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증
공헌
증정
기부
증여
공연
제시
d라이브러리
"
기여
"(으)로 총 1,693건 검색되었습니다.
유전공학의 종착역 단백질공학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변형에 따른 기능향상을 통해 질병의 예방과 치료 진단 등 우리의 일상생활에 크게
기여
하고 있다. B형 간염백신 인슐린 인터페론 성장호르몬 등이 대표적인 예다. 이밖에도 암 또는 유전병 치료를 비롯해 산업적 이용을 위한 단백질공학 연구가 끊임없이 계속되고 있다.한편 1984년 노벨 화학상을 ... ...
100번 죽이고 101번 고쳐 살고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다시 죽일 수 있게 되었다. 아울러 페니실린의 약점이었던 항균 효력범위를 넓히는데
기여
했다.다시 말해 광범위 스펙트럼(spectrum)페니실린의 탄생을 가져온 것이다. 이 광범위 스펙트럼 페니실린은 그람양성균에 잘 듣는것은 물론이고 대장균 같은 일부 그람음성균에도 약효를 나타낸다. 비록 ... ...
과학기술의 힘으로 물 되살린다.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중금속을 회수하는 분리막, 분해되는 고분자물질 등 환경파괴의 주범으로만 인식돼온 과학기술이 물을 보전할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기술은 공해방지와 관계가 ... 있다. 많은 과학기술자가 함께 환경보전기술의 연구 개발에 노력하여 환경을 보전하는데
기여
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 ...
첨단장비로 범죄와 싸운다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내다봤다.연구소의 활동은 살인등의 강력사건뿐만 아니라 사기사건의 해결에도 크게
기여
하고 있다. 문서분석실은 연구소의 다른 부서에 비해 피냄새(?)가 덜 나는 곳인데, 종이로 흔적이 남은 모든 범죄는 이곳에서 처리하고 있다. 계약서를 변조해 1천만원을 1억원으로 고쳤다든가 1자를 4자로 고친 ... ...
풀어쓰는 컴퓨터 역사③ 최초의 컴퓨터 에니악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사용을 모든 과학기술자들에게 무료로 허용했다. SSEC는 컴퓨터가 과학발전에 얼마나
기여
할 수 있는지를 똑똑히 보여 주었다.IBM은 701로부터 상업적인 성공을 거두기 시작했으며 거인으로서의 일보를 내딛었다. 세계최초로 인류를 달까지 실어보낸 아폴로 우주선에서 사용한 운항항로표의 기초가 된 ... ...
한국아마추어 천문학회 창립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영세성을 면치 못했다.미국 일본 유럽국가에서는 아마추어천문가들이 천문학발전에
기여
하는 바가 크다. 전국적인 네트워크를 갖고 이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때문에 천문학자들이 담당할 수 없는 광범위한 영역을 아마추어들이 담당한다.초대회장으로 뽑힌 박석재박사는 "1차적인 목표를 전국 ... ...
지구밖 생명체 연구와도 관련 또다른 태양계를 찾아라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만약 우리 태양계외의 행성계가 찾아진다면 태양계의 생성기원을 밝히는데도 결정적인
기여
를 할 것이다.행성계 탐사방법에는 두가지가 있다. 직접적인 방법으로는 행성에서 나오는 적외선복사를 잡아내는 것. 이 적외선복사의 정체는 행성이 항성의 빛을 받아 반사하는 빛을 말한다. 이 방법은 ... ...
5. 선배가 걸어온 길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있던 포항제철이 금속공학 영역이란 점과 금속을 전공하면 우리나라 산업에
기여
하는 바도 크고 엔지니어로 수입도 보장될 것으로 여겨졌기 때문이었다.대학에서의 4년간은 매우 실망스러웠다. 우선 당시의 정치상황으로 인해 휴교가 잦았던 탓도 있으나, 거의 원로급으로 구성된 교수들의 강의가 ... ...
1억년전 공룡의 뒷모습이 보인다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필자가 1973년 봄 일본 도쿄대학을 방문했을 때의 일이다. 한반도 지질계통 수립에 크게
기여
한 고바야시(小林)교수가 이미 고령으로 몸을 가누기도 어려운 상태였음에도 불구하고 필자를 만나기 위하여 나타났다. 그는 만나자마자 내게 두가지 질문을 던졌다. 고생대 대결층(大缺層)에 해당하는 ... ...
현대판 「지킬박사와 하이드」이야기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페르미연구소 그리고 유럽의 CERN에서 많은 중성미자를 만들어 냈다. 이 과정에서 특히
기여
를 한 장비는 스탠퍼드 선형가속기였다. 또 이 연구소들은 자체내에서 얻은 중성미자를 사용, 물질의 구조를 연구해 왔고 심지어는 중성미자천문학(neutrino astronomy)도 이제 논의되고 있는 상태다. 그럼에도 ... ...
이전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