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용
기교
기술
능력
재주
솜씨
구실
뉴스
"
기능
"(으)로 총 7,763건 검색되었습니다.
아직 젊은 당신이 혈당을 관리해야 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24.04.13
중요한 이유다. 바로 '오래 건강하게 살기 위해서'다. 당뇨병은 췌도 속 베타세포의
기능
이 저하되며 혈당 조절 능력이 떨어지는 질병이다. 이는 베타세포를 많이 사용하면 나타나는 현상이다. 그동안 당뇨가 중장년층에서 많이 발병한 이유다. 하지만 요즘은 사정이 다르다. 탄수화물 위주의 ... ...
쓴맛 느끼는 원리 찾았다…약물 부작용 줄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4.11
어린이가 쓴 맛이 나는 약을 먹고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인간이 쓴 맛을 인식하는 메커니즘이 규명됐다. 인간이 느낄 수 있는 다섯 가지 맛 중에서도 쓴 ... 수 있다는 설명이다. 연구팀은 후속 연구를 통해 TAS2R14 단백질이 입이 아닌 외부에서 어떤
기능
을 수행할 수 있는지 살필 계획이다 ... ...
흘러가는 생각 속 긍정·부정 감정 읽어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4.11
읽어냈다. 기초과학연구원(IBS)은 우충완 뇌과학이미징연구단 부연구단장 연구팀이
기능
적 자기공명영상(fMRI)으로 뇌의 활동 패턴을 측정하고 머신러닝으로 정서 상태를 읽어내 연구결과를 지난달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에 발표했다고 11일 밝혔다. 생각의 흐름은 무작위적인 것 같지만 대부분 ... ...
젊어진 ‘미세아교세포’로 치매 치료 가능성 제시
동아사이언스
l
2024.04.11
연구 결과는 뇌 속 신경염증의 주요 매개체인 미세아교세포를 대상으로 역노화와 같은
기능
조절을 통해 인지력을 높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했다”고 설명했다. 연구를 이끈 김동운 교수는 “뇌 내 미세아교세포로 약물 또는 유전체 전달 조절 기술의 가능성을 제시했다는데 의의가 ... ...
난청 치료 길 열어…베일 싸인 '귓속 단백질' 구조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4.04.11
소리를 감지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조 교수는 “선천적으로 난청과 균형 감각
기능
에 장애가 있는 환자들이 많다”며 “이들을 위한 획기적인 치료법과 약물 개발에 이번 연구가 큰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연구 논문은 국제학술지 ‘네이처 구조&분자 생물학’ 온라인판에 최근 ... ...
전기차 배터리 열 폭주 예방 '스마트 단열소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4.08
임상혁 화공생명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우수한 단열성능과 '에너지 하베스팅' 및 열 감지
기능
이 융합된 열전소재를 개발해 배터리 열 폭주 현상에 대응하는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했다고 8일 발표했다. 에너지 하베스팅은 태양광, 열 등 자연적인 에너지원을 수확해 전기에너지로 변환시켜 활용하는 ... ...
온몸이 전자회로, 칩 필요없는 스마트 의류
동아사이언스
l
2024.04.08
수 있다. 전용민 가천대 의공학과 교수는 "전자회로, 무선통신뿐 아니라 옷으로서의
기능
까지 아이-파이버 하나가 전부 갖추고 있다는 점이 의의가 있다"고 설명했다 ... ...
대기오염의 아이러니…"맑은 하늘이 지구온난화 가속화"
동아사이언스
l
2024.04.08
더욱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는 점에서 꾸준한 관측이 필요하다. 문제는 CERES가 계속
기능
할 수 없다는 점이다. CERES 기기 중 4개는 수명이 몇 년 남지 않은 노후화된 아쿠아 위성과 테라 위성에 탑재돼 있고 1개는 10년 내 만료될 예정인 기상 위성에 위치한다. 결과적으로 NOAA-20 기상 위성에만 CERES ... ...
가볍고 유연한 '탄소나노튜브 섬유', 에너지 저장 33배
동아사이언스
l
2024.04.07
있다. 무게감 때문에 오래 착용하기 어렵고 배터리 용량이 제한적이어서 탑재 가능한
기능
에 한계가 있다. 보다 가벼우면서 형태에 구애받지 않고 에너지 저장 능력이 큰 비정형 에너지 저장방식이 필요한 상황이다. 탄소나노튜브 섬유는 유연하고 가벼우며 뛰어난 기계·전기적 특성이 있어 ... ...
상어의 무한재생 이빨, 우리도 가질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24.04.06
데 성공했습니다. (doi:10.1016/j.jare.2023.08.012) 하지만 아직 이 세포들을 가지고 모양과
기능
을 갖춘 치아로 만드는 방법은 찾지 못했습니다. 정 교수는 "치아의 구조와 모양을 모사할 수 있는 스캐폴드(지지대) 개발 연구와 치아 발생 연구가 둘 다 완성 단계에 이르고 두 연구가 완벽히 융합돼야만 ... ...
이전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다음
공지사항