오락실이 아이들의 발길을 붙잡아 이끌던 시절, 많은 이들이 즐겼던 벽돌 깨기 게임이다. 화면 속 게이머는 처음엔 익숙지 않은 듯 실패를 거듭한다. 그러나 시간이 지날수록 실력이 ... ...
- 박종화 생명과학부 교수 - 늙지 않는 세상을 꿈꾼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시간을 거슬러 30년 전 고등학생 박종화의 이야기를 들어보자. 프로그래밍을 좋아했던 부산출신의 소년은 컴퓨터로 노화와 관련한 생명 현상의 비밀을 풀겠다는 생각에 서울대 수의학과에 진학했다. 하지만 당시에는 컴퓨터라는 개념조차 생소한 시대였다. 컴퓨터와 생물을 접목해 연구를 하는 학 ... ...
- INTERVIEW 글로벌 기업 바짝 추격한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거대 글로벌 기업들이 인공지능 산업을 견인하는 현재, 국내에서는 어떤 연구가 이뤄지고 있을까.))) 6월 15 일, 대전 유성구에 위치한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에서 글로벌 기업을 바짝 추격하고 있는 두 명의 과학자를 만났다. 이번 특집 기사를 준비하면서 말 그대로 ‘지겹게’ 들었던 인공 ... ...
이전13213313413513613713813914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