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역
지방
집세
땅값
소작료
구역
땅
d라이브러리
"
지대
"(으)로 총 1,377건 검색되었습니다.
외계인은 존재할까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볼 수도 있다. 세계 일각에서는 배나 비행기가 흔적도 없이 사라지는 마의 버뮤다 삼각
지대
도 우주인의 소행일 것이라는 추측도 나돌고 있다. 최초의 고등문명체 탐사계획 오즈마이렇듯 외계인의 존재는 인류 역사를 통해서 계속 그 가능성이 논의 되어 왔다. 그러나 외계 생명체의 실제 과학적 ... ...
세계를 변화시키는 거대 기술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갖출 수 있게 되죠." 세계적인 급수망으로 사막화 방치 ━아프리카 등지의 건조
지대
를 구제하는 데 유용하겠군요. "가뭄이나 사막화는 심각한 문제입니다. 현재 아프리카의 사하라 사막은 남쪽으로 매해 6㎞속도로 확대되고 있읍니다. 이 사막의 확산을 막기위해서는 대량의 담수(淡水)가 ... ...
지구촌의 사람들 인구추세, 사망률 그리고 삶의 질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사람 살기에 적합치 않은 곳이 많다. 미국도 사막이나 록키산맥
지대
등 살기에 부적합한
지대
가 적지 않다. 방글라데시는 물론 가난하고 먹여살릴 입이 너무 많다는 것이 문제가 되어 있지만 국토의 대부분이 비옥한 평야이며 이모작(二毛作)이 가능하다는 것은 다행스러운 일이다. 방글라데시의 ... ...
포유류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흔히 볼 수 있는 동물이지만 역시 특산종의 하나이다. 광릉과 같은 침엽수가 우거진 밀림
지대
에 많이 살고 있으며 야행동물이다. 고슴도치는 땅을 파서 굴을 만들지 못하기 때문에 온몸을 덮고 있는 바늘가시로 자신의 몸을 보호한다. 식성은 잡식성이어서 곤충 지렁이 달팽이 도마뱀 야생조류의 ... ...
화성은 어떤곳일까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아직도 존재하고 있을지 모른다고 추측했다. 그럼 현재의 화성은 왜 달처럼 삭막한 불모
지대
일까. 학자들은 화성은 지구크기의 3분의 1밖에 안돼 지구보다 빨리 식었고 또 중력이 약해 대기를 우주의 허공으로 빼앗겨 버려 지금은 희박한 공기밖에 갖고 있지 못하다고 말했다. 화성의 공기는 대부분 ... ...
충북청원군 두루봉 유적을 통해본 한반도의 구석기 문화와 환경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있다. 두루봉동굴에서 이처럼 구석기유물이 많이 나온 것은 이곳이 석회암
지대
여서 유물보존상태가 양호했기 때문. 두루봉유적에 대한 연구는 아직도 계속되고 있으므로 좀더 시간이 흘러야 그 최종적인 결과가 나올 것 같다. 특히 인골에 대한 연구가 끝나야만 정확한 연대라든가 구석기인들의 ... ...
동토(凍土)의 생명력 시베리아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자연상태로 방목하면서 같이 지내는 곳까지 가려면 끝이 없는 것 같은 넓은 타이가
지대
위를 헬리콥터로 3시간 이상이나 날아가야 할때도 있다. 토나카이 무리는 한곳에서 3∼4일 머물며 먹이를 충분히 뜯고 나면 다음 방목지를 향해 떠난다. 이 토나카이 무리를 몰이하는 사람들은 텐트를 치고 ... ...
한반도에는 어떤 동물들이 살고 있나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아구에 후자는 구북구의 중국 아구에 속한다. 한국동북 소구는 함경남도와 함경북도의 고
지대
를 포함하며 여기에 서식하는 대부분의 포유동물은 모두 북방형인 종들이다. 이 구역의 대표적인 종들은 식충목(食蟲目)의 희시무르고슴도치 만포땃쥐 야마시나땃쥐 우수리땃쥐 뒤쥐 쇠뒤쥐, 토끼목의 ... ...
화산이 만든 낙원 화와이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이런 원인으로 강우량이 최대에 이르는
지대
는 표고1천~2천m 사이의
지대
다. 따라서 이런
지대
에는 강우림이 생긴다. 이 강우림은 땅 바닥에서부터 나무 끝에 이르기까지 온통 녹색 일색이다. 그중 가장 두드러진것이 커다른 양치식물이다. 그 줄기가 5m 이상이나 되는것도 있으며 그 위에 다시 길이 ... ...
양평지방은 왜 추운가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다시 설명하면 편서풍이 꾸불거리며 부는 것은 평행으로 나가던 공기의 흐름이 산악
지대
-히말라야나 티베트고원-를 넘을 때 지표면의 굴곡에 영향을 받아 만들어지는 것이 주원인이다. 평행인 공기의 흐름을 대하라고 하면 히말라야나 티베트고원은 강물 속의 바위와 같은 것이다. 겨울에 ... ...
이전
132
133
134
135
136
137
1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