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장치"(으)로 총 5,307건 검색되었습니다.
- 닥터 그랜마도 깜짝 놀란 사물인터넷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스스로 지능을 높이는 인공지능 기술을 개발했어요. 기계에서 데이터를 기억해 두는 기억장치인 ‘연상 메모리’를 사람 뇌의 신경망처럼 구성하는 ‘신경망 모델’로 만든 거예요.신경망 모델은 단순 계산을 하는 알고리즘 여러 개를 서로 연결해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이에요. 뇌 신경조직의 ... ...
- [화보] 안드레이의 환상적인 개미나라 FANTASY월드수학동아 l2015년 05호
- 안드레이는 나뭇가지 끝에 시럽을 찍어 개미를 무대장치까지 유인해왔답니다. 무대장치를 이용해 개미들은 재밌고 우스꽝스러운 포즈를 취했어요. 당연히 재미난 상황을 연출한 건 개미들이지요. 멋진 작품을 탄생시킬 수 있게 도와준 개미들에게 안드레이는 숟가락에 시럽을 듬뿍 담아 ... ...
- 체온으로 전기 만드는 옷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5호
- 받은 기술은 조병진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개발한 ‘웨어러블 발전 장치’예요. 체온으로 전기를 생산하는 유리섬유인데, 이 섬유로 만든 옷을 입으면 옷 안팎의 온도차를 이용해 전기를 만들 수 있어요.연구팀은 현재 시제품을 만들고 있으며, 이르면 내년에는 상용화가 가능할 ... ...
- 영종대교 차량 106대 추돌 사고 원인은?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자주 끼는 고속도로에 ‘안개 소산 장치’를 시범으로 설치하기도 했어요. 안개 소산 장치는 습한 공기를 빨아들여 이를 건조하게 만들어 내뿜어요. 그 결과 안개가 없어지지요.한편 영국과 미국에서는 안개가 끼거나 눈, 비가 많이 내리는 기상 변화를 감지해 도로의 상황에 맞는 속도를 LED ... ...
- [지식] 전기 신호로 심장을 다시 뛰게 하다!수학동아 l2015년 05호
- 직장을 그만두고, 본격적으로 이 장치의 성능을 개선하는 데 집중했다. 이 장치를 감싸는 덮개가 중요했다. 그는 플라스틱의 한 종류인 에폭시를 덮개로 선택했다. 이를 ‘삽입용 심장박동기’라고 불렀다.1960년 4월 15일, 챠덱은 부정맥★을 앓고 있는 열 명의 환자에게 심장박동기를 심었다. 첫 번째 ... ...
- Part 3. 강함을 배운다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섞인 수분이 물로 응축되고, 분진입자를 용해시켜 제거할 수 있다. 같은 원리로 집진 장치 외에 공기 여과기 등으로 활용이 가능하다.[새 둥지(➊)에서 영감을 얻어 설계한 ‘매달린 사슬(➌)’. 스페인의 천재 건축가 안토니오 가우디는 자연물을 모방한 건축물을 많이 남겼다(➋).]베짜기새 둥지 ▶ ... ...
- Part 1. 세 과학자의 이상한 물과학동아 l2015년 04호
- 관찰하기도 대단히 어렵다. 우리가 스핀을 볼 수 있는 거의 유일한 기회는 자기공명 영상장치(MRI) 같은 강력한 자기장 속에서다. 필자가 연구하는 분야다MRI는 자기장을 이용해 수소원자핵을 회전시킨 뒤 정상상태로 돌아오는 과정을 살펴보는 것이다. 수소 원자핵의 회전축은 외부 자기장의 방향에 ... ...
- [Knowledge] 3000t급 잠수함 장보고-III 산실, 육상통합시험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첫눈에 들어온 것은 사람 키의 2배가 넘는 대형 모터였다. 뒤로는 발전기와 배터리, 배전반과 같은 각종 전기장비들이 100m 가까이 연결돼 있었다. 프로펠러만 있었 ... 발전기를 돌릴 수 있도록 따로 설계가 돼 있다. LBTS가 전체가 거대한 전자 회로라면 배전반은 정밀한 보호장치인 셈이다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시스템의 현대차, 재료의 도요타”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시스템을 잘 만들죠. 시스템이란 수소차에 들어가는 냉각기, 압축기, 물공급기 같은 보조 장치인데 현대차는 여기에 강점이 있습니다.Q 수소차 상용화의 걸림돌은.촉매로 백금을 주로 쓰기 때문에 가격이 당연히 비쌉니다. 그리고 아직 내구성도 충분히 검증되지 않았어요. 또 수소 충전소가 없어서 ... ...
- [교과연계수업] 과학으로 예방하는 화재, 우리 집을 지키자!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4호
- 1층 공간.*스프링클러 : 천장에 달려 있어 화재 시 사방으로 물을 뿜어 불을 끄는 장치. 불길은 세차게 부는 바람을 타고 건물 전체로 빠르게 퍼졌어요. 스티로폼을 주재료로 쓰는 ‘드라이비트’ 공법으로 만든 외벽 때문이에요. 드라이비트는 건물 외벽 콘크리트 위에 단열재로 스티로폼을 붙인 ... ...
이전13213313413513613713813914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